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축수산 폐기물(굴껍질 및 달걀껍질)을 이용한 비소 오염토양의 안정화 효율 평가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of Oyster-Shell and Eggshell Wastes for Stabilization of Arsenic-Contaminated Soil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1 no.12, 2009년, pp.1095 - 1104  

임정은 (강원대학교 자원생물환경학과) ,  문덕현 (조선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동진 (환경부) ,  권오경 (국립농업과학원 유해물질과) ,  양재의 (강원대학교 자원생물환경학과) ,  옥용식 (강원대학교 자원생물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오염토양 정화 및 폐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굴껍질 및 달걀껍질을 활용한 비소 오염토양 안정화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안정화 효율을 평가하고자 5가비소로 오염된 토양에 굴껍질과 달걀껍질을 0%(무처리구)~5% 수준으로 처리한 후 30일간 항온배양 하였으며 이후 1 N HCl, 0.1 N NaOH, 0.5 N $H_2SO_4$의 추출제를 이용하여 토양 중 비소를 추출하였다. 1 N HCl 추출결과 무처리구의 비소 함량은 29.43 mg/kg였고 굴껍질 5% 및 달걀껍질 5% 처리구에서 각각 26.26 mg/kg와 26.74 mg/kg로 나타나 평균 10% 정도로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외 0.1 N NaOH 및 0.5 N $H_2SO_4$ 추출결과에서도 비소의 농도는 소폭 감소하였다. 한편 굴껍질 및 달걀껍질 처리 토양의 pH는 7.62~7.94로 무처리구 (pH 6.54)에 비해 pH 1 이상 증가하였고, 토양 내 치환성 칼슘의 함량은 12.77~20.18 cmol(+)/kg로 무처리구(6.87 cmol(+)/kg)보다 약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굴껍질과 달걀껍질은 토양 비옥도 개선에 효과가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굴껍질과 달걀껍질의 직접적 사용은 토양의 비옥도 향상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토양내 비소의 안정화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소성과 같은 적절한 가공 공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using oyster-shell and eggshell wastes for the stabilization of arsenic-contaminated soil. Artificial As(V) contaminated soil was mixed with 0~5% oyster-shell and eggshell wastes and each sample was incubated for 30 days in a contro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염토양 정화 및 폐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굴껍질 및 달걀껍질을 활용한 비소 오염토양 안정화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 중 무기비소와 유기비소는 주로 어떤 형태로 존재하고 있는가? 비소는 주기율표상 제15족 질소족(nitrogen group)에 해당하는 원소이며 지표와 해수의 구성요소 중 각각 20번째 및 14번 째로 널리 분포한다.1) 환경 중에서 무기비소는 비산염(arsenate; As(V))과 아비산염(arsenite; As(III))이 주를 이루며 유기비소로는 monomethylarsonic acid(MMAA)와 dimethylarsinic acid(DMAA)가 주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일반적으로 폐광 등에서 발생되는 무기비소는 유기비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독성이 강해 폐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유발하게 되며 5가에 비해서는 환원 상태인 3가 형태가 독성 및 이동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비소를 안정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엇이 있는가? 22~24) 따라서 기존 정화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비용이 소요되며 현장 적용이 용이한 정화방법으로써 안정화제를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정화기술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25,26) 현재까지 오염토양에서 비소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시멘트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Cement Kiln Dust를 이용한 비소 고정화 방법27)과 알루미늄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Red Mud를 이용한 비소 안정화 방법28) 등이 시도되어 왔다.
농축 수산 폐기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을 안정화하는 방법의 장점은? 이와 함께 최근 국내에서도 다양한 농축수산 폐기물을 이용해 중금속 오염토양을 안정화하는 방법이 보고되고 있다.25,26) 농축수산 폐기물을 이용한 안정화 방법은 비용 및 재활용 측면에서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으며 산업부산물과 마찬가지로 풍부한 양을 확보할 수 있어 국내 적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29) 또한 농축수산 폐기물은 공급처가 자연계이므로 산업부산물을 개량제로 적용했을 때에 비해 2차오염의 소지가 없는 환경친화적 기술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Mandal, B., K., and Suzuki, K. T., “Arsenic round the world: a review,” Talanta, 58(1), 201-235(2002) 

  2. Duker, A. A., Carranza, E. J. M., and Hale, M., “Arsenic geochemistry and health,” Environ. International, 31(5), 631-641(2005) 

  3. Le, X. C., “Arsenic Speciation in the Environment and Humans,” Environmental Chemistry of Arsenic, Frankenberger, W. T.(Ed), Marcel Dekker, New York, pp. 95-116(2002) 

  4. Wang, S., and Mulligan, C. N., “Arsenic mobilization from mine tailings in the presence of a biosurfactant,” Appl. Geochem., 24(5), 928-935(2009) 

  5. 서영진, 강윤주, 최정, 김준형, 박만, “소성된 Mg-Al layered double hydroxide에 의한 비소(V)의 흡착,”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1(6), 369-373(2008) 

  6. 유경열, 옥용식, 양재의, “영가철(zerovalent iron)을 이용한 수용액 중 비소(V)의 불용화,” 한국환경농학회지, 26(3), 197-203(2007) 

  7. 유경열, 옥용식, 양재의, “수용액 중 영가 철의 비소흡착 및 반응기작구명,”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9(3), 157-162(2006) 

  8. Pokhrel, D., and Viraraghavan, T., “Biological filtration for removal of arsenic from drinking water,” J. Environ. Management, 90(5), 1956-1961(2009) 

  9. Smedley, P. L., and Kinniburgh, D. G., “A review of the source, behavior and distribution of arsenic in natural waters,” Appl. Geochem., 17(5), 517-568(2002) 

  10. 이효민, 윤은경, 최시내, 박송자, 황경엽, 조성용, 김선태, “폐광산 지역의 비소오염에 대한 복원목표 설정,” 한국토양환경학회지, 3(2), 13-29(1998) 

  11. 김대연, 김정규, “비소(Arsenic)에 의한 토양 오염과 복원기술,” 생명자원연구, 12, 103-118(2004) 

  12. Kim, H., Kim, D. J., Koo, J. H., Park, J. G., and Jang, Y. C., “Distribution and mobility of chromium, copper, and arsenic in soils collected near CCA-treated wood structures in Korea,” Sci. Total Environ., 374(2-3), 273-281(2007) 

  13. 김태석, 김명진, “비소와 중금속으로 오염된 광미의 정화: 토양세척에 의한 비소 제거,” 대한환경공학회지, 30(8), 808-816(2008) 

  14. 고일원, 이철효, 이광표, 김경웅, “토양세척에 의한 비소 및 중금속 오염토양의 복원,”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9(4), 52-61(2004) 

  15. 이민희, 이정산, 차종철, 최정찬, 이정민, “토양 세척법과 석회를 첨가한 토양 안정화 공법을 이용한 폐광산 주변 비소 오염 토양 및 하천 퇴적토 복원,” 자원환경지질, 37(1), 121-131(2004) 

  16. Yang, J. E., Skousen, J. G., Ok, Y. S., Yoo, K. R., and Kim, H. J., “Reclamation of abandoned coal mine wastes using lime cake by-products in Korea,” Mine Water and the Environment, 25(4), 227-232(2006) 

  17. 옥용식, 김정규, 양재의, 김휘중, 유경열, 박창진, 정덕영, “중금속 오염토양의 식물정화 기술과 형질전환 식물의 이용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7(6), 396-406(2004) 

  18. 옥용식, 김시현, 김대연, 이한나, 임수길, 김정규, 광산 인근 토양의 중금속 오염에 따른 식물정화기술의 적용성 탐색,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6(5), 323-332(2003) 

  19. 정구복, 김원일, 이종식, 김경민, 장기재배 시험에 의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식물정화, 한국환경농학회지, 21(1), 31-37(2002) 

  20. Lee, M., Lee, Y., Yang, M., Kim, J ., and Wang, S., Lime(CaO) and limestone( $CaCO_3$ ) treatment as the stabilization process for contaminated farm land soil around abandoned mine, Korea, Econ. Geol., 41(2), 201-210(2008) 

  21. Moon, D. H., Dermatas, D., and Menounou, N., Arsenic immobilization by calcium-arsenic precipitates in lime treated soils, Sci. Total Environ., 330(1-3), 171-185(2004) 

  22. Kumpiene, J., Lagerkvist, L., and Maurice, C., Stabilization of As, Cr, Cu, Pb and Zn in soil using amendments - A review, Waste Management, 28(1), 215-225(2008) 

  23. Ok, Y. S., and Kim, J. G., Enhancement of cadmium phytoextraction from contaminated soils with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J. Appl. Sci., 7(2), 263-268(2007) 

  24. Ok, Y. S., Lee, H., and Kim, J. G., Enhanced uptake of cadmium by native plant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using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J. Biol. Sci., 7(4), 681-684(2007) 

  25. 옥용식, 임정은, 양재의, 굴껍질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토양 처리 방법 및 토양 처리제, 10-2008-0086187. 특허청, 대한민국(2008) 

  26. 옥용식, 임정은, 양재의, 달걀껍질 분말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10-2008-0086296. 특허청, 대한민국(2008) 

  27. Moon, D. H., Wazne, M., Yoon, I. H., and Grubb, D. G., “Assessment of cement kiln dust (CKD) for stabilization /solidification(S/S) of arsenic contaminated soils,” J. Hazard. Mater., 159(2-3), 512-518(2008) 

  28. Wang. S., Ang, H. H., and Tade, M. O., “Novel applications of red mud as coagulant, adsorbent and catalyst for environmentally benign processes,” Chemosphere, 72(11), 1621-1635(2008) 

  29. 양재의, 문덕현, 옥용식, “중금속 오염토양의 안정화 기술,” 광해방지기술, 2(2), 121-142(2008) 

  30. Yoon, G. L., Kim, B. T., Kim, B. O., and Han, S. H., “Chemical-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crushed oystershell,” Waste Management, 23(9), 825-834(2003) 

  31. 이병호, 이봉헌, 박흥재, 김우성, “달걀껍질을 재활용한 탈황제의 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7(5), 693-696 (1998) 

  32. 허재영, 이기상, 윤한대, 굴 껍질의 농업적 활용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2년차 완결보고서. p.7. 농촌진흥청(2009) 

  33. 농림수산식품부, 주요 축산물 소비량 통계(2006) 

  34. 조용범, “달걀의 구조와 영양적 특성을 이용한 조리가공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0), 165-180(1995) 

  35. 신남철, 문종익, 성낙창, “산성토양개량제로서의 패각의 시용효과,” 한국폐기물학회지, 17(6), 774-780(2000) 

  36. 전대영, 이경심, 신현무, 오광중, “폐슬러지와 폐굴껍질의 중금속흡착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5(11), 1053-1059(2006) 

  37. 김문평, 한종대, “굴껍질을 복토재로 활용하기 위한 중금속과 유기물의 흡착능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19(1), 97-110(1997) 

  38. Oke, I. A., Olarinoye, N. O., and Adewusi, S. R. A., “Adsorption kinetics for arsenic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by untreated powdered eggshell,” Adsorption, 14(1), 73-83(2008) 

  39. Ok, Y. S., Yang, J. E., Zhang, Y. S., Kim, S. J., and Chung, D. Y., “Heavy metal adsorption by a formulated zeolitecement mixture,” J. Hazard. Mater., 147(1), 91-96 (2007) 

  40. Park, H. J., Jeong, S. W., Yang, J. K., Kim, B. G., and Lee, S. M., “Removal of heavy metals using waste eggshell,” J. Environ. Sci., 19(12), 1436-1441(2007) 

  41. Vijayaraghavan, K., Jegan, J., Palanivelu, K., and Velan, M., “Removal of recovery of copper from aqueous solution by eggshell in a packed column,” Miner. Eng., 18(5), 545-547(2005) 

  42. 정대일, 정선주, 김인식, 최영하, 류정숙, 이용균, 최순규, “달걀껍질(생, 삶은)의 수처리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연구보고, 22(2), 101-110(1999) 

  43. 박흥재, 이봉헌, “폐 제첩과 굴 패각의 재활용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18(4), 319-325(2001) 

  44. 농업과학기술원,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2000) 

  45. 한국토양정보시스템, http://asis.rda.go.kr, July(2009) 

  46. Ok, Y. S., Lee, H., Jung, J., Song, H., Chung, N., Lim, S., and Kim, J . G.,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bioavailability of cadmium in artificially and naturally contaminated soils,” J. Appl. Biol. Chem., 47(3), 143-146(2004) 

  47. ISO, Soil quality, Extraction of trace elements soluble in aqua regia, ISO 11466(1995) 

  48. 환경부(MOE),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도서출판 동화기술 (2007) 

  49. Johnston, S. E., and Barnard, W. M. ,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fourteen solution for extracting arsenic from four western New York soils,” Soil Sci. Soc. Am. J., 43(2), 304-308(1979) 

  50. SAS, SAS user’s guide, version 9.1., SAS Institute Inc., Cary, North Carolina, USA(2004) 

  51. 강순국, 김영재, “석회석- $SO_2$ 반응에 대한 XRD 해석,” 대한환경공학회지, 17(8), 799-810(1995) 

  52. Wu, Y., Versteeg, R., Slater, L., and LaBrecque, D., “Calcite precipitation dominates the electrical signatures of zero valent iron columns under simulated field conditions,” J. Contam. Hydro., 106(3-4), 131-143(2009) 

  53. 이주영, 이창훈, 윤영상, 하병연, 장병춘, 이기상, 이도경, 김필주, “굴 패화석 비료가 배추 수량 및 토양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8(5), 274-280(2005) 

  54. 이영한, 김종균, 이한생, 조주식, 하호성, “패각, 석탄회 및 석고 시용이 벼 수량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0(3), 242-247(1997) 

  55. Shiowatana, J., McLaren, R. G., Chanmekha, N., and Samphao, A., “Fractionation of arsenic in soil by a continuous-flow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J. Environ. Qual., 30(6), 1940-1949(2001) 

  56. Hartley, W., Dickinson, N. M., Clemente, R., French, C., Piearce, T. G., Sparke, S., and Lepp, N. W., “Arsenic stability and mobilization in soil at an amenity grassland overlying chemical waste (St. Helens, UK),” Environ. Pollut., 157(3), 847-856(2009) 

  57. Camacho, J., Wee, H. Y., Kramer, T. A., and Autenrieth, R., “Arsenic stabilization on water treatment residuals by calcium addition,” J. Hazard. Mater., 165(1-3), 599-603(2009) 

  58. Wikipedia Home Page, http://en.wikipedia.org/wiki/calcination, July(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