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 내상문(內傷門) 방제(方劑)에 배합(配合)된 풍약(風藥)의 활용(活用)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Wind Herbs(風藥) Blended with Prescriptions for Internal Disease Range in Donguibogam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17 no.2, 2009년, pp.1 - 20  

전지영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문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xterior-relieving herbs are blended by each prescription with emphasis on Internal disease range of Donguibogam by limiting Wind herbs in exterior-relieving herbs to apply exterior-relieving herbs to internal diseases. Prescriptions mixed with exterior-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麻黃, 薄荷, 蔥白, 荊芥는 모두 酒病治法의 病症에 활용한 防風通聖散加味에서 發散과 淸暑利濕작용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配合되었고, 蔓荊子, 藁本은 內傷病始爲熱中終爲寒中의 病症에 활용한 神聖復氣湯에서 升陽益氣와 發散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配合되었으며, 生薑은 勞倦傷治法의 病症에 활용한 淸神益氣湯에서 升陽益氣와 淸暑濕熱작용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配合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네 번째로 木香化滯湯, 升陽順氣湯 등 총 2개의 方劑에 升麻, 柴胡 등의 風藥이 配合되어 疏肝의 목적으로 활용되었고, 二黃丸, 升陽順氣湯등 총 2方에 升麻, 柴胡등의 風藥이 配合되어 散火의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 9개의 處方 중 升陽益胃湯, 升陽補氣湯, 陶氏補中益氣湯, 加味益氣湯, 神聖復氣湯, 淸神益氣湯 등 6개의 方劑에서 防風이 升陽益氣의 작용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장 많이 配合되었으며 또한, 陶氏補中益氣湯, 加味益氣湯, 神聖復氣湯, 防風通聖散加味, 十味和解散, 九味羌活湯 등 6개의 方劑에서 發散작용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장 많이 配合되었다. 다음으로 淸神益氣湯, 防風通聖散加味 2方에서 防風이 淸暑濕熱작용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配合되었다.
  • 柴胡가 配合된 15개 方劑 중 補中益氣湯, 益胃升陽湯, 調中益氣湯, 升陽益胃湯, 升陽補氣湯, 加味益氣湯, 陶氏補中益氣湯, 神聖復氣湯, 黃芪人蔘湯, 參朮湯(參芪湯), 補中益氣湯加味, 升陽順氣湯 등 12개의 方劑에서 柴胡가 升陽益氣를 목적으로 가장 많이 配合되었다. 두 번째로 加味益氣湯, 陶氏補中益氣湯, 神聖復氣湯 등 3개의 方劑에서 柴胡가 升陽益氣와 함께 發散의 작용을 목적으로 配合되었다. 세 번째로 升陽順氣湯과 木香化滯湯 2개의 方劑에서는 疏肝작용을 목적으로 配合되었으며 升陽順氣湯과 二黃丸 2개의 方劑에서는 散火작용을 목적으로 配合되었다.
  • 이에 저자는 李東垣과 후대 의가들이 風藥을 여러 가지 용도로 內傷病 處方에 함께 配合한 사실에 착안하여 현대인의 內傷 질환에 이를 응용해보고자 東醫寶鑑 內傷門에 기재된 處方 중 風藥이 配合된 處方을 조사하여 각각의 處方에 配合된 風藥의 의미와 역할에 관하여 考察해 본 결과 몇 가지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風藥이라는 용어는 어디에서 처음 등장 했는가? 風藥이라는 용어는 張元素의 <醫學啓源>에 처음 등장하는데,그는 五運六氣學說을 약물에 귀납하여 “風升生,熱浮長,濕化成,燥降收,寒沈藏”의 다섯 종류로 나누었다.그 중에 “風升生”에는 防風,羌活,獨活,柴胡,升麻,川芎,細辛,藁本,蔓荊子,薄荷,麻黃,荊芥등 20여 종류의 약물을 포함시켰다1).
李東垣이 肝鬱로 인한 脾胃損傷에 風藥을 加한다고 주장하여 밝힌 것은 무엇인가? 李東垣은 脾의 “淸氣”,“淸陽”과 肝膽의 升發之氣가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脾胃의 升淸降濁機能의 정상 여부는 膽의 疏達여부에 달려 있다고 보아 肝鬱로 인한 脾胃損傷에 風藥을 加한다고 주장하였다1).즉 東垣은 風藥이 <傷寒論>에서 말한 解表發散 뿐만 아니라 升陽擧陷과 疏肝,散火 등의 작용도 있음을 밝혔다.
風升生에는 어떤 약물이 포함되어 있는가? 風藥이라는 용어는 張元素의 <醫學啓源>에 처음 등장하는데,그는 五運六氣學說을 약물에 귀납하여 “風升生,熱浮長,濕化成,燥降收,寒沈藏”의 다섯 종류로 나누었다.그 중에 “風升生”에는 防風,羌活,獨活,柴胡,升麻,川芎,細辛,藁本,蔓荊子,薄荷,麻黃,荊芥등 20여 종류의 약물을 포함시켰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董振華. 李東垣對脾胃學說的貢獻. 中國中醫藥. 2005 :11(19) 

  2. 主編張年順等. 李東垣醫學全書. 中國中醫藥出 版社. 2006. 

  3. 張勝春. 淺議李東垣脾虛陰火論. 南京中醫藥大學 學報. 2000:16(3). 

  4. 楊威. 方劑配伍規律爭議. 中國中醫基礎 醫學雜志. 2004;10:10. 

  5. 朱榮承. 東醫寶鑑에 收錄된 韓藥物에 대한 硏究 대한한의학회지. 1990;11(2):205-11. 

  6. 尹用甲. 東醫方劑와 處方解說. 서울:도서출판 醫 聖堂. 2002:72,82,93,95,102,119,138,140, 142,180,355,381,426,465,485,496,497,498, 504,505,880,881 

  7. 中醫大辭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3:274-5 

  8. 안덕균, 이상인, 신민교. 漢藥臨床應用. 서울:성보사. 1982:358-9. 

  9. 黃度淵原著辛民敎永林社編輯部共編著. 新增 方藥合編. 서울:도서출판 永林社. 2002:198,25 

  10. 辛民敎. 臨床本草學. 서울:도서출판 영림사. 2002 :354-5,672. 

  11. 尹用甲. 新東醫方劑2223. 서울:도서출판 鼎談. 2006: 2313. 

  12. 許濟群王綿之. 中醫方劑學.陰陽脈診出版社. 1991:89. 

  13. 李載熙. 漢方診療要方. 서울:醫學硏究社. 1983: 463. 

  14. 임은미. 東醫寶鑑의 酒傷에 대한 考察.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2007 

  15. 中國本草圖鑑. 驪江出版社. 1994:742 

  16. 王筠?外. 神農本草經校證. 서울:醫聖堂. 1988: 165 

  17. 楊東喜. 本草秘要解釋. 國興出版社. 1988:97-9 

  18. 申佶求. 申氏本草學. 壽文社. 1988:221,228-36, 269 

  19. 國家中醫藥管理局中華本草編委會. 中華本草. 上海 :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8:508-9. 

  20. 安德均. 韓國本草圖鑑. 서울:敎學社. 2000:24 

  21. 뇌재권 外共譯. 中醫臨床中藥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98:347-55 

  22. 王浴生. 中藥藥理與應用.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3:46 

  23. 康秉秀. 臨床配合本草學. 서울:永林社. 1994:460 

  24. 國家中醫藥管理局中華本草編委會. 中華本草.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8:905. 

  25. 李時珍. 本草綱目.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2: 1277. 

  26. 李?. 編註醫學入門內集卷2本草. 서울:大星文化社. 1986:108. 

  27. 鄭普燮. 圖解鄕藥(生藥)大辭典. 서울:영림사. 1990:704. 

  28. 陣在仁. 圖說漢方醫學大辭典(中國藥學大典). 講談社. 1982:62. 

  29. 新文豊出版公司編輯. 新編中藥大辭典. 臺北: 新文豊出版公司. 1982:1811-5. 

  30. 鄭虎占外. 中藥現代硏究與應用第四卷. 北京: 學苑出版社. 1998:3052-7. 

  31. 苗明三主編. 法定中藥藥理與臨床. 西安:世界圖書出版公司. 1998:799-802 

  32.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 영림사. 2004:158. 

  33. 주영승. 운곡본초학(상). 서울:서림재. 2004:3 

  34. 金俊錡譯. 國譯本草問答. 서울:大星文化社. 1994: 66,72,128 

  35. 辛民敎編著. 原色臨床本草學. 서울:도서출판 南山堂. 1986:541. 

  36. 정유화저 노영호역. 藥對論. 一中社. 2003: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