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화학적 공정에 의한 클로레이트의 생성메커니즘
Formation Mechanism of Chlorate ($ClO_3\\;^-$) by Electrochemical Process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1 no.8, 2009년, pp.627 - 634  

백고운 (연세대학교 환경공학과, 환경과학기술연구소) ,  정연정 (연세대학교 환경공학과, 환경과학기술연구소) ,  강준원 (연세대학교 환경공학과, 환경과학기술연구소) ,  오병수 (광주과학기술원, 해수담수화 플랜트 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염화 이온 ($Cl^-$)을 전해질로 이용하는 전기화학적 공정에서 생성되는 염소산화부산물인 클로레이트 ($ClO_3\;^-$, 염소산염)의 생성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pH 및 초기농도에 따른 생성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유리염소 생성과의 관련성 및 오존, OH 라디칼 등의 혼합산화제의 영향을 간접 평가하여 클로레이트의 생성 메커니즘을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 클로레이트의 생성은 유리염소 (HOCl/$OCl^-$)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주된 반응으로 하며, 염화 이온의 직접 양극산화 반응 및 OH 라디칼에 의한 경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클로레이트가 퍼클로레이트로 산화되는 반응도 볼 수 있었다. 또한, 전극 간격에 따른 생성 농도를 유리염소 생성과 함께 평가하여, 유리염소 생성 효율은 극대화 시키되 클로레이트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조건을 찾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find out the formation mechanism of chlorate by electrochemical process using chloride ion ($Cl^-$) as an electrolyte. Firstly, the effective factors such as pH and initial chloride concentration were figured out to see the formation property of chlorate during e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6) 또한 지금까지 본 연구에서 사용된 무격막 방식은 전극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떨어뜨려 분극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격막의 유무에 따라 차아염소산 발생의 최대효율을 도모하기 위한 전극간격, 즉 간극조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연구 보고되었다.17) 차아염소산 뿐만 아니라 간극의 조건에 따라 클로레이트의 생성에도 차이를 보여주고 연구결과도 있으며,18) 따라서 실험을 진행했던 시스템에서 간극을 조절함으로써 차아염소산 및 클로레이트, 퍼클로레이트의 생성을 평가하고 최적의 전극간격 조건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5) 전기화학적 공정에서 클로레이트의 생성을 제어하면서 소독제 및 산화제로써 실제 공정에서 얻고자 하는 차아 염소산의 생성을 최적화 하기 위해, 본 전기화학 장치에서 전극 간격 별로 동일한 HOCl CT 대비 클로레이 트의 생성을 평가하였다. 전극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HOCl 및 클로레이트 농도가 감소하였는데 4 mm의 간극 조건에서 HOCl CT 값 대비, 클로레이트의 생성 농도가 가장 낮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소 산화 부산물인 클로레이트의 생성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전기화학적 공정의 메커니즘을 구체화 하고자 하였으며, 중간 경로에 작용 하는 주요 산화제의 농도 및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평가함으로써 클로레이트 생성의 직접적인 영향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전기화학적 공정의 설계 조건의 적절한 변화를 시도하여, 유리염소의 생성 효율은 극대화하되 클로레이트의 생성은 저감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염소 이외에 순간적으로 동시에 생성되는 혼합산화제의 정량 분석의 어려움과 복잡 다양한 반응의 가능성으로 인해 클로레이트의 구체적인 생성 메커니즘과 제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소 산화 부산물인 클로레이트의 생성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전기화학적 공정의 메커니즘을 구체화 하고자 하였으며, 중간 경로에 작용 하는 주요 산화제의 농도 및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평가함으로써 클로레이트 생성의 직접적인 영향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전기화학적 공정의 설계 조건의 적절한 변화를 시도하여, 유리염소의 생성 효율은 극대화하되 클로레이트의 생성은 저감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적 공정에서의 클로레이트 생성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9에 주로 소독 공정에 사용되는 개념으로 소독제의 농도와 접촉시간의 곱으로 계산 되는 HOCl CT (Concentration of disinfectant×Contact Time)값 대비, 클로레이트의 생성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동일 소독효율 대비 클로레이트의 생성농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HOCl CT를 기준으로 간극 별로 클로레이트의 생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간극이 2.
  • 전극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HOCl 및 클로레이트 농도가 감소하였는데 4 mm의 간극 조건에서 HOCl CT 값 대비, 클로레이트의 생성 농도가 가장 낮았다. 즉, 전기화학적 공정의 설계에서 적정 클로레이트 제어를 위한 전극 간격의 설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사전 연구에서 같은 전기전도도 조건에서 생성 된 오존의 생성농도는 10분에서 0.15 mg/L로, 14) 본 실험에서도 오존의 생성농도는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오존보다는 차아염소산에 의한 반응이 클로레이트의 생성 메커니즘 중 가장 주된 반응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기화학적 공정의 장점은 무엇인가? 전기화학적 공정은 전극 표면에서 직접적인 전자의 이동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동시에 강한 산화력을 갖는 혼합 산화제를 생성하는 장점이 있어 폐수처리 분야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염소 소독을 대체할 수 있는 공정으로서 주목 받고 있다.1,2) 특히 염화 이온을 전해질로 이용하는 전기화학적 공정은 정수처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염소 소독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전극에서 전기 화학적인 조건들에 의해 유리염소뿐만 아니라 산화력이 강한 오존(O3), 과산화수소(H2O2), 이산화염소(ClO2) 및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자유 라디칼 등을 포함한 혼합 산화제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염소보다 개선된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염화 이온을 전해질로 이용하는 전기화학적 공정의 장점은 무엇인가? 전기화학적 공정은 전극 표면에서 직접적인 전자의 이동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동시에 강한 산화력을 갖는 혼합 산화제를 생성하는 장점이 있어 폐수처리 분야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염소 소독을 대체할 수 있는 공정으로서 주목 받고 있다.1,2) 특히 염화 이온을 전해질로 이용하는 전기화학적 공정은 정수처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염소 소독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전극에서 전기 화학적인 조건들에 의해 유리염소뿐만 아니라 산화력이 강한 오존(O3), 과산화수소(H2O2), 이산화염소(ClO2) 및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자유 라디칼 등을 포함한 혼합 산화제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염소보다 개선된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다.3) 또한 생물막 증식의 억제, 트리할로메 탄(Trihalomethanes, THMs) 등의 염소 소독 부산물 생성의 저감이 가능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전기화학적 공정에서의 클로레이트 생성 특성을 연구한 결론은 무엇인가? 1) 유리염소는 pH에 따라(pKa=7.54) HOCl 및 OCl-로 존재한다. 클로레이트는 pH 7 이상에서 OCl-이 주화학종으로써 반응하여 비슷한 경향으로 생성되고 pH가 낮아 질수록 생성농도가 감소한다. 또한 초기 염화 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 클로레이트 생성 농도가 높아지며, 전류 공급이 중단 된 후의 농도 변화는 미비하였다. 2) 전기화학 반응조 내의 염화 이온, 차아염소산, 클로레이트와 퍼클로레이트의 농도를 동시에 비교한 결과, 전기분해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염화 이온이 계속적으로 감소하 면서 차아염소산, 클로레이트, 퍼클로레이트가 각각 다른 경향을 보이며 생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차아염 소산은 초기에 가장 빠른 속도로 생성되었다가 염화 이온이 비슷한 정도로 감소하면서 급격한 농도 감소를 보인다. 그리고 클로레이트는 차아염소산과 동시에 빠른 속도로 생성되다가 염화 이온 및 차아염소산의 농도가 감소되 면서 더 이상 생성되지 않고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다가 반응이 더 진행되면서 조금씩 농도가 낮아졌다. 끝으로 염소계 최종산화물인 퍼클로레이트는 서서히 생성되다가 차아염소산 및 클로레이트의 농도가 더 증가하지 않게 되면서 계속적으로 농도가 상승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3) 전기화학적 반응에서 생성되는 OH 라디칼의 영향을 tBuOH의 주입을 통해 알아본 결과, 클로레이트의 생성 메커니즘에 OH 라디칼이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a2S2O3 의 주입으로 오존과 차아염소산을 배제하고 반응을 진행하였을 때 클로레이트의 농도가 크게 감소한 것을 통해 차아염소산이 클로레이트 생성반응에 주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차아염소산및 오존, OH 라디칼을 모두 배제한 상태에서도 클로레이트가 생성된 결과로써 양극에서의 직접 산화메커니즘을 증명할 수 있었다. 4) 클로레이트에서 퍼클로레이트가 생성되는 반응은 퍼클 로레이트를 생성하는 메커니즘에서 주된 역할을 차지할 것으로 판단되며, 퍼클로레이트의 생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클로레이트 발생 제어가 우선 시 되어야 할 것이다. 5) 전기화학적 공정에서 클로레이트의 생성을 제어하면서 소독제 및 산화제로써 실제 공정에서 얻고자 하는 차아 염소산의 생성을 최적화 하기 위해, 본 전기화학 장치에서 전극 간격 별로 동일한 HOCl CT 대비 클로레이 트의 생성을 평가하였다. 전극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HOCl 및 클로레이트 농도가 감소하였는데 4 mm의 간극 조건에서 HOCl CT 값 대비, 클로레이트의 생성 농도가 가장 낮았다. 즉, 전기화학적 공정의 설계에서 적정 클로레이트 제어를 위한 전극 간격의 설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Guohua Chen, 'Electrochemical technologies in wastewater treatment',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 38, 11-41(2004) 

  2. L. V. Venczel, M. Arrowood, M. Hurd and M. D. Sobsey, ' Inactivation of Cryptosporidium parvum oocyst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spores by a mixed-oxidant disinfectant and by free chlorine', Appl. Environ. Microbiol., 63, 1598-1601(1997) 

  3. K. Rajeshwar and J. Ibanez, 'Environmental Electrochemistry', Academic Press, New York, (1997) 

  4. G. Patermarakis and E. Fountoucidis, 'Disinfection of water by electrochemical treatment', Water Res., 24(12), 1491-1496 (1990) 

  5. 이경혁, '전기분해 방식에 의한 혼합산화제 소독 특성 평가', 상하수도학회지, 19(5), 625-631(2005) 

  6. Ch. Comninellis, 'Electrocatalysis in the electrochemical converstion/combustion of organic pollutants for waste water treatment', Electrochim. Acta., 39, 1857-1862(1994) 

  7. Mohamed S. Siddiqui, 'Chlorine-ozone interactions: formation of chlorate', Wat. Res., 30(9), 2160-2170(1996) 

  8. Connell G. F.', The chlorination/chloramination handbook',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Denver, Co., (1996) 

  9. L. R. Czarnetzki and L. J. J. Janssen, ' Formation of hypochlorite, chlorate and oxygen during NaCl electrolysis from alkaline solution at an $RuO_2/TiO_2 $ anode', J. Appl. Electrochem., 22, 315-324(1992) 

  10. Bradley J. Hernlem, 'Electrolytic destruction of urea in dilute chloride solution using DSA electrodes in a recycled batch cell', Water Res., 39, 2245-2252(2005) 

  11. U. von Gunten, 'Ozonation of drinking water: Part II. Disinfection and by-product formation in presence of bromide, iodide or chlorine', Water Res., 37(7), 1469-1487(2003) 

  12. L. J. J. Janssen and P. D. L. Van Der Heyden, 'Mechanism of anodic oxidation of chlorate to perchlorate on platinum electrodes', J. Appl Electrochem., 25, 126-136(1995) 

  13. Hoigne J., and Bader H., 'Rate constants of reactions of ozone with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in water. III. Inorganic compounds and radicals', Water Res., 19, 993-1004(1985) 

  14. 정연정, 백고운, 강준원, 'Pt/Ti 격자형 평판 전극을 이용한 혼합산화제 생성 및 E. coli 불활성화',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851-855(2006) 

  15. Minoru K.,' Application of electrolyzed-oxidizing water on food processing', Shokuhin Kagyo Gisyus, 14, 332-339(1994) 

  16. Machuo S., 'The technology of foundation and application of electrolyzed-oxidizing water, Kihotou press, Tokyo, Japan (1999) 

  17. 김명호, 정진웅, 조영제, '전해인자에 따른 전기분해수의 특성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36(3), 416-422(2004) 

  18. Huseyin Selcuk and Marc A. Anderson, 'Effect of pH, charge separation and oxygen concentrateion in photoelectrocatalytic systems: active chlorine production and chlorate formation', Desalination, 176, 219~227(2005) 

  19. U. von Gunten, A. Laplanche, 'Oxidation and disinfection with ozone, and overview', EAWAG homepag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