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소아 청소년에서 비만 및 대사 이상의 유병률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Metabolic Abnormalities in Korean Pediatric Population 원문보기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v.12 no.2, 2009년, pp.207 - 214  

노한내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김규리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엄지현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김정태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진선미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서지영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한혜원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박화영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윤혜선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안영민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손근찬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식생활의 서구화와 운동량의 감소로 우리 나라에서 소아 비만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비만아에서는 고혈압, 이상 지질 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및 당뇨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비만의 유병률 및 비만아에서 동반되는 대사 이상의 유병률을 알아보고 비만의 정도에 따른 대사 이상의 유병률 변화에 대하여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6년 5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노원 을지병원에서 학생 건강 검진을 받은 8,880명의 초 중 고등학생의 기록을 분석하였다. 비만의 유병률은 체질량 지수와 비만도로 측정하였으며 비만 및 과체중인 소아 청소년 각각 588명과 488명을 대상으로 AST 수치, ALT 수치, 공복 혈당, 총콜레스테롤을 검사하였다. 각 검사 항목별의 유병률과 비만의 정도에 따른 유병률 변화에 대하여 t-test, ANOVA test,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value 0.05 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체질량 지수에 의해서 비만의 유병률은 7.2% 이었으며 남아 7.8%, 여아 6.5%가 비만이었고 과체중의 유병률은 25.0%로 남녀 각각 28.8%, 21.0%였다. 비만도에 의해서는 12.3%의 소아 청소년이 비만이었으며 경도 비만 6.3%, 중등도 비만 5.0%, 고도 비만 1.0% 이었고 남아와 여아 각각 15.0%, 9.4%가 비만하였다. 고콜레스테롤혈증, AST 수치 상승, ALT 수치 상승, 고혈압의 유병률은 비만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나(p<0.05) 공복 혈당 상승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ALT 수치 상승의 유병률은 17.7%로 ALT 정상군보다 ALT 상승군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24.7%, 19.1%), 고혈압(11.0%, 9.9%), 공복 혈당 상승(2.0%, 5.2%)의 유병률이 높았다(p<0.05). 결 론: 소아 비만의 상당수에서 대사 이상이 동반되며 이로 인하여 성인에서처럼 제2형 당뇨,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아에서 비만의 정도가 증가할수록 고콜레스테롤혈증, 간 효소치 상승, 고혈압의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 소아 비만이 성인 비만으로 이행할 확률이 높음을 생각하면 소아 청소년 시기에 비만을 조기 발견하여 치료, 관리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Childhood obesity can be complicated by hypertension, hyperlipidemia,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diabetes mellit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metabolic complication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the degree of obesity. Method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비만한 기간이 비만 관련 질환의 동반 이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비만할 경우 성인기에 비만하여지는 것보다 비만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더 높다9,10). 이에 본 연구는 최근 3년간 노원 을지 병원에서 학생 건강 검진을 받은 소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신체 계측치와 혈액 검사 자료를 분석하여 비만 및 혈액 검사에서 나타나는 대사적 합병증의 유병률과 비만 정도에 따른 대사적 합병증의 유병률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목적: 식생활의 서구화와 운동량의 감소로 우리 나라에서 소아 비만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비만아에 서는 고혈압, 이상 지질 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및 당뇨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비만의 유병률 및 비만아에서 동반되는 대사 이상의 유병률을 알아보고 비만의 정도에 따른 대사 이상의 유병률 변화에 대하여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비만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비만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사회 경제적 성장으로 인하여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운동량이 부족해지면서 비만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1∼3) . 소아 청소년기의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할 확률이 높은데 Togashi 등은 치료받은 소아 비만아의 54.
서울 시내 한 초등 학교를 대상으로 시행한 소아의 비만에 대한 연구 보고는 어떻게 되는가? 인천 지역의 비만아를 대상으로 한연구에서는 비만 정도와 공복 혈당 상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비만 정도는 중성 지방과 통계 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18) . 서울 시내 한 초등 학교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는 중등도 및 고도 비만아에서 고혈압은 각각 42.9%, 61.5%, 고콜레스테롤 혈증은 38.8%, 61.5%로 중등도 이상의 비만아에서 비만 관련 질환의 유병률이 매우 높았다 19) . 또한 소아에서 고도 비만인 경우 지방간 38.3%, 고지혈증 61.7%, 고혈압 7.4%, 당뇨병 0.38%로 한 가지 이상의 합병증을 가진 소아가 78.7%라는 보고도 있다 20) .
대사 증후군으로 진단하는 조건은 무엇인가? 비만한 소아에서는 인슐린 저항성, 고혈압, 이상 지질 혈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하여 성인에서처럼 제2형 당뇨나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증가하게 되며 이 외에도 다낭성 난소 증후군, 비알코올성 지방간, 천식, 수면 무호흡증, 담낭염, Blount병, 대퇴골두 골단분리증, 위식도 역류 등의 비대사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6,7) . 또한 비만아에서 보이는 인슐린 저항성, 고혈압, 이상 지질 혈증 등을 조합하여 대사 증후군이라 하는데, NECP 와 ATPIII에 의하면 고혈압, 고 triglyceride 혈증, 높은 공복 혈당, 저 HDL 콜레스테롤혈증, 중심 비만의 5가지 항목에서 3가지 이상을 충족시킬 경우 대사 증후군 으로 진단할 수 있다 6) . 대사 증후군의 발생에는 인슐린 저항성이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비만한 소아는 인슐린 저항성을 동반할 위험이 높다 8)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Park YS, Lee DH, Choi JM, Kang YJ, Kim CH. Trend of obesity in school age children in Seoul over the past 23 years. Korean J Pediatr 2004;47:247-57. 

  2. Oh KW, Jang MJ, Lee NY, Moon JS, Lee CG, Yoo MH, et al.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1997 and 2005. Korean J Pediatr 2008;51:950-5. 

  3. Dietz WH, Gortmaker SL. Preventing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nu Rev Public Health 2001;22:337-53. 

  4. Togashi K, Masuda H, Rankinen T, Tanaka S, Bouchard C, Kamiya H. A 12-year follow-up study of treated obese children in Japa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2;26:770-7. 

  5. Cho SJ, Kim EY, Rho YI, Yang ES, Park YB, Moon KR, et al. The long term follow-up studies of childhood obesity after puberty.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3;6:47-53. 

  6. Weiss R, Caprio S. The metabolic consequences of childhood obesity.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2005;19:405-19. 

  7. Nathan BM, Moran A. Metabolic complications of obes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ore than just diabetes. Curr Opin Endocrinol Diabetes Obes 2008;15:21-9. 

  8. Kohen-Avramoglu R, Theriault A, Adeli K. Emerg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childhood: an epidemiological overview and mechanistic link to dyslipidemia. Clinical Biochemistry 2003;36:413-20. 

  9. Jolliffe CJ, Janssen I. Vascular risks and management of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Vasc Health Risk Manag 2006;2:171-87. 

  10. Styne DM.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prevalence and significance. Pediatr Clin North Am 2001;48:423-54. 

  11. Ogden CL, Carroll MD, Curtin LR, McDowell MA, Tabak CJ, Flegal KM.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1999-2004. JAMA 2006;295:1549-55. 

  12. Wang Y, Monteiro C, Popkin BM. Trends of obesity and underweight in olde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United States, Brazil, China, and Russia. Am J Clin Nutr 2002;75:971-7. 

  13. 강신관, 김순덕, 이제숙. 소아청소년의 과체중과 비만의 유병률 및 관련요인-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대상으로-. Korean J Epidemiol 2008;30:188-97. 

  14. Sung TJ, Kim DH, Hong YJ, Son BK, Chang KJ, Park JY, et al. Effective screening test for obesity in obese adolescents and the correlation among obesity index, body mass index and serum lipid profile. J Korean Pediatr Soc 2003;46:217-23. 

  15. Kim EY, Rho YI, Yang ES, Park SK, Park YB, Moon KR, et al. Six year follow-up of childhood obesity. J Korean Pediatr Soc 2001;44:1295-300. 

  16. Rim JY, Moon JY, Lee CG, Moon KR. Serum lipid profile and nutritional status in 6-7 year old obese children.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8;11:160-8. 

  17. Seo JH.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in Jeju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gree of obesity. Korean J Pediatr 2004;47:362-7. 

  18. Oh YJ, Lee JE, Son BK, Kim SK. The prevalence of elevated serum liver enzymes in obese children.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6;9:218-25. 

  19. Park JB, Choi TI, Kim JS, Jung DS, Kim KN, Lee SY, et al.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risk factors, and obesity related disease in elementary students. J Korean Acad Fam Med 2006;27:104-12. 

  20. Lee DW, Lee CK, Lee C, Hwang YS, Cha SH, Choi Y.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in severely obese children. J Korean Pediatr Soc 1991;34:445-53. 

  21. Rosenberg B, Moran A, Sinaiko AR. Insulin resistance (metabolic) syndrome in children. Panminerva Med 2006;48:229-44. 

  22. Ford E, Giles W, Dietz WH.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AMA 2002;287:356-9. 

  23. Park MJ, Boston BA, Oh MK, Jee SH. Prevalence and trend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the Korean NHANES survey, 1998-2005. J Pediatr [serial online] 2009 Jun 23 [cited 2009 Aug 28]. Available from:URL:// http://www.jpeds.com. 

  24. Chen CH, Huang MH, Yang JC, Nien CK, Yang CC, Yeh YH,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an adult population of Taiwan: metabolic significa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nonobese adults. J Gastroenterol Hepatol 2006;40:1482-9. 

  25. Barshop NJ, Sirlin CB, Schwimmer JB, Lavine JE. Review article: epidemiology, pathogenesis and potential treatments of paediatric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liment Pharmacol Ther 2008;28:13-24. 

  26. Park HS, Han JH, Choi KM, Kim SM. Relation between elevated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olescents. Am J Clin Nutr 2005;82:1046-51. 

  27. Fraser A, Longnecker MP, Lawlor DA. Prevalence of elevated alanine aminotransferase among US adolescents and associated factors: NHANES 1999-2004. Gastroenterology 2007;133:1814-20. 

  28. Yoo JS, Lee SY, Kim JN, Yoo SM, Sung EJ, Yim JE. Relationsip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s a surrogate of NAFL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obese Korean children. Diabetes Res Clin Pract 2008;81:321-6. 

  29. Abate N.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pathogenic role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J Diabetes Complications 2000;14:154-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