$\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일신라건축 목조결구기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Jointing Method of Wooden Members at Unified Silla Architecture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8 no.1, 2009년, pp.7 - 29  

황세옥 (국민대 테크노디자인대학원) ,  허범팔 (국민대 실내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understranding the essence of the Korea traditional Architectu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jointing methods of architectural members, architectural technologies, etc.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on the Jointing Method of Wooden Members in the period of Unified Sil...

주제어

참고문헌 (30)

  1. 윤장섭, 한국건축사, 동명사, 1982 

  2. 리원혀, 중국 고전건축의 원리 시공사, 2006 

  3. 유돈정, 중국고대건축사, 세진사, 1995 

  4. 나철문, 중국고대건축, 상해고적출판사, 2003 

  5. 김동현, 한국목조건축의 기법, 발언, 2001 

  6. 양금석 역, 중국건축개설, 태림문화사, 1990 

  7. 문화재청, 영조규범조사보고서, 2006 

  8. 이정국.이강업,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기거양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권2호 통권100호 1997년 2월 

  9. 배병선, 우리나라 목조건축의 가구형식과 결구법, 대한건축학회지 36권4호 통권167호 1992년 7월 

  10. 서정호, 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 집문화 

  11. 윤장섭, 통일신라건축, 대한건축학회지, 17권50호 1973, 2월 

  12. 김찬영. 김일진, 한국전통목조건축 공포의 첨차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전논문집 제13권제2호 1993년10월30일 

  13. 김동욱, 건축기술, 대한건축학회지 30권3호 통권130호 1986년 5월 

  14. 윤장섭, 한국원시건축 낙랑건축 및 고구려건축, 대한건축학회지16권48호(1972.09) 

  15. 윤장섭, 백제건축 및 고신라건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 김버들.조정식, 고대 일본건축과 고구려건축과의 관련성 -법륭사.법기사.법륜사의세부국조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21권1호(2001. 04) 

  17. 한재수, 한국고대건축사관계 중국측 문헌기록의 사료적 가치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권6호 통권68호 1994년 6월 

  18. 양재영.주남철, 한국고대건축의 기둥 단면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권3호(2004.03) 

  19. 양재영.주남철, 유물에서 보이는 기둥 단면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6권7호, 2003, 7 

  20. 양재영.주남철, 한국고대건축의 기둥단면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권3호, 2004, 3 

  21. 이우종.전봉희, 평방사용의 기원과 발달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권 5호(통권211호) 2006년 5월 

  22. 장경호, 한국목조건축에 나타난 포에 관한 연구, 홍익대 건축과, 1975. 11 

  23. 김동현, 한국목조건축기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1982 

  24. 유성희, 한국목조건축결구방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논문, 1987, 12 

  25. 정인종, 한.중 고대 목조건축의 목결구체계 비교 연구 봉정사극락전, 부석사무량수전, 남선사대전, 불광사대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1993 

  26. 김도경, 고대 목조건축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000 

  27. 李鎬錫, 韓國木造建築의 柱礎石에 關한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建築工學科 碩士學位論文, 1976 

  28. 金東賢, 韓國木造建築技法에 關한 硏究, 弘益大學校大學院 建築工學科 建築計劃專攻, 1982년 6월 30일 

  29. 鄭仁鐘, 韓中 古代 木造建築의 木造構體系 比較 硏究, 延世大學校 大學院 建築工學科 碩士學位論文, 1993 

  30. 李龍氣, 木造建築物과 木家具의 結構 方法에 관한 硏究,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년 12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