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방공 지휘통제경보체계를 위한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Efficient C2A 원문보기

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 Journal of the KIMST, v.12 no.6, 2009년, pp.733 - 738  

권철희 (LIG넥스원(주)) ,  홍동호 (LIG넥스원(주)) ,  이동언 (LIG넥스원(주)) ,  이종순 (LIG넥스원(주)) ,  김영빈 (LIG넥스원(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efficient Command Control and Alert(C2A). Information fusion must be done for knowing the state and identification of targets using multi-sensor. The threat priority of targets which are processed and identified by information fus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할당된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화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실제 시스템 구축 시 운용자 운용 효율성 및 적합성 등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 소개한 방법으로 구축된 방공 지휘통제경보체계관련 프로토타입을 소개한다.
  • 본론에서는 상위체계로부터 수신된 공중 항적정보와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감시체계로부터 수신된 공중 항적정보를 융합하여 통합 항적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다음으로, 상황평가를 실시하여 위협항적으로 분류된 항적은 상위 지휘통제경보체계가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타격체계로 위협 항적을 할당하는 무기할당과 하위 지휘통제경보체계로 위협 항적을 할당하는 표적할당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할당된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화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실제 시스템 구축 시 운용자 운용 효율성 및 적합성 등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 이제는 단일 표적에 대한 단독 대응에 대한 사항을 다중 표적 다중 타격체계로 확장하도록 하자. 본 논문에서는 Nearest Neighborhood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위협 항적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를 수행해야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방공 지휘통제경보체계의 무기할당을 위한 설계 및 구현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기존 방공체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상위체계 및 감시체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융합하고, 융합된 결과를 이용하여 전장 상황을 평가한다.
  • 본 논문은 언급된 체계 아키텍쳐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저고도 방공 체계에서 내포하고 있는 지휘관의 지휘통제 결심지연, 상당부분 청각에 의존하는 명령 하달에 따른 중복 및 누락 교전 등의 단점을 보완하고 보유 자산에 신속, 정확하게 임무를 배분함으로써 방공작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 본론에서는 상위체계로부터 수신된 공중 항적정보와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감시체계로부터 수신된 공중 항적정보를 융합하여 통합 항적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다음으로, 상황평가를 실시하여 위협항적으로 분류된 항적은 상위 지휘통제경보체계가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타격체계로 위협 항적을 할당하는 무기할당과 하위 지휘통제경보체계로 위협 항적을 할당하는 표적할당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 이제는 단일 표적에 대한 단독 대응에 대한 사항을 다중 표적 다중 타격체계로 확장하도록 하자. 본 논문에서는 Nearest Neighborhood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위협 항적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한다.
  • 알고리즘으로 산출된 결과는 지휘관이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 및 의사 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청각 및 시각적인 방법을 제안했다. 제안된 내용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토타입을 소개하였다. 소개한 프로토타입은 향후 구축될 방공 지휘통제경보체계에 상당 부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구축된 프로토타입의 구성 모듈 및 컴포넌트들은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것이다.
  • 다음으로, 상황평가를 실시하여 위협항적으로 분류된 항적은 상위 지휘통제경보체계가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타격체계로 위협 항적을 할당하는 무기할당과 하위 지휘통제경보체계로 위협 항적을 할당하는 표적할당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할당된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화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실제 시스템 구축 시 운용자 운용 효율성 및 적합성 등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 소개한 방법으로 구축된 방공 지휘통제경보체계관련 프로토타입을 소개한다.

가설 설정

  • 이를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를 수행해야 한다. 단, 위협 항적이 작전 반경 내에 진입하였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기할당이란 무엇인가? 방공 지휘통제경보체계는 상위와 하위의 지휘통제경보체계로 구분하여 작전을 수행하는 것을 제안한다[1]. 무기할당이란 위협항적에 대해서 적절한 타격체계로 타격 임무를 할당하는 것이며, 표적할당이란 위협 항적에 대해서 적합한 하위 지휘통제경보체계로 위협 항적을 담당하도록 할당하는 것이다. 표적할당을 하는 경우는 위협 항적의 개수가 타격 가능한 타격자산의 개수를 초과하거나, 하위 지휘통제경보체계가 위협 항적을 담당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수행된다.
방공 지휘통제경보체계는 어떤 수행능력을 보장해야하는가? 이와 같은 방공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위체계, 감시체계, 지휘통제경보체계 및 타격체계를 네트워크로 구성하여야 한다. 즉, 지휘통제경보체계는 MCRC와 같은 상위체계로부터 수신된 공중 항적정보를 조기경보 또는 작전 구역 외의 전장상황을 감시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다중 다종 센서로 구성된 감시체계로부터 획득된 공중 항적정보들은 융합하여 항적 탐지, 추적 및 식별을 통해 통합 항적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상황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여 적시에 최적의 타격체계로 전송함으로써 광역 작전 수행 능력을 보장해야 한다.
기존의 방공체계에서 중복 교전이나 누락 교전의 발생확률이 높았던 까닭은 무엇인가? 기존 방공체계에서는 다수의 위협 항적이 출현할 경우, 상당부분 청각에 의존하는 지휘통제 명령으로 인해 중복 교전이나 누락 교전이 발생할 확률이 높았다. 전장 상황평가 항목들 중, 위협평가에서 수행된 위협 항적에 대해서는 보유 자산을 이용해서 무기할당 또는 표적할당을 수행해야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권철희, 홍동호, 이동언, 최항준, 이종순, '저고도방공 자동화 체계 개발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종합학술대회, pp. 107-110, 2008 

  2. 최원용, 홍순목, 이동관, 정재경, '레이다 항적융합 연구의 최근 동향',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제11권 제1호, pp. 85-92, 2008, 2 

  3. Cheol Hee Kwon, Chang Ho Choi, Jong Soon Lee, Duk Yung Kim, 'Performance Analysis of Association Algorithms for Multiple-Target Tracking', UDT Pacific 2006 

  4. Samuel S. Blackman, Multiple-Target Tracking with Radar Applications Archtech Inc 

  5. Macfadzean, Robert H. M., Surface-Based Air Defense System Analysis 1992 Artech House 685 Canton Street 

  6. 고순주, 김영길, '전투체계 개념', 제8회 해군해양 과학기술 심포지움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