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 계대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해동 후 효율적인 배양 방법
Efficient Culture Method for Early Passage hESCs after Thawing 원문보기

대한생식의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v.36 no.4, 2009년, pp.311 - 319  

백진아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  김희선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  설혜원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  서진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  정주원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  윤보애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  박용빈 (삼진제약주식회사 중앙연구소) ,  오선경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  구승엽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  김석현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  최영민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  문신용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인간 배아줄기세포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는 미분화 상태로 무한 증식할 수 있는 자가 증식(self-renewal) 능력과 인체의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능 (pluripotency)의 특징을 가진 세포로, 손상된 세포를 건강한 세포로 대체하고자 하는 세포치료 (cell therapy) 연구에 활용하기 위한 세포 공급원 (cell source)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확립된 초기에 세포를 안정적으로 배양하고 유지하는 과정이 쉽지 않으며, 특히 동결보존되어 있던 세포를 해동한 후 배양할 때 자연 발생적 분화가 높기 때문에 세포주의 유지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동결보존되어 있던 초기 계대의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해동하여 다시 배양할 때 자연 발생적 분화 부분을 기계적 분리 방법으로 제거하여 미분화 상태의 세포를 보다 빠르게 확보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계대 배양한지 4일이 되는 날, 50% 이상의 자연 발생적 분화가 나타난 세포군에서 분화된 부분만을 절개용 유리 피펫 (drawn-out dissecting pasture pipette)을 사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제거하였다. 이후 지속적으로 배양액을 교환해 주며 세포군의 제거된 부분을 7일째 되는 날까지 관찰하였다. 결 과: 기계적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자연 발생적인 분화 부분을 제거한 빈 공간에 미분화상태의 인간 배아줄기세포가 분열하여 채워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이 실험 방법을 연속 두 번 적용하여 배양했을 때 미분화 세포로 회복되는 세포군의 비율이 조금 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동결되어 있던 초기 계대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해동 후, 자연 발생적 분화에 의해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는 세포의 수가 적어 계대를 유지 하기가 어려울 때 이와 같은 기계적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자연 발생적 분화 부분을 제거한 후 배양을 지속하는 것이 단기간 내에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양적 확보를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have the capacity to differentiate into all of the cell types and therefore hold promise for cell therapeutic applications. In order to utilize this important potential of hESCs, enhancement of currently used technologies for handling and manipulating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자화동결 또는 완만동결-급속융해와 같은 방법으로 냉동보존되어 있던 초기 계대의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해동하여 다시 배양할 때 자연 발생적 분화 부분을 절개용 유리 피펫을 사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분리한 후 제거하여 미분화를 유지하는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빠른 시기에 보다 많은 양을 확보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여 해동 후 미분화 상태의 초기 계대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다량으로 확보하는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배양 시 자연 발생적 분화 부분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분리하여 제거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초기 계대에서 초자화동결 방법으로 보관되어 있던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매우 소량이었으며, 해동 직후의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최초 몇 계대를 유지할 때 자연 발생적 분화가 매우 심하기 때문에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부분만 잘라내어 3~5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세포 군은 한 세포군의 약 80% 이상 되는 자연 발생적 분화가 이루어져 온전한 미분화 상태의 세포군을 얻기가 어려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초기에 어떻게 보존하는가? 그러나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확립된 직후의 초기 계대에는 그 세포 수가 매우 적고 한정적이기 때문에 세포주의 소실을 막기 위해서는 적절한 방법으로 보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초자화동결 (vitrification) 또는 완만동결-급속융해 (slow freezing-rapid thawing)와 같은 냉동보존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를 확보한다.12,13 그러나 Yang 등의 보고에 의하면 초자화동결과 같은 냉동보존 방법의 경우에는 해동 후 생존률이 88.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연구에 활용하기 힘든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목 적: 인간 배아줄기세포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는 미분화 상태로 무한 증식할 수 있는 자가 증식(self-renewal) 능력과 인체의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능 (pluripotency)의 특징을 가진 세포로, 손상된 세포를 건강한 세포로 대체하고자 하는 세포치료 (cell therapy) 연구에 활용하기 위한 세포 공급원 (cell source)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확립된 초기에 세포를 안정적으로 배양하고 유지하는 과정이 쉽지 않으며, 특히 동결보존되어 있던 세포를 해동한 후 배양할 때 자연 발생적 분화가 높기 때문에 세포주의 유지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동결보존되어 있던 초기 계대의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해동하여 다시 배양할 때 자연 발생적 분화 부분을 기계적 분리 방법으로 제거하여 미분화 상태의 세포를 보다 빠르게 확보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착상 전 포배기 (blastocyst)의 내세포괴 (inner cell mass)로부터 유래된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특징은? 착상 전 포배기 (blastocyst)의 내세포괴 (inner cell mass)로부터 유래된 인간 배아줄기세포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는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며 무한 증식할 수 있는 자가 증식 (self-renewal) 능력과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능 (pluripotency)의 특징을 가진 세포로, 1998년에 Thomson 등에 의해 처음으로 확립 (derivation)된 이후 이를 이용한 여러 가지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1~3 최근에는 파킨슨씨병 (Parkinson's disease)과 같은 퇴행성 질환이나 당뇨 및 심근경색 등과 같은 난치병 치료를 위하여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신경계세포 (neurons), 췌장세포 (pancreatic β cells) 또는 심근세포 (cardiomyocytes) 등의 다양한 종류의 세포로 분화를 유도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렇게 분화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손상된 세포를 건강한 세포로 대체하고자 하는 세포치료 (cell therapy)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Thomson JA, Itskovitz-Eldor J, Shapiro SS, Waknitz MA, Swiergiel JJ, Marshall VS, et al.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human blastocysts. Science 1998; 282: 1145-7 

  2. Reubinoff BE, Pera MF, Fong CY, Trounson A, Bongso A. Embryonic stem cell lines from human blastocysts: somatic differentiation in vitro. Nat Biotechnol 2000; 18: 399-404 

  3. Oh SK, Kim HS, Ahn HJ, Seol HW, Kim YY, Park YB, et al. Deriv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ew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s: SNUhES1, SNUhES2, and SNUhES3. Stem Cells 2005; 23: 211-9 

  4. Kang SM, Cho MS, Seo H, Yoon CJ, Oh SK, Choi YM, et al. Efficient induction of oligodendrocytes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Stem Cells 2007; 25: 419-24 

  5. Lavon N, Yanuka O, Benvenisty N. The effect of overexpression of Pdx1 and Foxa2 on the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into pancreatic cells. Stem Cells 2006; 24: 1923-30 

  6. Passier R, Mummery C.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from embryonic and adult stem cells. Curr Opin Biotechnol 2005; 16: 498-502 

  7. Park YB, Kim YY, Oh SK, Chung SG, Ku SY, Kim SH, et al. Alterations of proliferative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s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during long-term culture. Exp Mol Med 2008; 40: 98-108 

  8. Rosler ES, Fisk GJ, Ares X, Irving J, Miura T, Rao MS, et al. Long-term cultur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in feederfree conditions. Dev Dyn 2004; 229: 259-74 

  9. Ko JY, Park CH, Koh HC, Cho YH, Kyhm JH, Kim YS, et al.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neural precursors as a continuous, stable, and on-demand source of human dopamine neurons. J Neurochem 2007; 103: 1417-29 

  10. Draper JS, Smith K, Gokhale P, Moore HD, Maltby E, Johnson J, et al. Recurrent gain of chromosomes 17q and 12 in cultured human embryonic stem cells. Nat Biotechnol 2004; 22: 53-4 

  11. Baker DE, Harrison NJ, Maltby E, Smith K, Moore HD, Shaw PJ, et al. Adaptation to cultur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and oncogenesis in vivo. Nat Biotechnol 2007; 25: 207-15 

  12. Lane M, Schoolcraft WB, Gardner DK. Vitrification of mouse and human blastocysts using a novel cryoloop container-less technique. Fertil Steril 1999; 72: 1073-8 

  13. Freshney RI. Culture of animal cells; a manual of basic technique. 5th ed. John Wiley and Sons Inc (NY): 255; 2005 

  14. Li Y, Tan JC, Li LS. Comparison of three methods for cryopreserv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Fertil Steril 2008; Dec 22. [Epub ahead of print] 

  15. Reubinoff BE, Pera MF, Vajta G, Trounson AO. Effective cryopreserv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by the open pulled straw vitrification method. Hum Reprod 2001; 16: 2187-94 

  16. Richards M, Fong CY, Tan S, Chan WK, Bongso A. An efficient and safe xeno-free cryopreservation merhod for the storag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Stem Cells 2004; 22: 779-89 

  17. Oh SK, Kim HS, Park YB, Seol HW, Kim YY, Cho MS, et al. Methods for expans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Stem Cells 2005; 23: 605-9 

  18. Sathananthan H, Pera M, Trounson A. The fine structur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Reprod Biomed Online 2002; 4: 56-61 

  19. Richards M, Tan SP, Tan JH, Chan WK, Bongso A. The transcriptome profil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as defined by SAGE. Stem Cells 2004; 22: 51-64 

  20. Amit M, Carpenter MK, Inokuma MS, Chiu CP, Harris CP, Waknitz MA, et al. Clonally derived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s maintain pluripotency and proliferative potential for prolonged periods of culture. Dev Biol 2000; 227: 271-8 

  21. Mitalipova MM, Rao RR, Hoyer DM, Johnson JA, Meisner LF, Jones KL, et al. Preserving the genetic integrity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Nat Biotechnol 2005; 23: 19-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