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도의 품질결정을 위한 소비자 선호요인 분석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s with Regard to Sensory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Grap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2, 2009년, pp.204 - 210  

장민선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순덕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동만 (한국식품연구원)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포도의 객관적 품질 계량화 기술 개발을 위하여 포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구입 빈도, 구입장소, 구입 단위, 선호도, 포도 씨 유 무에 대한 선호도 및 내 외적 품질인자 등이었다. 총 519명의 응답자에 대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program(Version 14.0)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설문응답 분석 결과 포도 구입은 대형할인마트(46.1%)에서 이루어졌으며, 구입 단위는 3-5 송이가 38.5%로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76%는 포도를 선호한다고 하였으며, 포도 크기에 있어서는 49.8%의 응답자가 작은 크기보다는 큰 크기의 포도를 선호한다고 하였다. 포도 씨 유 무에 대해서는 씨 없는 포도를 선호하였으며, 소비자가 포도 구매 시 가장 고려하는 인자 중 외적 품질인자로는 포도송이의 충실도였고, 내적 품질인자로는 단맛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 grape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improve grape quality. The questionnaire explored consumption frequency, purchasing locations, amounts purchased, general preferences, seedless/seeded preference, and external/internal quality factors. Answers to 519 questionnai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포도의 객관적 품질 계량화 기술 개발을 위하여 포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구입 빈도, 구입장소, 구입 단위, 선호도, 포도 씨 유·무에 대한 선호도 및 내·외적 품질인자 등이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도의 객관적 품질계량화 기술 개발을 위하여 소비자의 포도 구매행태를 분석하고, 내적·외적 품질인자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 및 인지도를 조사함으로서 추상적 개념의 ‘고품질'의 의미를 객관화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포도 재배면적이 감소하게 된 배경으로 무엇이 있는가? 3배 증가하였다(2). 하지만, 그 후로 수입포도의 증가로 인해 재배면적이 감소하여 2005년도에는 22,000 ha를 기록하고 있으며, 포도생산량 역시 381,000 M/T로 감소하였다(3-5). 국민 1인당 포도 소비량은 급격히 증가하여 2000년에는 구미 선진국 수준인 10.
과실의 품질을 구성하는 주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과실의 품질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품질을 구성하는 항목들에 대한 소비자 선호를 밝혀내고, 이를 지향점으로 하여 품질을 개선시켜 나가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과실의 품질을 구성하는 주요 요인들에는 당도, 맛, 크기, 과중, 모양, 색택, 안전성, 기능성 등이 있다(10).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포도 소비량을 타국과 비교하면 어떤 수준인가? 8 kg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3). 이는 일부 중동국가를 제외하고는 아주 높은 수준으로 프랑스, 미국 등 주요 선진국보다 높거나 거의 비슷하며 아시아의 주변국 중에서는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im, C.C. (1994) Influence of harvesting time, grape guard, prutrescine and heat treatments on maintaining freshness in 'Campbell Early'grape (Vitis labruscana B.). J. Kor. Soc. Hort. Sci., 36, 351-359 

  2. NACF. (2001)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Agricultural Cooperative Yearbook. Seoul, Korea, p.288-289 

  3. Agricultural &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 (2007) Ministry of Agriculture & Forestry, Korea, p.118 

  4. Kim, S.K. (2005) The present state of grape ciltivation in Korea. In: Symposium on Development of Yeongdong grape cluster Regional Innivation. October 27, Yeongdong University, Yeongdong, Korea. Yeongdong Grape Cluser Organization. Yeongdong, Korea 

  5. Yook, C., Seo, M.H., Kim, D.H. and Kim, J.S. (2007) Quality improvement of ampbell Early wine by mixing with different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90-399 

  6. MAF. (2001) Ministry of Agriculture & Forest, Major Agricultural & Forestry Stastics. Gwachen, Korea, p.208 

  7. Park, S. (2003) Storage enhancement of grape through precooling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093-1097 

  8. Yun, H.S., Park, H.M., Chung, H., Lee, H.D. and Kim, Y.G. (2007) The effects of washing machine to the quality of grapes. Korean Soc. Agri. Machinary, 12, 228-232 

  9. Kim, K.P. and Park, M.H. (2007) The consumer's preference on packaging of fruits and the implications. Korean J. Food Marketing Economics, 24, 101-118 

  10. Kim, K.P. and Park, M.S. (2007) Consumer Preferences for Fruit Size and Their Implication. Korean J. Food Marketing Economics, 24, 25-38 

  11. Beck, P. and Gordon C. (1980) Consumer Demand, Grades and Margin Relations. New Directions in Economic Modeling and Forecasting in U.S. Agriculture, ed., New York, North Holland, p.99-129 

  12. Jin, Y.H. (2000) Attitudes and behaviors related to fruit and vegetables among housewives in the small city. Korean J. Dietary Culture, 15, 175-188 

  13. Cho, S.D., Kim, D.M. and Kim, G.H. (2008) Survey on Consumer Preceptions of the sensory Quality Attributer of Apple. Korean J. Food Preserv., 15, 810-815 

  14. Kim, K.P., Jung, P.C. and Yang, S.R. (2002) A Hedonic Price Analysis of Fruits Products. Korean J. Agric. Economics, 43, 33-56 

  15. Kang, T.H. and Lee, H.C. (1999) A study on the apple consumption in metropolitan areas. Korean J. Food Marketing Economics, 16, 103-120 

  16. Jolly, D.A., Schutzm, H.G., Diaz-Knauf, K.V. and Johal, J. (1989) J. Food Technol., 11, 60-66 

  17. Han, W.K. and Lee, G.J. (1991) A Study on the consumer recognition of food safety and food additives. Korean J. Soc. Food Sci., 7, 23-35 

  18. Han, J.S., Kim, H.Y., Kim, J.S., Suh, B.S. and Han, J.P. (1997) A survey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wareness of and preference for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13, 259-266 

  19. Lee, J.S. and Kim, K.S. (2000) Factors on the seafood preference and eating frequency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62-1168 

  20. Yoon, G.S. and Woo, J.W. (1999) The perception and the consumption behavior for the meats in Kor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246-256 

  21. Cypel, Y.S. and Prather, E.S. (1993) Assessment of the food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 J. ADA., 93, 330-332 

  22. Kim, G.M. and Lee, S.Y. (2000) The study on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enior students in Incheon area. J. Korean Dietetic Assoc., 6, 97-1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