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구학적 변인과 심리적 소외감이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로 인한 섭식행동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emographical Variables and Alienation on Adolescent's Negative Emotion-Induced Eating Motivatio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7 no.2 = no.98, 2009년, pp.1 - 9  

민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이윤주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mographical variables(gender and age) and alienation on adolescent's negative emotion-induced eating motivation. The subjects were 38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d in Keoungbok.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녀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로 인한 섭식행동동기가 연령과 심리적 소외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남학생과 여학생을 각각 분리하였다. 그리고 부정적 정서로 인한 남학생 또는 여학생의 섭식행동동기가 연령과 심리적 소외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표 3>에서 보듯이 남학생의 경우 중학생과 고등학생간 섭식 행동동기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 비만 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최근의 사회적 환경에서,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로 인한 섭식행동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규명은 청소년의 비만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나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대구경북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89명의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의 인구학적 변인 및 심리적 소외감과 부정적 정서로 인한 섭식행동동기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논의 및 결론을 도출하였다.
  • 이러한 연구의 결과와 함께 섭식행동동기가 부정적 정서와 연결되었다는 선행연구를 고려해 보면 우울이나 스트레스 등 부정적 정서 경험 가능성이 중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고등학생은 부정적인 정서 상태를 줄이기 위한 도구적 방법(Macht & Simons, 2000)으로 보다 높은 섭식행동동기를 보일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1318세대의 청소년의 섭식행동동기를 연령을 기준으로 1315세대인 중학생과 1618세대인 고등학생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학교 급별의 학생을 의미하나 일반적으로 학교 급별은 연령을 기준으로 구분되고 있기 때문에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연령의 인구학적 변인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 이는 부정적 정서로 인한 여학생의 섭식행동동기가 남학생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며 섭식행동동기에 미치는 독립변인의 영향력에도 남녀 간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함의하는 것이다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남녀 청소년을 구분하여 부정적 정서로 인한 섭식행동동기와 연령 및 심리적 소외감의 차이 및 독립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남녀에 따라 각각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 즉 부정적 정서로 인한 섭식 행동동기는 실망감을 느낄 때 음식이 먹고 싶어지는 정도에 관한 정보는 제시할 수 있지만, 소외감이 높으면 실망감을 느낄 때 더욱 먹고 싶어지는지에 대한 정보는 제시할 수 없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부정적 정서 뿐 아니라 소외감과 같은 부정적 정서 수준이 부정적 정서로 인한 섭식행동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부정적 정서로 인한 청소년의 섭식행동동기에 영향을 미칠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우선 고려되어야 할 변인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청소년의 섭식행동동기에 미치는 성과 연령 그리고 심리적 소외감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는 여자의 섭식 행동관련 특성만큼 남자의 섭식행동관련 특성도 규명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섭식행동 연구에서 그동안 소외되어 왔던 남자를 여자와 함께 자료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섭식행동동기와 관련된 성별 특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학교 급별의 학생을 의미하나 일반적으로 학교 급별은 연령을 기준으로 구분되고 있기 때문에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연령의 인구학적 변인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른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로 인한 섭식행동동기를 학교 급별 학생인 중학생과 고등학생으로 구분해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정적 정서에 의한 섭식행동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해봄으로써 청소년의 비만 예방을 위한 기초 정보를 얻는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청소년기는 ‘질풍 노도’로 표현될만큼 감정 및 정서 변화가 급격한 시기다.
  • 이는 섭식관련 지도나 관리가 청소년기에 보다 요구됨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에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정적 정서에 의한 섭식행동 동기를 우선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부정적 정서 뿐 아니라 소외감과 같은 부정적 정서 수준이 부정적 정서로 인한 섭식행동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부정적 정서로 인한 청소년의 섭식행동동기에 영향을 미칠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우선 고려되어야 할 변인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청소년의 섭식행동동기에 미치는 성과 연령 그리고 심리적 소외감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 한편 연령에 따른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로 인한 섭식행동동기를 살펴봄으로써 섭식행동동기에 보다 많은 주의와 관리가 요구되는 청소년 시기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청소년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 가운데 우울증은 13세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5세 이후 18세 사이에 우울증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Hanki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무엇을 위협하는 질병인가? 21세기 질병으로 분류되고 있는 비만은 조용한 암살자로 불리울만큼 만병의 근원으로 기능할 뿐 아니라 우울감 증진이나 자아감 상실 및 사회생활 적응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비만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모두를 위협하는 총체적 질병이라 할 수 있으며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반드시 극복되어야할 문제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소비한 칼로리에 비해 많은 양의 칼로리를 섭취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무엇이라고 보고되고 있는가? 따라서 비만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모두를 위협하는 총체적 질병이라 할 수 있으며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반드시 극복되어야할 문제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소비한 칼로리에 비해 많은 양의 칼로리를 섭취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칼로리 소모를 높일 수 있는 운동 권장과 칼로리 섭취를 높일 수 있는 과도한 섭식 금지가 전형적인 비만 예방 방안으로 제안되고 있다.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로 인한 섭식행동동기 중 심리적 소외감에 따른 논의 및 결론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로 인한 섭식행동동기는 심리적 소외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심리적 소외감을 높이 지각하는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부정적 정서 시, 섭식행동동기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이 경험하는 심리적 소외감 또한 우울이나 분노 등과 마찬가지로 섭식행동동기를 유발하는 의미있는 부정적 정서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보다 높은 부정적 정서에서 보다 높은 섭식행동동기가 나타남을 보여줌으로써 부정적 정서로 인한 섭식행동동기가 부정적 정서의 유무뿐 아니라 수준에 의해서도 영향받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완숙.유안진(2000). 지각된 부/모 가치, 부/모-자녀간 정서적 친밀도 및 부/모의 과잉통제와 대학생의 소외감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8(8), 69-84 

  2. 권오숙.문성호(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자기통제력과 충동구매 경향성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4(1), 31-46 

  3. 김기남.김영희(2004). 대학생의 섭식장애 행동에 관련된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2(2), 83-97 

  4. 김갑숙.강연정(2007). 여자청소년의 신체관련변인, 자존감, 내적통제력이 섭식장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 77-87 

  5. 김영신.공성숙(2004). 여자 청소년의 체중조절행위, 섭식장애증상, 우울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3(3), 304-314 

  6. 김혜은.박경(2003). 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3), 511-524 

  7. 배하영.이민규(2004). 부정적 정서로 유발된 섭식동기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187-201 

  8. 배하영.한덕웅.이민규(2005). 정서, 섭식억제, 체형 및 체중관련 사적자기주의에 따른 섭식동기 및 섭식행동.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145-165 

  9. 양병화(2002).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10. 이상선(2007). 포식행동의 이중-경로 모형에 관한 검증: 부정정서 경험 측정과 부정 정서 조절 기대 구분의 필요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883-902 

  11. 이은숙(2007). 남.여 청소년의 소외감, 우울과 자살생각에 관한 예측모형. 대한간호학회지, 27(4), 576-585 

  12. 이정(2007). 청소년기 여학생들의 섭식장애행동과 가족간 의사소통에 관한 4년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하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3), 467-492 

  13. 이현림.장미자.김순미(2004). 교우관계개선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소외감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 연구, 11(3), 181-198 

  14. 정영선(2005). 청소년의 섭식장애와 가족기능과의 관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85-706 

  15. 진미정(2008).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 문화, 20(3), 187-211 

  16. 천숙희(2007). 청소년기 여성의 섭식행동과 우울, 분노, 분노표현 및 개인적 특성[BAS/BIS]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3(4), 310-319 

  17. Arnow, B., Kenardy, J., & Agras, W. S.(1995). The emotional eating scale: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to assess coping with negative affect by ea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18, 79-90 

  18. Attie, I., & Brooks-Gunn, J.(1989). Development of eating problems in adolescent girls: A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25(1), 70-79 

  19. Anderson, C. B. & Bulik, C. M.(2004). Gender differences in compensatory behaviors, weight and shape salience, and drive for thinness. Eating Behaviors. 5, 1-11 

  20. Calabrese, R. L.(1987) Adolescence: A growth period conducive to alienation. Adolescence, 22, 929-938 

  21. Costanzo, P. R. Mustante, G. J., Friedman, K. E., Kern, L. S. & Tomlinson, K.(1999). The gender specificity of emotional, situational, and behavioral indicators of binge eating in a diet-seeking obese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6(2), 205-210 

  22. DeLeire, T. & Kalil, A.(2002). Good things come in threes: Single-parent multigenerational family structure and adolescent adjustment. Demography, 39(2), 393-413 

  23. Dinsmore, B. D., & Stormshak, E. A.(2003). Family functioning and eating attitudes and behaviors in at-risk early adolescent girls: The mediating role of intra-personal competencies. Current Psychology: Developmental, Learning, Personality, Social. 22(2), 100-116 

  24. Dominy, N. L., Johnson, W. B., & Koch, C.(2000). Perception of parental acceptance in women with binge eating disorder. The Journal of Psychology, 134(1), 23-36 

  25. Eliot, A. O., & Baker, C. W.(2001). Eating disordered adolescent males. Adolescence, 36(143), 535-544 

  26. Folkman, S. & Lazarus, R. S.(1988). Coping as a mediator of emo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466-475 

  27.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h.(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depres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1311-1327 

  28. Garner, D. M.(1991). Eating disorder inventory?2: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29. Geliebter, A. & Aversa, A.(2003). Emotional Eating in overweight, normal weight, and underweight individuals. Eating Behaviors, 3, 341-347 

  30. Ge, X., & Conger, R. D.(2003). Pubertal transition, stressful life events, and the emergence of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Development Psychology, 37, 1-20 

  31. Gual, P., Perez-Gaspar, M., Martinez-Gonzales, M. A., Lahortiga, F., de Irala-Estevez, J., & Cervera-Enguix, S.(2002). Self-esteem, personality, and eating disorders: Baseline assessment of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cohort.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31(3), 261-273 

  32. Hankin, B. L., Abramson, L. Y., Moffitt, T. E., McGee, R., Silva, P. A., & Angell, K. E.(1998). Development of depression from preadolescent to young adulthood:Emerging gender differences in a 10 yea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7, 128-141 

  33. Heatherton, T. F., & Baumeister, R. F.(1991). Binge eating as escape from self-awarness. Psychology Bulletin, 110(1), 86-108 

  34. Heaven, P. C. L, & Bester, C. L.(2001). Alienation and its psychological correlate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26(5), 593-598 

  35. Kinder, B. N.(1991). Eating disorder(anorexia and bulimia nervosa). In Herson & S.M. Turner(2nd Eds.), Adult Psychopathology and diagnosis(pp. 253-280). John Wiley & Sons. 

  36. Leichner, P. Y. & Gertler, A.(1988). Prevalence and incidence studies of anorexia nervosa. En B. J. Blinder (Ed.). The eating disorders. N.Y.: PMA Publishing Corp 

  37. Matcht, M. & Simons, G.(2000). Emotions and eating in every life. Appetite, 35(1), 65-71 

  38. Sankey, M., & Huon, G. F.(1999). Investigating the role of alienation in a multicomponent model of juvenile delinquency. Journal of Adolescence, 22, 95-107 

  39. Seeman, M.(1972). Alienation and engagement. In A. Campbell & P. Converse(Eds.). The human meaning of social change. N.Y.: Russel Sage Basic Book 

  40. Seeman, M.(1975). Alienation studies. In A Inkeles, J. Coleman, & N. Smelser(Eds.). Annual review of sociology. Palo Alto, CA: Annual Review 

  41. Stone, A. A., & Neale, J. M.(1984). New measure of daily coping: Development and preliminary resul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892-906 

  42. Van den Berg, P., Wertheim, E. H., Thompson, J. K., & Paxton, S.(2002). Development of body image, eating disturbance, and general psychological functioning in adolescent females: A replication using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in an Australian sampl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32, 46-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