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 직업군인의 건강수준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Status of Male Military Officer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6 no.3, 2009년, pp.49 - 62  

김봉정 (여주대학) ,  정애숙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주열 (남서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of male professional soldiers. Methods: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data was collected from a randomly stratified sample population of 763 officers and sergeants who were employed in 34 units in the Korean military.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 성인과 다른 특수한 군 조직 환경에서 근무하는 직업군인의 건강수준과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하기 위해서는 육․해․공군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표본 선정과 군의 특수한 직업환경적 요인을 함께 고려한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군인의 건강실태를 파악하고 직업환경 특성, 건강행위와 비만도 등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통하여 직업군인의 건강증진에 필요한 사업방향 설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직업군인의 건강수준을 확인하고 직업환경 특성, 건강행위와 비만도 등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단면조사 연구이다.
  • 통상 건강수준이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에 있는 건강의 정도를 말한다. 이 연구에서는 의료적 차원의 건강수준으로서 질병경험과 심혈관질환 이환, 그리고 자가 평가적 차원의 건강수준으로서 자신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이다. 질병경험은 1993년 통계청의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따라 분류된 질환 내에서 호흡기계, 소화기계, 내분비계, 근골격계, 신경계, 피부비뇨기계 질환 중에서 지난 3개월 동안 앓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자가 보고한 질병경험 여부로 하였다.
  • 마지막으로 단면 조사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를 통하여 직업군인의 건강수준, 즉 질병경험과 심혈관질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군 건강증진사업 수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음주행위 분류에 대해 단순 음주횟수 혹은 음주 여부로 분류한 기존 연구와 다르게 AUDIT 점수를 사용하여 과도한 음주행위인 고위험음주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군인의 건강실태를 파악하고 직업환경 특성, 건강행위와 비만도 등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통하여 직업군인의 건강증진에 필요한 사업방향 설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인이 가진 최고의 전투력 수준을 유지해야 하는 국방의 임무수행을 방해할 수 있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군인의 음주, 약물사용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건강행위는 최고의 전투력 수준을 유지해야 하는 국방의 임무수행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 캐나다, 영국 등의 선진국은 1980년대 이후부터 현역군인에 대하여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건강행태조사를 수행하여 국가 건강증진계획과 일치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군 근무자 건강검진 결과의 분석자료에 의하면 군인들의 만성질환 이환율은 일반인들과 비교시 어떻게 나타나는가? 군 근무자 건강검진 결과의 분석자료(국방부, 2002, 2004)에 의하면, 유질환자 중 간질환,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 이환율이 일반 국민보다는 적었지만, 다른 질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군인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었다. 또한 2004년의 건강검진 판정 결과에서 질환의심 대상자 (20.
군인의 음주, 약물사용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건강행위는 국방의 임무수행을 방해할 수 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미국, 캐나다, 영국등의 선진국은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군인의 음주, 약물사용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건강행위는 최고의 전투력 수준을 유지해야 하는 국방의 임무수행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 캐나다, 영국 등의 선진국은 1980년대 이후부터 현역군인에 대하여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건강행태조사를 수행하여 국가 건강증진계획과 일치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의 경우 군인은 건강한 집단이고,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가질 것이라는 일반적 인식으로 국민건강증진사업 대상에 포함되지 않 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고인수. 교사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5 

  2. 국방부. 2002년 군 근무자 건강검진 결과 분석. 서울: 국방부, 2002 

  3. 국방부. 2004년 군 근무자 건강검진 결과 분석. 서울: 국방부, 2004 

  4. 국방부. 2005년 군 간부 건강실태조사: 40세 이상 육해공군 간부를 대상. 서울: 국방부, 2005 

  5. 김남진. 직장인들의 생활습관 행태와 건강상태의 관련성.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7; 24(2): 63-75, 2007 

  6. 김미애, 전진호. 석유화학단지 근로자들의 건강행위 실천 정도와 건강증진 요구도. 산업간호학회지 2004; 13(2): 104-117 

  7. 김유미, 김명희. 한국 건강불평등의 현황과 문제점. 예방의학회지 2007; 40(6): 431-438 

  8. 김종배, 이경재, 박종안, 한성현. 일부 생산직 여성근로자들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3; 13(2): 164-171 

  9. 김진희. 남녀근로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행위와 건강 수준 분석[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0. 김혜련. 만성질환 유병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사회계층별 차이와 건강행태의 영향-서울시민을 대상으로-보건사회연구 2005; 25(2): 3-25 

  11. 보건복지가족부.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중간결과 발표자료 (2008.11.17). http://mw.korea.kr/mw/jsp/mw1_branch.jsp?_actionnews_view&_ propertyt_sec2&_id155323539. 2008 

  12.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검진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06 

  13.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 - 성인보건의식행태-. 서울: 보건복지부, 2006 

  14. 성혜경. 군 간부의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 결정 요인[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15. 윤태호. 우리나라의 사회계층간 건강행태 차이[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16. 이명선.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습관의 관련요인 분석.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5; 12(2): 48-61 

  17. 이순영, 서일. 주요 건강실천행위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역학회지 1995; 17(1): 48-63 

  18. 이준혁. 군 간부들의 건강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9. 정문희 외 5명. 산업장 남성 근로자의 건강행위 관련 요인.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06; 13(4): 310-319 

  20. 정소진, 권영대. 군 간부들의 건강상태 및 건강 관련 행위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군진의학학술지 1999; 30(1): 105-119 

  21. 지선하 외 9명. 한국인 흡연과 사망위험에 대한 11년 추적연구. 한국역학회지 2005; 27(1): 182-190 

  22. 최경혜. 일부 군 간부의 건강증진과 관련된 건강행위와 건강수준 [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1999 

  23. 함정오. 남성 근로자의 건강관련 행위와 건강수준관의 관련성[박사학위논문]. 충남: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01 

  24. Acheson D. Independent inquiry into inequalities in health. London: The Stationary Office. 1998 

  25. Ballweg JA, Li L. Comparison of health habits of military personnel with civilian population. Public Health Report 1989; 104(5); 498-509 

  26. Idler EL, Benyamini Y.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 review of twenty seven community studies. Journal of Health Social Behaviors 1997; 38: 21-37 

  27. Jee SH, Pastor-Barriuso R, Appel LJ, Miller ER, Guallar E. Body mass index and incident ischemic heart disease in South Korean men and wome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5; 162(1): 42-48 

  28. Kaplan GA, Camacho T. Perceived health and mortality: A nine year follow up of the human population laboratory cohort.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983; 117(3): 292-304 

  29. Khaltaev N. Inter-Health fights life-style diseases, World Health May-June 1991; 18-20 

  30. Liang, J. Self-rated physical health among aged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1986; 41(2): 248-260 

  31. RTI International. 2005 Department of Defence Survey of Health Behaviors among Military Personnel: A Component of the Defense lifestyle Assessment Program. USA: North Carolina 2006 

  32. Hwang SY. Lee JH. Comparison of Cardiovascular Risk Profile Clusters Among Industrial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2005; 35(8): 1500-1507 

  33. World Health Organization. Cardiovascular diseases risk factors: New areas for research: Report of a WHO study group.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841, Geneva,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