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 황색포도알균 감염증의 임상 양상에 대한 고찰: 지역사회 관련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을 중심으로
A Review of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Children with an Emphasis on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Infections 원문보기

소아감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v.16 no.2, 2009년, pp.150 - 161  

최영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소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성지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양미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준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오지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진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최은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환종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황색포도알균은 소아에서 피부 및 연부조직 감염과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균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지역사회관련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communityassociated MRSA, CA-MRSA)에 의한 심한 감염이 증가하는 추세로 알려졌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소아에서의 황색포도알균 감염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체계적 연구 결과가 아직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기관에서 경험한 소아 황색포도알균 감염을 CA-MRSA 감염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방 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4년 동안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치료받은 소아로부터 분리되었던 황색포도알균의 항균제 감수성 결과 및 균주가 분리되었던 환자 429명의 후향적 의무기록을 통해 검체 부위, 병원 감염 여부, 기저질환, 면역상태, 임상 질환 및 임상 경과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감염의 발생 장소와 위험인자의 유무에 따라 원내 발생(Hospital-onset, HO), 또는 지역사회 발생(community-onset, CO) 의료기관 관련 감염(healthcare-associated, HA)과 지역사회 관련 감염(community-associated, CA)로 구분하였다. 결 과: 1세 미만의 환자 206명 중에서는 HO-HA 감염이 72%, CO-HA 감염이 7%, 그리고 CA 감염이 21%였으며 1세 이상의 환자 223명 중에서는 각각 48%, 28%, 24%였다. HA감염 중 CO-HA 감염의 비율은 1세 이상 환자군에서 1세 미만에 비해 높았으며(8.6% vs. 37.1%, P <0.001), CO 감염 중 HA 감염의 비율 역시 1세 이상 환자군에서 높았다(24.5% vs.54.3%, P <0.001). 전체 분리된 균주의 57%가 MRSA였고 CA감염의 30% (29/96)가 MRSA였으며, CA-MRSA 중 가장 흔한 감염 형태는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이었다. 결 론 :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감염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알균의 메티실린 내성율이 높으며, CA-MRSA는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이 가장 흔히 일으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Staphylococcus aureus causes a variety of infections, ranging from benign skin infections to fatal invasive infections. Recently,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infections have emerged in patients who do not have established risk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 소아에서 황색포도알균 감염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외국에서 증가하고 있는 CA-MRSA 감염에 대한 자료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년의 기간 동안 단일기관에서 경험했던 소아에서의 황색포도알균 감염의 임상적 특징을 관찰하고 항균제 내성 양상을 파악하여, 향후 CA-MRSA 감염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aureus infection, HA)는 ① 최근 1년 이내의 입원, 수술, 인공투석, 또는 장기요양시설에 거주하였던 병력이 있거나, ② 분리 당시 중심정맥관, 도뇨관, 기관절개관, 위조루 등 의료기구가 체강 내에 있는 경우, 그리고 ③ 과거 MRSA가 분리되었던 병력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17, 22, 23). 중 입원 48시간 이후에 균이 분리되었던 경우는 [1] 원내 발생, 의료기관 관련 황색포도알균 감염(hospital-onset, healthcare-associated S. aureus infection; HO-HA)으로 정의하였으며, 입원 48시간 이내, 혹은 응급실이나 외래에서 균이 분리되었던 사례 중 상기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에는 [2] 지역사회 발생, 의료기관 관련 감염(community-onset, healthcare-associated S. aureus infection; CO-HA)으로정의하였다. [3] 지역사회 관련 황색포도알균 감염(community-associated 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Lowy FD.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N Engl J Med 1998;339:520-32. 

  2. Steinberg JP, Clark CC, Hackman BO. Nosocomial and community-acquired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s from 1980 to 1993: impact of intravascular devices and methicillin resistance. Clin Infect Dis 1996;23:255-9. 

  3. Emori TG, Gaynes RP. An overview of nosocomial infections, including the role of the microbiology laboratory. Clin Microbiol Rev 1993;6:428-42. 

  4. Brumfitt W, Hamilton-Miller J.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N Engl J Med 1989;320:1188-96. 

  5. Chong Y, Lee K. Present situ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Korea. J Infect Chemother 2000;6:189-95. 

  6. Kim HB, Jang HC, Nam HJ, Lee YS, Kim BS, Park WB et al. In vitro activities of 28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tertiary-care hospitals in Korea: a nationwide survey.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4;48:1124-7. 

  7. Goetz A, Posey K, Fleming J, Jacobs S, Boody L, Wagener MM et al.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the community: a hospital-based study.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1999;20:689-91. 

  8. Crossley K, Landesman B, Zaske D. An outbreak of infections caused by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resistant to methicillin and aminoglycosides. II. Epidemiologic studies. J Infect Dis 1979;139:280-7. 

  9. Kallen AJ, Driscoll TJ, Thornton S, Olson PE, Wallace MR. Increase in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t a Naval Medical Center.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0;21:223-6. 

  1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our pediatric deaths from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innesota and North Dakota, 1997-1999. JAMA 1999;282:1123-5. 

  11. Diederen BM, Kluytmans JA. The emergence of infections with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Infect 2006;52:157-68. 

  12. Ma SH, Lee YS, Lee SH, Kim HK, Jin JS, Shin EK et al.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lones with distinct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features in a Korean community. J Med Microbiol 2007;56:866-8. 

  13. Kim JH, Kang EJ, Jung YS, Jeon MH, Kim TH, Sin HB et al. Two cases of bacteremia cased by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 and Chemother 2009;41:58-61. 

  14. Ko KS, Peck KR, Lee JY, Rhee JY, Kwon KT, Song JH. Prevalence and genotypes of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Asian countries. Infect and Chemother 2006;38:236. 

  15. Kim ES, Song JS, Park KU, Shin S, Park WB, Kim NJ, et al.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 and Chemother 2006;38:308. 

  16.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2002.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twelfth informational supplement (M100- S12), Wayne, PA. 

  17. Klevens RM, Morrison MA, Nadle J, Petit S, Gershman K, Ray S et al. Invasiv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the United States. JAMA 2007;298:1763-71. 

  18. Horan TC, Gaynes RP, Martone WJ, Jarvis WR, Emori TG. CDC definitions of nosocomial surgical site infections, 1992: a modification of CDC definitions of surgical wound infection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1992;13:606-8. 

  19. Horan TC, Andrus M, Dudeck MA. CDC/NHSN surveillance definition of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and criteria for specific types of infections in the acute care setting. Am J Infect Control 2008;36:309-32. 

  20. Weber PC, Roland PS, Hannley M, Friedman R, Manolidis S, Mats G et al. The development of antibiotic resistant organisms with the use of ototopical medication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4;130:S89-94. 

  21. Song JS, Choe PG, Song KH, Cho JH, Kim SH, Bang JH et al. Multicenter Study for Frequency and Clinical Features of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Korea. Infect and Chemother 2006;38:325-33. 

  22. Groom AV, Wolsey DH, Naimi TS, Smith K, Johnson S, Boxrud D, et al.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a rural American Indian community. JAMA 2001;286:1201-5. 

  23. Maree CL, Daum RS, Boyle-Vavra S, Matayoshi K, Miller LG.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causing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Emerg Infect Dis 2007;13:236-42. 

  2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among healthy newborns-Chicago and Los Angeles County, 2004. MMWR Morb Mortal Wkly Rep 2006;55:329-32. 

  25. Fortunov RM, Hulten KG, Hammerman WA, Mason EO, Jr., Kaplan SL. Community-acquired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term and near-term previously healthy neonates. Pediatrics 2006;118:874-81. 

  26. Kim HB, Sa CM, Yoo J, Kim BS, Yun OJ, Yoon HR et al.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the patients admitted to nontertiary hospitals. Korean J Infect Dis 2000;32:259-63. 

  27. Lee SO, Kim HY, Park ES, Jin HY, Ki HK, Choi HJ et al.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Report July 2007-June 2008. Hospital Infection Control 2008;13:69-82. 

  28. Jeong HY, Jang SJ, Lee SD, Park SH, Chang JY, Min CS, Lee SY et al.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community in Korea. [SL-09] In : Program and abstract of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imicrobial Agent and Resistance (Seoul). Republic of Korea : Asian-Pacific Research Foundation for Infectious Diseases, 2003. 

  29. Tokue Y, Shoji S, Satoh K, Watanabe A, Motomiya M. Comparison of a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and a conventional microbiologic method for detec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92;36:6-9. 

  30. Ubukata K, Nakagami S, Nitta A, Yamane A, Kawakami S, Gugiura M et al. Rapid detection of the mecA gene i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by enzymatic detection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ducts. J Clin Microbiol 1992;30:1728-33. 

  31. Gillespie MT, Lyon BR, Skurray RA. Typing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y antibiotic resistance phenotypes. J Med Microbiol 1990;31:57-64. 

  32. Cookson B, Talsania H, Naidoo J, Phillips I. Strategies for typing and properties of epidemic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Eur J Clin Microbiol 1986; 5:702-9. 

  33. Naimi TS, LeDell KH, Como-Sabetti K, Borchardt SM, Boxrud DJ, Etienne J et al. Comparison of communityand health care-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JAMA 2003;290:2976-84. 

  34. Salgado CD, Farr BM, Calfee DP.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 metaanalysis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Clin Infect Dis 2003;36:131-9. 

  35. Fridkin SK, Hageman JC, Morrison M, Sanza LT, Como-Sabetti K, Jerningan JA et al.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disease in three communities. N Engl J Med 2005;352:1436-44. 

  36. Park CH, Jeong YJ, Choi WJ, Park SB, Kim HS, Kang CM et al. 4 cases of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Korean J Pediatr 2004;47:106-10. 

  37. Vandenesch F, Naimi T, Enright MC, Lina G, Nimmo GR, Heffernan H et al.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rrying Panton- Valentine leukocidin genes: worldwide emergence. Emerg Infect Dis 2003;9:978-84. 

  38. Lina G, Piemont Y, Godail-Gamot F, Bes M, Peter MO, Gauduchon V et al. Involvement of Panton-Valentine leukocidin-producing Staphylococcus aureus in primary skin infections and pneumonia. Clin Infect Dis 1999;29: 1128-32. 

  39. Kim JS, Park JS, Song WK, Kim HS, Cho HC, Lee KM et al. Panton-Valentine leukocidin 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blood in Korea. Korean J Lab Med 2007;27:286-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