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 - 동계(桐溪) 정온(鄭蘊) 가옥과 전주(全州) 최씨(崔氏) 종택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on Korean Traditional Dwelling Houses and Their Landscape Garden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1, 2009년, pp.120 - 130  

소현수 (우리경관문화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태학에 견줄 수 있는 전통적 관념으로서 생명사상과 전통사상에 착안하여 마련된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를 통해서 당시의 관점에 근접함으로써 선조들의 생태학적 사고와 그를 기반으로 한 조영방식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생태학적 해석 도구로써 추출한 '본성(本性; 자연의 정체성 고수)' '중절(中節; 절제)' '효율(效率; 경제적 효용)' '상생(相生; 관계 맺기)' '자생(自生; 자연의 원리 취득)' '중화(中和; 인공을 최소화하여 조화)' '방통(旁通; 소통과 순환)' '변통(變通; 가변성과 다양성)'이라는 전통사상의 개념어들은 우리 문화와 경관 속에 함유된 생태학적 개념을 대신한다. 사례연구를 위해서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1827)에 서술된 항목들을 '공간구조' '조경요소' '건축 구조요소'로 구분하여 해석의 대상을 추출하였다. 정온 가옥과 최씨 종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해석한 결과로 생태학적 조영기법들을 제시하고,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에 대한 생태학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종합하였다. 자연조건과 세밀한 관계 설정 방식을 가지는 풍토건축으로서 첫째, 자연의 형상을 따르는 토지이용방식('본성' '상생' '중화'), 둘째, 자연과 일체감을 이루는 물리적 공간요소('중절' '상생' '중화'), 셋째, 한정된 자연에너지와 자원을 재활용하면서 지속적인 순환체계 유지('효율' '자생' '방통'), 넷째,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재료 이용('중절' '효율' '자생'), 다섯째, 미기후를 고려한 평면과 구조 결정('효율' '자생' '변통')으로 정리된다. 이에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은 다른 유형의 전통공간보다 자연 안에서 효율적인 자원 소비 공간을 목표하였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hodology of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s through both life-oriented philosophy and traditional Korean philosophy which are similar to ecology. Also, useful tools for discovering an ecological technique of formation based on the ecolog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해석을 통해 이해된 ‘전통사상의 개념어’들이 생태학과 달리 ‘전통사상에 함유된 조영태도가 무엇인가’를 설명함으로써 현대 생태학적 경관계획의 바탕이 되는 인식을 제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의 성격을 가지지만, 개별 사례의 해석 결과에 의미를 두기 보다는 방법론의 효용성을 입증함으로써 전통사상과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합리성을 파악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것은 첫째, 전통공간의 현장에서 공통적으로 읽혀지는 조영태도와 조영기법을 민족의 조형의식을 만든 ‘전통사상의 개념어’로 수렴시킴으로써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이 어떤 이유로 생태학적인가’의 질문에 대해 키워드를 통해서 전달력 있는 답변을 만드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생태학에 견줄 수 있는 전통적 관념으로서 생명사상과 전통사상에 착안하고, 당시의 관점에 근접함으로써 선조들의 생태학적 사고와 그를 기반으로 한 조영방식을 파악하기 위해 마련된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방법론을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에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방법론을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에 대입하여 전통경관 속의 생태학적 규범을 효과적으로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 첫 번째, ‘공간구조’의 해석 결과에서는 ‘효율’·‘자생’·‘본성’의 기법이 주가 되었으므로 주어진 환경조건에 거스르지 않고 자연에너지를 확보하기 좋은 공간구조를 만든 목적을 이해할 수 있다.
  • 특히, 정병석(1993)은 ‘생명’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이 생태학적 사유와 관련된다고 밝힘으로써 본 연구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원경제지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져 있는가? 서유구가 19세기 이전에 전개되었던 좋은 주거지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바탕으로 경험과 견문에 대한 체계를 갖추고 종합하여 제시한 「임원경제지」는 옛 건축이 지닌 사상과 구체적인 건축술을 살펴보고자 할 때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문헌이다(안대회 역, 2005). 이 책에는 집에 관한 상상과 설계, 당시 주거공간의 실상을 파헤친 보고와 탐구, 주거물의 개량과 선진 공법의 도입, 조형예술로서의 집에 대한 미학의 예시 등 다양한 내용이 담겨져 있다(안대회 역, 2005). 이에 자연 풍토와 환경조건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축적된 전통시대의 주거 과학을 합리적인 태도를 견지하여 서술하였다고 평가받는다.
임원경제지에서 조경과 건축분야에 관련된 내용은 어느부분에 기술되어 있는가? 「임원경제지」 12부(部) 중에서 은자(隱者)가 생활하는 주거공간의 배치를 기술한 「이운지(怡雲志)」, 집을 짓기에 적합한 장소와 방법을 다룬 「상택지(相宅志)」, 그리고 건축제도 일반에 대해 설명한 「섬용지(贍用志)」의 내용이 조경과 건축분야에 관련된다. 안대회 역(2005)은 여기에 해당되는 내용을 「산수간에 집을 짓고」(2005)로 정리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해석 대상을 ‘공간구조’·‘조경요소’·‘건축 구조요소’의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표 3에 정리하였다.
구전에 의하면 학동마을의 학동이라는 이름은 어떻게 지어졌는가? 전주 최씨가 1670년경에 입촌하여 만든 학동마을은 공룡 화석지와 더불어 지석묘가 있는 선사시대 문명지로써 비옥한 토질의 넓은 농경지와 풍부한 수원을 제공하는 학림천을 통해서 인간이 먹고 살만한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다. 구전(口傳)에 의하면, 입향조가 하늘에서 학이 내려와 마을에 앉아 알을 품는 꿈을 꾼 후, 산수가 수려하고 학이 알을 품는 형국의 명당을 찾아 ‘학동’이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인근 수태산의 퇴적암 판석 납작돌과 황토를 섞어서 바른층 쌓기 한 마을 담장은 2006년에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는데, 입촌 후 집터를 닦고 논밭을 갈면서 얻은 돌과 흙을 담장 재료로 활용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민경(2001) 한국 전통주택건축에 나타나는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병주(2005) 풍수로 본 한국 전통마을의 생태적 환경 친화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삼능, 강병근(1991) 생태적 접근방법에 의한 한국 전통주택분석과 그 현대적 수용. 대한건축학회지 11(2): 115-122 

  4. 김치국, 윤종호, 최율(2002) 우리나라 전통마을의 생태건축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2(2): 91-99 

  5. 박희영(2001) 거주자 생활 중심으로 본 거창 정온 종택의 전통공간 현장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소현수(2008a) 전통경관의 조영 원리에 대한 생태학적 해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소현수(2008b)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도구 추출-생명사상과 전통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9-17 

  8. 안대회 역(2005) 산수간에 집을 짓고. 서유구, 임원경제지. 파주: 돌베개 

  9. 이도원 편(2004) 한국의 전통생태학. 서울: (주)사이언스북스 

  10. 이영미, 천득염(2005) 한국 전통건축과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나타난 생태학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14(4): 101-114 

  11. 이은희(1998) 생태 건축적 측면에서 고찰한 한국 전통건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6: 115-126 

  12. 전영옥, 이상문(2004) 한국 전통도시의 생태적 계획원리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23(2): 7-20 

  13. 정병석(1993) 천인합일의 생명관. 대한철학회. 철학연구 50: 25-42 

  14. 최율(2002) 방촌마을의 생태주거단지 계획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2(1): 33-40 

  15. 홍종숙, 강병근(2001) 양택론의 현대적 해석과 그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1: 505-508 

  16. Steiner, Frederick R.(2000) The Living Landscape:An Ecological Approach to Landscape Planning. New York: McGraw Hill. Inc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