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FDC를 이용한 영산강 주요 오염 부하 저감에 따른 승촌보 및 죽산보 녹조 현상 개선 효과 분석
Effect of major pollution sources on algal blooms in the Seungchon weir and Juksan weir in the Yeongsan River using EFDC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5, 2020년, pp.369 - 381  

김진수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재영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서동일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의 송촌보와 죽산보의 녹조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을 분석하고 3차원 수리동역학 EFDC 모델을 이용하여 유역의 점오염원비점오염원의 영향을 분석하여 수질 개선을 위한 관리 우선순위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8개의 주요 지류와 2개의 하수처리장의 2018-2019년의 2년 간 수질 변화특성 분석하였으며 간헐적으로 다량의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영산강 유역 농경지의 배수문 등 비점오염원은 실측자료의 부족으로 정확한 분석이 어려웠다. EFDC 모델은 수위 및 수질에 대하여 각 6개 지점에 대해서 2018-2019년의 2년간 자료에 대하여 보정하였으며 각 오염원을 중심으로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광주 제 1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는 현재의 수질을 75%까지 개선하여도, 승촌보 및 죽산보의 녹조현상이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방류수 수질이 개선되어도 영산강 유역 조류가 성장하기에 충분한 영양염류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승촌보의 수질에는 황룡강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죽산보의 수질에는 지석천의 영향이 가장 크고 이어서 황룡강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승촌보의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황룡강의 수질 개선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며 죽산보는 수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석천의 수질 개선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타 소규모 비점오염부하 유입원에 대하여는 실측자료의 부재로 적절한 분석이 어려웠으며 향후 연구에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observed water quality, algal blooms and flow rates in the Yeongsan River and its boundaries including 8 tributaries and 2 wastewater treatment plants for two years of 2018-2019 were analyzed. It seems effects of non-point source load inputs from basin areas to the river may be signif...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류 및 하수처리장 그리고 비점오염원 등 영산강 본류로 유입되는 각 오염원의 수질 및 거동 그리고 본류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2018년부터 2019년 11월 30일 동안의 영산강의 수질경향을 토대로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 모델을 활용하여 광주 제1 하수저리장 방류수 및 주요 지류들의 수질 개선에 따른 영산강 본류의 수질 변화를 확인하고 나아가 영산강 내 승촌보, 죽산보를 기준으로 지류의 수질 개선 우선순위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의 본류의 수질 변화특성과 유역의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들의 영향을 승촌보와 죽산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수리동역학 및 수질 모델인 EFDC를 사용하여 하수처리장 및 주요 지류들의 수질 개선에 따른 영산강 본류의 수질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수질 개선 필요 우선순위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 , 2014). 본 연구에서는 지류 및 하수처리장 그리고 비점오염원 등 영산강 본류로 유입되는 각 오염원의 수질 및 거동 그리고 본류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2018년부터 2019년 11월 30일 동안의 영산강의 수질경향을 토대로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 모델을 활용하여 광주 제1 하수저리장 방류수 및 주요 지류들의 수질 개선에 따른 영산강 본류의 수질 변화를 확인하고 나아가 영산강 내 승촌보, 죽산보를 기준으로 지류의 수질 개선 우선순위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의 본류의 수질 변화특성과 유역의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들의 영향을 승촌보와 죽산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수리동역학 및 수질 모델인 EFDC를 사용하여 하수처리장 및 주요 지류들의 수질 개선에 따른 영산강 본류의 수질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수질 개선 필요 우선순위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승촌보의 수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곳은 어디인가? 광주 제 1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는 현재의 수질을 75%까지 개선하여도, 승촌보 및 죽산보의 녹조현상이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방류수 수질이 개선되어도 영산강 유역 조류가 성장하기에 충분한 영양염류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승촌보의 수질에는 황룡강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죽산보의 수질에는 지석천의 영향이 가장 크고 이어서 황룡강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승촌보의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황룡강의 수질 개선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며 죽산보는 수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석천의 수질 개선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산강이 수질이 오염된 배경은 무엇인가? 영산강은 유역면적 3,371 km2의 국내에서 네 번째로 큰 강 이며 상수원이용과 함께 호남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관리되어 왔다. 그러나 80년대 이후로 도시화 및 산업화와의 영향으로 수질 오염이 심화되었으며 1996년도 몽탄취수장 폐쇄와 함께 상수원으로서 기능을 상실한 후 현재까지 4대강 중 가장 수질이 악화된 하천이다(Song, 2016). 또한 영산강 유역의 전체 인구 중 80% 이상이 상류의 광주광역시와 같은 대도시에 밀집되어 있고, 산업단지와 같은 대규모 오염 배출원이 위치하고 있어 여러 수질 개선 사업에도 불구하고 기존과 같은 상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 복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Lee, 2020).
영산강의 특징은 무엇인가? 영산강은 유역면적 3,371 km2의 국내에서 네 번째로 큰 강 이며 상수원이용과 함께 호남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관리되어 왔다. 그러나 80년대 이후로 도시화 및 산업화와의 영향으로 수질 오염이 심화되었으며 1996년도 몽탄취수장 폐쇄와 함께 상수원으로서 기능을 상실한 후 현재까지 4대강 중 가장 수질이 악화된 하천이다(Song,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a, S.M., Ki, S.J., Cho, K.H., Choi, H., and Kim, J.H. (2009). "Effect of environmental flow management on river water quality: a case study at Yeongsan River."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IWA Publishing, Korea, Vol. 59, No. 12, pp. 2437-2446. 

  2. Choi, H.G., Kim, D.I., Na, C.H., and Han, K.Y. (2012). "Assessment of EFDC model for water quality analysis in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7, pp. 685-696. 

  3. Ha, D.W., Shim, H., Kim, H., Kim, Y., Cho, S., Song, C.S., Kang, T.G., and Kim, Y.S. (2018).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pollution loads at small stream in Yeongsan River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SWE, Vol. 34, No. 1, pp. 1-9. 

  4. Hamrick, J.M. (1992).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mputer code: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aspects. Special Report, The College of William and Mary, Virginia Institute of Marine Science, pp. 1-317. 

  5. Jeong, D.H., Lee, W.S., Chung, H.M., Park, J.H., Choi, I.C., Park, S.M., Cho, Y.S., Ju, B.G., Kim, E.S., Kim, C.S., Park, J.W., Yang, M.H., Son, B.Y., and Lee, Y.N. (2017). A study on the optimization for TOC water quality management of public sewage treatment works (II).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1-60. 

  6. Jin, Y.H., and Park, S.C. (2006). "Study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source in the urban area of the Yeongsan-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SWE, Vol. 22, No. 4, pp. 605-613. 

  7. Jung, B.H (2019).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Yeongsan River, it is urgent to expand the Gwangju Waste Water Treatment Plant, accessed 30 March 2020, . 

  8. Jung, S., Kim, K., Seo, D., Kim, J., and Lim, B. (2013).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ade classification of Yeongsan river tribut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SWE, Vol. 29, No. 4, pp. 504-513. 

  9. Kang, T.W., Lee, H.J., Song, S.H., Park, S.J., Kim, S.D., Park, J.W., Yoo, S.W., Kim, Y.S., Jung, J.W., Lee, K.H., Im, S.S., Lee, Y.H., Hwang, T.H., Kim, D.Y., Cho, S.H., Na, J.E., Seo, K.A., Hwang, E.J., Lim, H.J., Choi, J.H., Cho, K.H., Pyo, J.C., Park, J.H., and Jeong, S.U. (2014). A study on the chang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n Yeongsan River basin (II).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1-30. 

  10. Kim, J.S. (2011). Application on TMDLs for water purification in Yeongsan River. Ph. D. dissertation,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pp. 13-35. 

  11. Kim, J.W. (2019). Prediction of Yeungsan River water quality using EFDC. Master thesis,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pp. 1-46. 

  12. Kim, J.Y., Lee, T.E,, and Seo, D.I. (2017). "Algal bloom prediction of the lower Han River, Korea using the EFDC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Ecological Modelling, Elsevier Science B.V, Vol. 366, pp. 27-36. 

  13. Lee, G.Y. (2020).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of Yeongsan River using EFDC model. M. S. dissertation,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 7-11.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MOLIT) (2009). Yeongsan River baseline plan report. pp. 437-451. 

  15. Park, K., Kuo, A.Y., Shen, J., and Hamrick, J.M. (1995).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eutrophication model (HEM-3D): Description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 process submodels. Special Report, Marine Science and Ocean Engineering, pp. 1-327. 

  16. Park, S.C., Cho, K.A., Kang, K.W., Gwak, P.J., and Kim, J.S. (2016).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due to reduction rates of sewage treatment facility in Gwangju." Institute coastal environmental research, Vol. 16, No. 7, pp. 47-60. 

  17. Park. S.Y. (2017). Algal blooming characteristic and best management practices Yeongsan River considering pllutant load from tributaries.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pp. 2-95. 

  18. Seo, I.J. (2010). Investigation of water quality in upstream regions of Yeongsan River and study on its improvement. Master thesis,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 15-60. 

  19. Shin, C.M., Kim, D.R., and Song, Y.S. (2019).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Yeongsan River and estuary using EFDC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WRA, Vol. 35, No. 6, pp. 580-588. 

  20. Shin, C.M., Min, J.H., Park, S.Y., Choi, J., Park, J.H., Song, Y.S., and Kim, K. (2017). "Operational water quality forecast for the Yeongsan River using EFDC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SWE, Vol. 33, No. 2, pp. 219-229. 

  21. Song, S.H. (2016). Water quality monitoring on tributaries in Yeongsan River bas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3-31. 

  22. Tetra Tech, Inc. (2007).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theory and computation volume 3: Water quality module manua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