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음파 주파수 및 반응조건 변화에 따른 나프탈렌 분해효율과 OH 라디칼의 발생량 비교
Comparison of Naphthalene Degradation Efficiency and OH Radical Production by the Change of Frequency and Reaction Conditions of Ultrasound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1 no.2, 2009년, pp.79 - 89  

박종성 (육군3사관학교 화학환경과학과) ,  박소영 (육군3사관학교 화학환경과학과) ,  오재일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정상조 (육군사관학교 토목환경학과) ,  이민주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허남국 (육군3사관학교 화학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나프탈렌은 휘발성이 있는 소수성 물질로 발암유발 가능성이 있고, 수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초음파의 주파수 및 반응조건별 나프탈렌 분해효율과 OH 라디칼 변화량을 조사하였다. C-18 역상칼럼을 이용한 LC/FLD (1200 series, Agilent)로 나프탈렌을 분석한 결과 MDL (Method detection limit)은 0.01 ppm이었다. 초음파 조사동안 휘발된 나프탈렌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고(0.05 ppm 이하), 반응조 덮개 개폐별 나프탈렌 분해효율은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1% 이내). 초음파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나프탈렌 제거효율은 감소하는 경향($15^{\circ}C$: 95% ${\rightarrow}$ $40^{\circ}C$: 85%)을 보였고, pH가 낮을수록 나프탈렌 분해효율이 증가(pH 12: 84% ${\rightarrow}$ pH 3: 95.6%)하였다. 나프탈렌 초기농도의 감소에 따라 반응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2.5 ppm: $27.3{\times}10^{-3}\;min^{-1}$, 5 ppm: $27.3{\times}10^{-3}\;min^{-1}$, 10 ppm : $19.0{\times}10^{-3}\;min^{-1}$). 동일한 초음파 조건(2.5 ppm 나프탈렌, 0.075 W/mL, $20^{\circ}C$, pH 6.8)에서 28 kHz의 분해효율이 132 kHz보다 약 1.46배 높았고(132 kHz: 56%, 28 kHz: 82.7%), 유사 일차반응 속도상수($k_1$)도 약 2.3배 높게 나타났다(132 kHz: $2.4{\times}10^{-3}\;min^{-1}$, 28 kHz: $5.0{\times}10^{-3}\;min^{-1}$). 초음파 조사 10분 후 $H_2O_2$ 농도는 132 kHz가 28 kHz보다 약 7.2배 높았지만(132 kHz: 0.36 ppm, 28 kHz: 0.05 ppm), 조사 90분 후에는 28 kHz가 132 kHz보다 1.1배 높았다(28 kHz: 0.45 ppm, 132 kHz: 0.4 ppm). 2.5 ppm 나프탈렌 용액에 132 kHz와 28 kHz 초음파 조사시 발생된 $H_2O_2$ 농도는 초순수에 초음파 조사한 결과보다 각각 0.1 ppm과 0.05 ppm씩 낮게 나타났다. 혼형(24 kHz)과 배스형(28 kHz) 초음파의 나프탈렌 분해효율은 각각 87%와 82.7%였고, $k_1$$22.8{\times}10^{-3}\;min^{-1}$$18.7{\times}10^{-3}\;min^{-1}$로 산출되었다. 다주파 복합형 초음파 시스템(28 kHz 배스형 + 24 kHz 혼형 초음파)의 나프탈렌 분해효율은 단일주파수 24 kHz(혼형)와 비슷한 제거효율을 보였으나(88%), $H_2O_2$의 농도는 약 3.5배 높게 조사되었다(28 kHz + 24 kHz: 2.37 ppm, 24 kHz: 0.7 ppm). 이와 같은 다주파 복합형 초음파 시스템은 OH 라디칼에 의해 산화가 잘 일어나는 물질의 분해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phthalene is a volatile, hydrophobic, and possibly carcinogenic compound that is known to have a severe detrimental effect to aquatic ecosystem. Our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temperature, pH, initial concentration, and frequency and type of ultrasound) on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mL는 HPLC를 이용한 나프탈렌 분해량 측정에 사용되었다. 모든 실험은 동일조건에서 반복 실시하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5)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이유는 초음파의 반응온도가 기포의 생성과 붕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18) 초음파의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기압을 많이 내포한 기포가 형성된다. 이러한 증기압은 기포가 붕괴할 때 일어나는 고온·․고압효과를 저해시키는 완충역할(cushioning effect)을 함으로써 열분해 효과를 떨어뜨린다.
  • 산성조건의 pH 조절을 위해 사용된 HCl의 Cl는 OH 라디칼의 scavenger로서 나프탈렌 분해효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 및 본 연구결과에서 나프탈렌의 주된 분해기전은 열분해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사용된 HCl은 나프탈렌의 분해효율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프탈렌의 주 사용처는? 나프탈렌은 PAH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중 하나로 대부분 coal tar와 petrolum 공정 과정에서 발생되며, 유럽에서 연간 200,000 ton, 미국에서 연간 97,770 ton 이 생산되고 있다.1,2) 나프탈렌은 주로 방충제(mothball)로 사용되어 대기오염을 일으키지만 살충제와 폭죽제의 효과 증진에 이용되어 토양오염을 유발한다.3) 또한 나프탈렌 폐기장과 매립지에서 물과 함께 토양 내부로 유입되어 지하수 오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나프탈렌 처리방법 중 초음파 분해법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초음파에 의한 분해법은 기포(bubble)의 생성(nucleation), 성장(growth), 붕괴(collapse) 과정을 거치는 공동현상(cavitation)에 의해 음파에너지(sound energy)에서 화학적 에너지(chemical energy)로 전환되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발생된 기포의 내부는 고온(<5,000 K)․고압(<1,000 atm) 상태에 이르며 다음과 같은 초음파 분해기전을 일으킨다.
나프탈렌의 해외 연간 생산량은? 나프탈렌은 PAH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중 하나로 대부분 coal tar와 petrolum 공정 과정에서 발생되며, 유럽에서 연간 200,000 ton, 미국에서 연간 97,770 ton 이 생산되고 있다.1,2) 나프탈렌은 주로 방충제(mothball)로 사용되어 대기오염을 일으키지만 살충제와 폭죽제의 효과 증진에 이용되어 토양오염을 유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TSDR, "Toxicological profile for Naphthalene, 1-Methylnaphthalene, and 2-Methylnaphthalen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2005) 

  2. EC-JRC, "European Chemicals Bureau. European Union Risk Assessment Report, naphthalene,"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EUR 20763 EN, 1st priority List, vol. 33(2003) 

  3.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Naphthalene(2008) 

  4. National Tap Water Quality Database, http://www.ewg.org/tapwater/contaminants/contaminant.php?contamcode2248(2008) 

  5. Lair, A., Ferronato, C., Chovelon, J. M., and Herrmann, J. M., "Naphthalene degradation in water by heterogeneous photocatalysis: An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inorganic anions," J. Photochem. Photobiol. A: Chem., 193, 193-203(2008) 

  6. Maillacheruvu, K. and Safaai S., "Naphthalene removal from aqueous systems by sagittarius sp.," J. Environ. Sci. Health, 37(5), 845-861(2002) 

  7. Roder, M., Wojnarovits, L., and Foldiak, G., "Pulse Radiolysis of aqueous solutions of aromatic hydrocarbons in the presence of oxygen," Radiat. Phys. Chem., 36(2), 175-176(1990) 

  8. Coopera, W. J., Nickelsena, M. G., Greenb, R. V., and Mezykc, S. P., "The removal of naphthalene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high-energy electron beam irradiation," Radiat. Phys. Chem., 65, 571-577(2002) 

  9. Goela, R. K., Floraa, J. R. V., and Ferryb, J. "Mechanisms for naphthalene removal during electrolytic aeration," Water Res., 37, 891-901(2003) 

  10. Pramauro, E., Prevot, A. B., Vincenti, M., and Gamberini, R.,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naphthalene in aqueous $TiO_{2}$ dispersions: effect of nonionic surfactants," Chemosphere, 36(7), 1523-1542(1998) 

  11. Hykrdov $\'{a}$ , L., Jirkovsk $\'{y}$ , J., Mailhot, G., and Bolte, M., "Fe(III) photoinduced and Q- $TiO_{2}$ photocatalysed degradation of naphthalene: comparison of kinetics and proposal of mechanism," J. Photochem. Photobiol. A: Chem., 151, 181-193(2002) 

  12. Laughrey, Z., Bear, E., Jones, R., and Tarr, M. A., "Aqueous sonolytic decomposi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the presence of additional dissolved spesies," Ultrason. Sonochem., 8, 353-357(2001) 

  13. David, B., "Sonochemical degradation of PAH in aqueous solution. Part ?: Monocomponent PAH solution, Ultrason. Sonochem., 16, 260-265(2009) 

  14. Gianotti, V., Gosetti, F., Polati, S., and Gennaro M. C., "HPLC-MSn and GC-MS methods to study sunlight and UV-lamp degradations of 1-amino-5-naphthalene sulfonate," Chemosphere, 67, 1993-1999(2007) 

  15. Psillakis, E., Goula, G., Kalogerakis, N., and Mantzavinos, D., "Degrad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aqueous solutions by ultrasonic irradiation," J. Hazard. Mater., 108, 95-102(2004) 

  16. Park, J. K., Hong, S. W., and Chang, W. S., "Degrad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y ultrasonic irradiation," Environ. Technol., 21, 1317-1323(2000) 

  17. Adewuyi, Y. G., "Sonochemistry: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applications," Ind. Eng. Chem. Res., 40, 4681-4715(2001) 

  18. Nomura, H., Koda, S., Yasuda, K., and Kojima, Y., "Quantification of ultrasonic intensity based on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porphyrin," Ultrason. Sonochem., 3, (1996) 

  19. Thompson, L. H., and Doraiswamy, L. K., "Sonochemistry: science and engineering," Ind. Eng. Chem. Res., 38, 1215-1249(1999) 

  20. Petrier, C. and Francony, A., "Ultrasonic waste-water treatment: incidence of ultrasonic frequency on the rate of phenol and carbon tetrachloride degradation," Ultrason. Sonochem., 4, 395-300(1997) 

  21. Jiang, Y., Petrier, C., and Waite, T. D., "Effect of pH on the ultrasonic degradation of ionic aromatic compounds in aqueous solution," Ultrason. Sonochem., 9, 163-168(2002) 

  22. Klaning, U. K., Sehested, K., and Holcman, J., "Standard Gibbs energy of formation of the hydroxyl radicals in aqueous solution. Rate constant for the reaction $ClO_{2}$ + $O_{3}$ $\leftrightarrow$ $O_{3}$ + $ClO_{2}$ ," J. Phys. Chem., 89, 760(1985) 

  23. Ince, N. H., Tezcanli-Guyer, G., "Impacts of pH and molecular structure on ultrasonic degradation of azo dyes," Ultrason. Sonochem., 42, 591-596(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