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센서 개발을 위한 발광 유전자의 대장균에서의 발현 시스템 분석
Expression of the lux Genes in Escherichia coli for the Basis of Development of Biosensor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5 no.4, 2009년, pp.419 - 424  

조미미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  김영두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  강경숙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  김숙경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바이오임상표준센터) ,  양인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바이오임상표준센터) ,  박상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바이오임상표준센터) ,  이찬용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광 세균 Photobacterium과 Vibrio의 lux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유전자 전이시킨 발광표현형 대장균이 내는 빛의 세기를 조사하였다. 여러 대장균 균주에 형질전환 시켰는 바, 빛을 내는데 관여하는 효소들을 코드하는 유전자를 모두 포함하는 Photobacterium leiognathi lux 오페론이 삽입된 재조합플라스미드(PlXba.pT7-3)가 형질전환된 대장균 43R (Escherichia coli 43R) 균주에서는 발광세기가 다른 균주에 비해 1,000배 이상 되었으며, Vibrio harveyi luxA 유전자와 luxB 유전자를 융합시킨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플라스미드(VhluxAB.pT7-5)가 형질전환 된 대장균 43R (E. coli 43R)에서는 기질인 fatty aldehyde를 가하면 단일 콜로니에서도 빛을 볼 수 있게 되는 대장균 형질전환체를 얻었다. 또한 이들이 중금속에 노출되었을 때 생물발광이 감소하였으며, 이들 발광 대장균 형질 전환체가 담긴 고정화된 세포에서도 빛을 내는 것을 관측함으로써 이들 실험 결과들이 lux 유전자를 활용한 바이오센서 시스템 개발의 기반 기술이 될 가능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ovide the basis of biosensor based on the lux genes from bioluminescent bacteria of Photobacterium leiognathi and Vibrio harveyi, we test the expression of lux genes in several strains of Escherichia coli. The expression of the recombinant plasmid of PlXba.pT7-3, containing all lux genes requ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발광 세균이 독성 물질에 노출되면 발광대사에 저해를 미치게 되어 발광량이 감소하게 되며 미량의 독성물질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독성 물질의 유무 및 독성정도를 아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 7, 18). 따라서 본 실험에서 만들어진 대장균의 발광 체계가 중금속 물질에 대한 생물발광 반응성을 나타내는 지를 일차적으로 조사하였다.
  • 생물 발광은 높은 민감도, 짧은 분석시간, 다양한 시험 체계를 갖출 수 있음으로써 생물 발광은 세포 생존도의 표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세균의 biomass 결정에 매우 적합한 조건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광 세균의 lux 유전자를 추출하여 대장균에서 발현시켜 빛이 나오는 정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미생물 계수 측정 시스템 및 중금속 등을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로 활용될 수 있을 지를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발광이란 무엇인가? 생물발광(bioluminescence)은 특정 환경에서 외부의 빛 에너지 공급 없이 독자적으로 빛을 내는 것을 일컬으며 어떤 유기화합물이 효소의 작용으로 산화되면서 그때 방출되는 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체외로 나오는 현상으로 일종의 광화학 반응이다(5, 8). 세균이나 균류에서는 발광기관이 없고 세포 속에 있는 발광물질을 산화하여 빛을 내지만, 어류 등의 발광생물은 대개 특수하게 분화된 발광기관을 갖고 있다(5, 8).
생체발광 영상으로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은 무엇으로 표지되어야 하는가? 생체발광(in vivo bioluminescence)영상으로 관찰하고자 하는 생물학적 대상물(박테리아, 종양세포, 면역세포, 유전자 등)은 빛을 발생하는 효소(luciferase)(1, 13, 14) 혹은 형광단백질을 코딩하는 보고유전자(reporter gene)로 표지 되어야 한다(4, 6, 19). 일련의 luciferase들은 해저 갑각류, 어류, 세균, 곤충 등에 존재하는데 이 효소가 효소 특이 기질을 산소, ATP 등의 존재 하에 산화시킴으로써 빛을 생성하게 된다(5, 8).
세균이나 균류와 어류 등의 생물발광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생물발광(bioluminescence)은 특정 환경에서 외부의 빛 에너지 공급 없이 독자적으로 빛을 내는 것을 일컬으며 어떤 유기화합물이 효소의 작용으로 산화되면서 그때 방출되는 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체외로 나오는 현상으로 일종의 광화학 반응이다(5, 8). 세균이나 균류에서는 발광기관이 없고 세포 속에 있는 발광물질을 산화하여 빛을 내지만, 어류 등의 발광생물은 대개 특수하게 분화된 발광기관을 갖고 있다(5,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liunin, K., S.G. Walker, J. Smith, and R.F.B. Turner. 1996. Characterization of in vivo reporter systems for gene expression and biosensor applications based on luxAB luciferase genes. Appl. Environ. Microbiol. 62, 2013-2021 

  2. Boute, N., R. Jockers, and T. Issad. 2002. The use of resonance energy transfer in high-throughput screening: BRET versus FRET. Trends Pharmacol. Sci. 23, 351-354 

  3. Boylan, M., J. Pelletier, and E.A. Meighen. 1989. Fused bacterial luciferase subunits catalyze light emission in eukaryotes and prokaryotes. J. Biol. Chem. 264, 1915-1918 

  4. Brennerova, M.V. and D.E. Crowely. 1994. Direct detection of rhizosphere-colonizing Pseudomonas sp. using an Escherichia coli rRNA promoter in a Tn7-lux system. FEMS Microbiol. Ecol. 14, 319-330 

  5. Campbell, A.K. 1989. Living light: Biochemistry, function, and biomedical applications. Essays Biochem. 24, 41-76 

  6. Chalfie, M., Y. Tu, G. Euskirchen, W.W. Ward, and D.C. Prasher. 1994. Green fluorescent protein as a marker for gene expression. Science 263, 802-805 

  7. Chung, K.H., H.S. Kim, E.S. Lee, S.J. Jung, J.G. Lee, E.K. Kim, and U.H. Chun. 1999. Response of Photobacterium phosphoreum to heavy metal. Kor. J. Biotechnol. Bioeng. 14, 342-350 

  8. Herring, P.J. 1987. Systematic distribution of bioluminescence in living organisms. J. Biolumin. Chemilumin. 1, 147-163 

  9. Hoffman, R.M. 2004. Imaging tumor angiosis with fluorescent proteins. Apmis 112, 441-449 

  10. Lee, C.Y., R.B. Szittner, and E.A. Meighen. 1991. The lux genes of the luminous bacterial symbiont, Photobacterium leiognathi, of the ponyfish. Eur. J. Biochem. 201, 161-167 

  11. Lee, C.Y. and E.A. Meighen. 1992. The lux genes in Photobacterium leiognathi are closely linked with genes corresponding in sequence to riboflavin synthesis gen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86, 690-997 

  12. Lee, C.Y., D. O'Kane, and E.A. Meighen. 1994. Riboflavin synthesis genes are linked with the lux operon of Photobacterium phosphoreum. 176, 2100-2104 

  13. Marschner, P. and D.E. Crowely. 1996. Physicological activity of a bioluminescent Pseudomonas fluolescens (strain 2-79) in the rhizosphere of mycorrhizal and non-mycorrhizal pepper (capsicum annuum L.). Soil Biol. Biochem. 28, 869-876 

  14. Maturbutham, U., J.E. Thonnard, and C.G. Sayler. 1997. Bioluminescence induction response and survival of the bioreporter bacterium Pseudomonas fluorescens HK44 in nutrient-deprive conditions. Appl. Microbiol. Biotechnol. 47, 151-176 

  15. Meighen, E.A. 1991. Molecular biology of bacterial bioluminescence. Microbiol. Rev. 55, 123-142 

  16. Meighen, E.A. and P. Dunlop. 1993. Phylogical, biochemical, and genetic control of bacterial bioluminescence Adv. Microbiol. Physiol. 34, 1-67 

  17. Min, J.J., S.M. Moon, Y.J. Hong, K.O. Cho, H.S. Bom, and H.E. Choy. 2005. Detection of solid tumor using light emitting E. coli. Molecular Imaging Biol. 7, 144 

  18. Van Dyk, T.K., W.R. Majarian, K.B. Konstantinov, R.M. Young, P.S. Dhurjati, and R.A. Larossa. 1994. Rapid and sensitive pollutant detection by induction of heat shock gene-bioluminescence gene fusions. Appl. Environ. Microbiol. 60, 1414-1420 

  19. Wu, J.C., J.R. Tseng, and S.S. Gambhir. 2004. Molecular imaging of cardiovascular gene products. J. Nucl. Cadiol. 11, 491-505 

  20. Yu, Y.A., S. Shabahang, T.M. Timiryasova, Q. Zhang, R. Beltz, I. Gentschev, W. Goebel, and A.A. Szalay. 2004. Visualization of tumors and metastases in live animals with bacteria and vaccina virus encoding light emitting proteins. Nature Biotechnol. 22, 313-3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