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면봉산 일대 산림식생의 지형과 고도에 따른 생태적 지위 및 지표종에 관한 연구
Study of Ecological Niche and Indicator Species by Landforms and Altitude of Forest Vegetation in Mt. Myeonbong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2 no.4, 2019년, pp.325 - 337  

박병주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종보존실) ,  변준기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종보존실) ,  천광일 (국립생태원 야외식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온대중 남부 지역에 속하는 면봉산 일대 식물을 대상으로 지형조건 및 고도에 따른 식물종의 생태적 지위와 지표종을 관찰하여 식물자원의 환경적 구배에 따른 공간적 분포경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수평 수직 생태적 지위의 경우 상층과 중층에서 신갈나무가 높은 생태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으며, 상층에서는 수직적 생태적 지위가, 중층에서는 수평적 생태적 지위가 높아 본 연구대상지 일대의 제너럴리스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목층에서 생강나무가 제너럴리스트로 분석되어, 한반도 중 남부 산지의 대표식생을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단으로 분류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Kim and Lee, 2006). 지표종 분석 결과, 고도와 지형조건에 따른 환경구배의 차이에서 주로 하층식생이 수관층식생보다 더 이질적인 종조성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character of distribution of plants by landforms and altitude in Mt. myeonbong.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this study sites were as follows; pH 4.86, organic 52.53 g/kg, $P_2O_5$ 7.57 mg/kg, potassium $0.18cmol^+/kg$, calcium $2....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대중·남부 지역에 속하는 면봉산 일대 식물을 대상으로 지형조건 및 고도에 따른 식물종의 생태적 지위와 지표종을 관찰하여 식물자원의 환경적 구배에 따른 공간 적분포경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 , 2016) 이는 Kim and Lee (2006)가 한반도 삼림식생형에 따른 식물사회학적 식생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중, 중‧남부 산지 산림식생형을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으로 분류한 것으로 보아 본 연구대상지는 우리나라 중‧남부지역 온대 활엽수림의 종조성과 유사하게 나타나는 곳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대중・남부 지역에 속하는 면봉산 일대 식물을 대상으로 지형 및 고도에 따른 식물종의 생태적 지위와 지표종을 관찰하여 식물자원의 공간적 분포패턴의 경향을 파악하고 본 연구대 상지 일대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 본 연구대상지 내 조사된 모든 식물종의 수직적 및 수평적 분포역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나타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층위에 따른 각 식물종들의 상관관계 계수와 유의성 판정을 통하여 수직적․ 수평적 분포역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층위별로 두 인자에 대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층위의 상관계수는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coeffecient range: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적 지위폭이 낮게 나타나는 것의 의미는 어떻게 해석되는가? 생태적 지위란 서식지 환경에 따라 생육하는 생물종의 최저・ 최고 내성한계를 나타내는 것으로(Yeocheon Ecological Society, 2005), 특정 환경인자 내에서 생태적 지위폭이 크게 나타나면 환경에 대한 내성의 폭이 넓어 광범위한 지역에서 개체수가 풍 부하고 환경에 적응이 잘 되는 종으로 제너럴리스트(generalist) 에 가까운 식물종이다. 생태적 지위폭이 낮게 나타나면 환경에 대한 내성이 좁으며 한정적인 지역에서 생육하는 스페셜리스트 (specialist)에 해당하는 식물종으로 해석된다. 생태적 지위폭 (Ecological niche breadth)의 산정은 Levins(1968)가 제안한 공식을 이용하였으며, 그 공식은 다음과 같다.
생태적 지위란 무엇인가?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란 생물간의 상호관계, 환경 간의 관계 등을 이유로 형성되는 지위를 뜻한다. 즉, 생물종의 서식처 범위와 먹이사슬 및 경쟁관계에서 차지하는 자원경쟁의 지위를 합한 것을 뜻한다.
생태적 지위를 나타내는 개념을 2가지로 구분하면? 생태적 지위를 나타내는 개념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①기본적인 생태적 지위(fundamental niche) 와 ②현실 생태적 지위(realized niche)이다. 전자의 경우 한 생물종이 타 생물종에 의하여 자원이나 서식처에 대한 경쟁을 받지 않는 상태를 뜻하며, 후자의 경우 생물종 간의 경쟁에 의한 상태이다(Pulliam, 2000; Silvertow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New York (USA). pp. 1-865. 

  2. Byun, J.G., K. Cheon, S.H. Oh, Y.M. Lee, J.W. Jang and S.H. Joo. 2013. Vegetation structure of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in South Korea natural habitats. Korean J. Plant Res. 26(2):214-226. 

  3. Chao, A. 1984. Nonparametric estimation of the number of class in population. Scand. J. Stat. 11:265-270. 

  4. Cho, M.Y. 1990. Colored Woody Plants of Korea. Academy, Seoul, Korea. pp. 1-315. 

  5. Chen, J. and J.F. Franklin. 1997. Growing-season microclimate variability within an old-growth Douglas-fir forest. Clim. Res. 8:21-34. 

  6. Diekmann, M. 2003. Species indicator values as an important tool in applied plant ecology-a review. Basic Appl. Ecol. 4(6):493-506. 

  7. Dufrene, M. and P. Legendre.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 Monogr. 67:345-366. 

  8. Kim, J.S, and T.Y. Kim. 2014. The Plants of Korea Peninsula. Dolbaege. Paju, Korea. pp. 1-688. 

  9. Kim, J.W. and Y.G. Lee.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Seoul, Korea. pp. 1-240. 

  10. Kong, W.S.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n conifers. J. Geol. Soc. Korea 39(4):528-543. 

  11. Kong, W.S., G.O. Kim, S.G. Lee, H.N. Park and S.H. Cho. 2014. Distribution of high mountain plants and species vulnerability against climate change. Environ. Impact. Assess. Rev. 23(2):119-136. 

  12.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399. 

  13. Korea Innovative Solution of Geo-Technology to Sustainable Earth. 2014. Status of Geological map in Korea. https://mgeo.kigam.re.kr/ 

  14.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9. Data of Climate in Korea. http://www.kma.go.kr/ 

  16. Lee, C.B. and J.H. Chun. 2018. Relative importance of climatic and habitat factors on plant richness along elevation gradients on the Mt. Baekhwa, South Korea. Korean J. Agric. For. Meteorol. 20(3):233-242. 

  17.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14. 

  18. Lee, T.B. .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oo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20. 

  19. Leith, H. and D.H. Aston. 1961. The light compensation point of some herbaceous plants inside and outside deciduous woods in Germany. Can. J. Bot. 39:1255-1259. 

  20. Levins, R. 1968. Evolution in Changing Environment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USA). pp. 2-120. 

  21. McCune, B. and Grace, J.B.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pp. 187-300. 

  22. McCune, B. and Mefford, M.J. 2006.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5.17.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pp. 1-237. 

  23. Mu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2003.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The Blackburn Press, NewYork (USA). pp. 28-547. 

  24. Newton, A.C. 2007. Forest Ecology and Conser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Inc. Newyork (USA). pp. 100-454. 

  25.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4.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26. Park, B.J., J.J. Kim, J.G. Byeon, K. Cheon, S.H. Joo, and Y.G. Lee. 2016.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mmunity and character of stand structure in Mt. Myeonbong-Focused on Research Forest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eongsong-. J. Korean Soc. For. Sci. 105(4):391-400. 

  27. Pulliam, H.R. 2000.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iche and distribution. Ecol. Lett. 3:349-361. 

  28. Salisbury, F.B. and C.W. Ross. 1992. Plant Physiology.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Belmont (USA). pp. 93-95. 

  29. Silvertown, J. 2004. Plant coexistence and the niche. Trends Ecol Evolut. 19(11):605-611. 

  30. Simon, L.M., G. Oliveira, B.S. Barreto, J.C. Nabout, T.F.L.V.B. Rangel and J.A.F. Diniz-Filho. 2013. Effects of global climate changes on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s of economically important plant species in cerrado. Rev. Arvore 37(2):267-274. 

  31. Smith, D.M. 1986. The Practice of Silviculture. John Wiley and Sons, New Jersey (USA). pp. 1-514. 

  32. Son, Y.H., C.D. Koo, C.S. Kim, P.S. Park, C.W. Yoon and G.H. Lee. 2016. Forest ecology. Hyangmunsa, Seoul, Korea. pp. 90-196. 

  33. Yeocheon Ecological Society. 2005. Modern Ecological Experiment. Gyomunsa, Seoul, Korea. pp. 16-3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