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 가지 환경구배에 따른 신갈나무의 생태적 지위폭과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의 생태적 중복역
Ecological Niche Breadth of Q. mongolica and Overlap with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along with Three Environment Gradient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7 no.2, 2009년, pp.191 - 197  

이호종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유영한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신갈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유식물의 주요 환경요인 중 광, 수분과 영양소를 각각 4구배로 처리하고, 2007년 3월~10월까지 양묘하여 17가지의 형태 및 생태형질을 측정하여 생태적 지위폭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이 지위폭과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와의 생태적 중복역을 비교분석하여 3종의 분포적 특성과 경쟁관계를 생태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신갈나무의 생태적 지위폭은 환경요인 중 영양소구배에서 가장 낮았고, 수분구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광구배에서는 그 중간이었다. 신갈나무는 광환경에 대해서만 상수리나무나 굴참나무보다 생태적 지위폭이 큼으로써 이는 3종의 참나무가 경쟁시 광환경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월하며, 또한 한반도에서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광환경에 대한 높은 적응력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신갈나무-상수리나무와 신갈나무-굴참나무의 생태적 중복역은 수분구배에서 가장 넓었고, 영양소구배에서 가장 좁게 나타났다. 광구배에서는 그 중간이었다. 이는 참나무 3종이 영양소환경이나 광환경에 대해서는 서로 간 생태적 분화가 수분 환경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일어났음을 뜻한다. 유집분석과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참나무 3종의 환경구배에 대한 반응에서는 신갈나무-상수리나무 간의 공간적 위치는 신갈나무-굴참나무 간의 위치보다 서로 가깝게 배열되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는 생태적 지위가 유사하여 환경요인, 특히 수분환경에 대한 경쟁이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에 비해 더 심하게 일어남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ecological traits of Q. mongolica, we treated the seedlings of this species with three environmental factors, light, moisture and nutrient gradients from March to October 2007, and measured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17 characters. Lastly calculated ecological niche b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신갈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유식물의 주요 환경요인 중 광, 수분과 영양소를 각각 4구배로 처리하고, 2007년 3월~10월까지 양묘하여 17가지의 형태 및 생태형질을 측정하여 생태적 지위폭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이 지위폭과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와의 생태적 중복역을 비교분석하여 3종의 분포적 특성과 경쟁관계를 생태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신갈나무의 생태적 지위폭은 환경요인 중 영양소구배에서 가장 낮았고, 수분구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연식생에서 가장 우점하는 신갈나무의 생태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생태적 지위 폭을 실내실험을 통하여 밝히고, 신갈나무-상수리나무와 신갈나무-굴참나무 간에 얼마나 생태적으로 유사한지를 생태적 중복역을 구하여 비교하고, 나아가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우리나라 자연에서 이들 참나무 3종이 분포하는 주요 환경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종 간에 일어날 수 있는 경쟁관계를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갈나무는 어디의 우점식생인가? 신갈나무는 한반도 온대 낙엽수림의 우점식생이고, 이 신갈나무의 물질생산을 바탕으로 산림생태계의 먹이그물이 시작되고 기능이 작동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신갈나무의 열매는 하늘다람쥐, 멧돼지, 반달곰 등의 많은 대형 포유동물과 어치, 원앙과 같은 조류의 중요한 먹이원이다(임업연구원 1988).
신갈나무의 열매는 어떤 동물의 먹이원이 되는가? 신갈나무는 한반도 온대 낙엽수림의 우점식생이고, 이 신갈나무의 물질생산을 바탕으로 산림생태계의 먹이그물이 시작되고 기능이 작동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신갈나무의 열매는 하늘다람쥐, 멧돼지, 반달곰 등의 많은 대형 포유동물과 어치, 원앙과 같은 조류의 중요한 먹이원이다(임업연구원 1988).
생태학적 지위란 무엇인가? 한편 생태적 지위는 생물의 구조적 적응, 생리적 반응 및 생물종의 행동결과로 나타나며, 이는 그 종이 군집이나 생태계 내에서 차지하는 역할이다(Odum 1969). 생태적 지위는 생태적 지위폭과 생태적 지위 중복역으로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강윤순, 오계칠. 1982. 광릉삼림군집에 대한 ordination 방법의 적용. 한식지. 25:83-99 

  2. 김윤식, 고성철, 오병운. 1981. 한국식물의 분포도에 관한 연구(V) -참나무과의 분포도-. 고려대학교 이공논집. pp. 93-133 

  3. 김정언, 길봉섭. 2000. 한국의 신갈나무 숲 -그의 환경, 식생과 생활-. 원광대학교출판국. pp.98-101 

  4. 김정언, 임양재. 1989. 청량산 도립공원의 현존식생. 자연보존. 68:32-48 

  5. 김정언, 임양재, 양권열. 1989. 소백산 국립공원 남동사면의 현존식생. 중앙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3:101-114 

  6. 김종욱, 김준호. 1994. 수종 참나무속 유식물의 건조스트레스에 대한 기공저항의 조절과 전략의 분화. 한국생태학회지. 17:241-249 

  7. 김지문, 권기원, 문흥규. 1985. 참나무 천연집단의 엽형변이. 한국임학회지. 70:91-101 

  8. 김창환. 1992. 덕유산 국립공원 삼림식생의 구조와 2차천이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56 

  9. 김해란, 정헌모, 김혜주, 유영한. 2008.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생태적 지위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 26(4):385-391 

  10. 노형진, 정한열. 2002. STATISTICA에 의한 알기 쉬운 통계 분석. 형설출판사. pp.535-556 

  11. 박병현. 2003. 환경구배에 따른 초본 4종의 생태적 지위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4 

  12. 박진희, 정명기, 선병윤, 김기중, 박재홍, 박종욱. 2005. 한국산참나무속 참나무과속 (너도밤나무과)의 수리분류학적 분석. 식물분류학회지. 35:57-80 

  13. 백명수. 1995. 참나무속 3종의 유식물 정착과 생장과정의 비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1-46 

  14. 송민섭. 2007. 한국 상수리나무림의 분포와 군집구조 분석.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이학박사청구논문 

  15. 송종석, 송승달, 박재홍, 서봉보, 정화숙, 노광수, 김인선. 1995. 서열법과 분류법에 의한 소백산 신갈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8:63-87 

  16. 송호경, 이미정, 이 선, 김효정, 지윤위, 권오원. 2003. 신갈나무림의 생태구조와 생태적지. 한국임학회지. 92:409-420 

  17. 여천생태연구회. 2005. 개정판 현대생태학실험. 교문사. pp. 239-243 

  18. 유영한, 지광재, 한동욱, 광영세, 김준호. 1995. 광릉 내 용암산 식물군집의 천이와 이질성. 한국생태학회지. 18(1):89-97 

  19. 이우철, 백원기, 김문기. 1994. 설악산 신갈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7:319-331 

  20.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상). 청아문화사. pp.197-211 

  21. 임양재, 김정언. 1992. 지리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부. p.467 

  22. 임양재, 백순달. 1985. 설악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부. p. 200 

  23. 임업연구원. 1988. 참나무자원의 종합이용 개발에 관한 연구(I). 과학기술처. p.226 

  24.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 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10:329-435 

  25. 정헌모, 김해란, 유영한. 2009. 환경구배처리에 따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 신갈나무의 생육 차이. 환경생물. 27(1): 82-87 

  26. 하사헌. 1989. 상위한 광강도 하에서 자란 참나무속 유식물의 생장과 광합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0 

  27. Abrams P. 1980. Some comments on measuring niche overlap.Ecol. 61:44-49 

  28. Auguspurgur CK. 1984. Light requirements of neotropical tree seedlings: a comparative study of growth and survival. J. Ecol. 72:777-795 

  29.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ed.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Inc. California. 634pp 

  30. Kim JU, YJ Yim and BS Kil. 1988. Classification and pattern analysis of forest vegetation in Daedunsan provincial park,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11:109-122 

  31.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262-270 

  32. Phare RE. 1997. Growth of red oak (Quercus rubra L.) seedling in relation to light and nutrients. Ecology 52:669-672 

  33. Pianka ER. 1983. Evolutionary Ecology. 3rd ed. Harper & Row, NY. p.253 

  34. Schoener TW. 1974. Some methods for calculating competition coefficients from resource utilization spectra. Amer. Natur. 108:332-340 

  35. You YH, ST Park, CS Lee and JH Kim. 1996. Simulation of forest succession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with gap model. Korean J. Ecol. 19(6):499-506 

  36. Zangerl AR. 1981. Relationships between population and ecological variability. Ph. D. thesis, Univ. of Illinois, Ill. 102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