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article Tracking Model을 이용한 평균체류시간의 공간분포 계산
Calculating Average Residence Time Distribution Using a Particle Tracking Model 원문보기

韓國海洋工學會誌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23 no.2 = no.87, 2009년, pp.47 - 52  

박성은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홍석진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agrangian particle tracking model coupled with the Princeton Ocean Model were used to estimate the average residence time of coastal water in Masan Bay, Korea. Our interest in quantifying the transport time scales in Masan Bay was stimulated by the search for a mechanistic understanding of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마산만을 대상으로 입자추적모델을 이용한 평균체류시간을 계산하였으며, 체류시간의 정량적 차이를 공간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주요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영양염 및 각종 오염물질들이 유출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추산하였다.
  • 5%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수질환경 개선효과는 미미하다(국토해양부․경상남도, 2008). 본 연구는 마산만 내의 소해역별 체류시간의 정량적 차이를 공간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주요 하천 및 하수처리장으로부터 유입되는 영양염 및 각종 오염물질들이 유출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추산하였다.
  • 본 연구는 마산만의 2차원 조류에 의한 입자의 수송시간을 계산하여 평균체류시간의 공간적인 차이를 산정한 것으로 담수 유입 및 바람응력 효과 등 기타 체류시간을 변동시킬 수 있는 다른 영향은 고려하지 않았다. 홍수기에 다량으로 유입된 담수가 대부분 상층을 통하여 만외로 유출되는 경우 체류시간은 짧아지고 상층과 하층의 체류시간 차이도 커질 것이다.

가설 설정

  • 개방경계의 각 격자점에서 매 시간 간격마다 주요 4개 분조(M2, S2, O1, K1)의 조화상수(한국해양연구소, 1996)를 이용하여 조위값을 부여하였고 총 계산시간은 18일이었다. 담수유입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고 조류에 의한 해수순환만을 고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체시간이란? 체류시간과 혼동되는, 그리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체시간(Flushing time)은 단위 Flux(또는 Flow rate) 당 유체의 체적 변화율로서 해양에서는 주로 조량(Tidal prism) 혹은 Knudsen식을 이용하며, 경우에 따라서 물질의 농도가 초기 농도의 절반(50%), e-folding scale(63.21%), 혹은 완전 제거(100%)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무엇보다도 교체시간은 단위 영역에 대한 전체 부피변화를 고려하기 때문에 물질 수송 시간의 공간적 차이를 알 수 없다는 점이 체류시간과 구별되는 가장 큰 차이점이다(Monsen et al.
체류시간이란? 체류시간(Residence time)은 임의 경계 내에서 물질이 체류하는 평균적인 시간으로 연안역에서 수괴가 외해수와 교체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오염물질의 유입 시점부터 유출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그리고 부영양화 문제 등 연안의 환경적인 자정능력을 진단하기 위한 간접적인 지표로도 많이 사용된다.
POM의 특징은? POM은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원시운동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모델로 자유표면의 시공간적인 변동계산이 가능하므로 개방경계에서 조석강제력을 고려할 수 있어 하구 및 연안역에 많이 적용된다(Oey and Mellor, 1993). 그 특징을 보면 연직혼합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2차 난류종결모델(Second moment turbulence closure model)을 사용하고 있으며 계산시간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중력파를 계산할 때 외부 및 내부모드로 시간스텝을 분리해서 계산하는 모드분리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국토해양부, 경상남도 (2008).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제1차 연안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pp 1-234 

  2. 김종화, 장선덕, 송현구 (1994). “SCS 유출곡선지수법을 이용한 만내 담수 교체시간의 추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14권, 제6호, pp 1453-1463 

  3. 김차겸, 장선덕, 이종섭 (1994). "진해만 조류의 2차원 수리 및 수치모델링", 한국해양학회지, 제19권, 제2호, pp 83-94 

  4. 남기수 (1982). 마산만의 담수교체시간, 해양연구소보, 제4권, pp 1-10 

  5. 장선덕, 이문옥, 김종화, 박광순, 김복기, 임기봉 (1984). 진해만 동부해역의 해수유동,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pp 7-23 

  6. 한국해양연구소 (1996). 한반도 주변 조석조화상수 자료집, 한국 해양연구소, 282 pp 

  7. 홍재상 (1987). "1983년 진해만 일대 해역의 여름철 저층 용존 산소의 결핍과 저서생물량과의 관계", 한국해양학회지, 제22권, 제4호, pp 246-256 

  8. Abdelrhman, M.A. (2002). "Simplified Modeling of Flushing and Residence Times in 42 Embayments in New England, USA, with Special Attention to Greenwich Bay, Rhode Island",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62, pp 339-351 

  9. Blumberg, A.F. and Mellor, G.L. (1987). A Description of a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Circulation Model, In:N. Heaps, Editor,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Models, American Geophysical Union, p 208 

  10. Bolin, B. and Rodhe, H. (1973). "A Note on the Concept of Age Distribution and Transit Time in Natural Reservoirs", Tellus, Vol 25, No 1, pp 58?62 

  11. Braunschweig, F., Martins, F., Chambel, P. and Neves, R. (2003). "A Methodology to Estimate Renewal Time Scales in Estuaries: The Tagus Estuary Case", Ocean Dynamics, Vol 53, No 3, pp 137-145 

  12. Bricelj, V.M., and Lonsdale, D.J. (1997) "Aureococcus Anophagefferens:Causes and Ecological Consequences of Brown Tides in U.S. Mid-Atlantic Coastal Waters", Limnological Oceanography, Vol 42, pp 1023-1038 

  13. Fischer, H.B., List, E.J., Koh, R.C.Y., Imberger, J. and Brooks, N.H. (1979). Mixing in Inland and Coastal Waters, Academic Press, New York, 483 pp 

  14. Gillibrand, P.A (2001). "Calculating Exhange Times in a Scottish Fjord Using a Two-Dimensional, Laterallyintegrated Numerical Model",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53, pp 437-449 

  15. J $\o$ rgensen, B.B. and Richardson, K. (1996). Eutrophication in Coastal Marine Ecosystems. Coastal and Estuarine Studies, Vol 52, 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gton, DC, p 272 

  16. Josefson, A.B. and Rasmussen, B. (2000). "Nutrient Retention by Benthic Macrofaunal Biomass of Danish Estuaries:Importance of Nutrient Load and Residence Time", 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50, pp 205-216 

  17. Monbet, Y. (1992). "Control of Phytoplankton Biomass in Estuar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Microtidal and Macrotidal Estuaries", Estuaries, Vol 15, pp 563-571 

  18. Monsen, N.E., Cloern, J.E. and Jucas, L.V. (2002). "A Comment on the Use of Flushing Time, Residence Time, and Age as Transport Time Scales",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47, No 5, pp 1545-1553 

  19. Nixon, S.W., Ammerman, J., Atkinson, L.P., Berounsky, V.M., Billen, G., Boicourt, W.C., Boynton, W.R., Church, T.M., Ditoro, D.M., Elmgren, R., Garber, J.H., Giblin, A.E., Jahnke, R.A., Owens, N.J.P., Pilson, M.E.O. and Seitzinger, S.P. (1996). "The Fate of Nitrogen and Phosphorous at the Land-sea Margin of the North Atlantic Ocean", Biogeochemistry, Vol 35, pp 141-180 

  20. Oey, L.-Y. and Mellor, G.L. (1993). "Subtidal Variability of Estuarine Outflow, Plume, and Coastal Current: A Model Study",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Vol 23, pp 164-171 

  21. Press, W.H., Teukolsky, S.A. and Flanney, B.P. (1994). Numerical Recipes in Fortran, Seco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80 

  22. Sanford, L.P., Boicourt, W.C. and Rives, S.R. (1992). "Model for Estimating Tidal Flushing of Small Embayments", ASCE Journal of Waterway, Port,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Vol 118, pp 635-654 

  23. Takeoka, H. (1984). "Fundamental Concepts of Exchange and Transport Time Scales in a Coastal S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3, No 3, pp 311-326 

  24. Wang, C.F., Hsu, M.H. and Kuo, A.Y. (2004). "Residence Time of the Danshuei River Estuary",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60, pp 381-393 

  25. Zimmerman, J.T.F. (1976). "Mixing and Flushing of Tidal Embayments in the Western Dutch Wadden Sea, Part I:Distribution of Salinity and Calculation of Mixing Time Scales", Netherlands Journal of Sea Research, Vol 10, pp 149-191 

  26. Zimmerman, J.T.F. (1988). "Estuarine Residence Times", In: B. Kjerfv, Editors, Hydrodynamics of Estuaries, Vol 1, pp 75-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