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초고층 건물의 시공 중 구조적 안정성 검토를 위한 시공단계해석의 적용 An Application of Construction Sequence Analysis for Checking Structural Stability of High-Rise Building under Construction원문보기
극초고층성, 비정형 형상, 공기단축을 위한 구획 시공 등 최근 초고층 건물의 경향을 고려할 때, 설계 및 시공 계획의 단계에서 시공 중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 문제가 핵심 사항으로 부각되고 있다. 시공 중 초고층 건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횡력저항시스템이 완전히 형성되기 전 구조체 자중의 불균형 분포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부재의 불균등 축소, 골조의 기울어짐 혹은 횡변위, 기초의 부등 침하 등이 시공단계해석에 의하여 검토되어야 하며, 시공단계해석은 구조건전성모니터링, 시공 보정 프로그램, 시공계획 수립 등과 체계적으로 결합되어 진행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시공 중 초고층 건물의 구조 안정성 검토를 위하여 기존의 범용구조해석프로그램을 활용한 구역 기반 시공단계해석 기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실제 초고층 프로젝트의 3차원 구조해석에 적용하였다. 정밀한 해석을 위하여 시간 의존적 재료 성질 및 실제 시공 일정이 적용되었으며, 시공 일정 변화나 계측 결과와의 비교에 따른 재료 물성 변화 등을 지속적으로 변경하며 해석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실제 프로젝트에 대한 시공단계해석 적용을 통하여, 시공 중 초고층 건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주요 검토 항목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극초고층성, 비정형 형상, 공기단축을 위한 구획 시공 등 최근 초고층 건물의 경향을 고려할 때, 설계 및 시공 계획의 단계에서 시공 중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 문제가 핵심 사항으로 부각되고 있다. 시공 중 초고층 건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횡력저항시스템이 완전히 형성되기 전 구조체 자중의 불균형 분포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부재의 불균등 축소, 골조의 기울어짐 혹은 횡변위, 기초의 부등 침하 등이 시공단계해석에 의하여 검토되어야 하며, 시공단계해석은 구조건전성모니터링, 시공 보정 프로그램, 시공계획 수립 등과 체계적으로 결합되어 진행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시공 중 초고층 건물의 구조 안정성 검토를 위하여 기존의 범용구조해석프로그램을 활용한 구역 기반 시공단계해석 기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실제 초고층 프로젝트의 3차원 구조해석에 적용하였다. 정밀한 해석을 위하여 시간 의존적 재료 성질 및 실제 시공 일정이 적용되었으며, 시공 일정 변화나 계측 결과와의 비교에 따른 재료 물성 변화 등을 지속적으로 변경하며 해석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실제 프로젝트에 대한 시공단계해석 적용을 통하여, 시공 중 초고층 건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주요 검토 항목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With recent trends of super-tallness, atypical plan shapes and zoning constructions in high-rise buildings, a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is arising as a key issue for design and construction plan. To ensure the structural stability under construction, the differential co...
With recent trends of super-tallness, atypical plan shapes and zoning constructions in high-rise buildings, a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is arising as a key issue for design and construction plan. To ensure the structural stability under construction, the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of vertical members,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ower frames, and differential settlement of raft foundation by unbalanced distributions of a tower self-weight before the completion of a lateral load resisting system should be checked by construction sequence analysis, which should be performed by systematic combinations with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construction compensation program, and construction panning. This paper presents the scheme of zone-based construction sequence analysis by using the existing commercial analysis program, to check the stability of high-ris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This scheme is applied to 3-dimensional structural analysis for a real high-ris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The analysis includes real construction zoning plans and schedules as well as creep and shrinkage effects and time-dependent properties of concrete. The simplified construction sequence and assumed material properties were continuously updated with the change on construction schedule and correlations with in-situ measurement data.
With recent trends of super-tallness, atypical plan shapes and zoning constructions in high-rise buildings, a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is arising as a key issue for design and construction plan. To ensure the structural stability under construction, the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of vertical members,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ower frames, and differential settlement of raft foundation by unbalanced distributions of a tower self-weight before the completion of a lateral load resisting system should be checked by construction sequence analysis, which should be performed by systematic combinations with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construction compensation program, and construction panning. This paper presents the scheme of zone-based construction sequence analysis by using the existing commercial analysis program, to check the stability of high-ris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This scheme is applied to 3-dimensional structural analysis for a real high-ris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The analysis includes real construction zoning plans and schedules as well as creep and shrinkage effects and time-dependent properties of concrete. The simplified construction sequence and assumed material properties were continuously updated with the change on construction schedule and correlations with in-situ measurement dat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물의 시공 중 안정성 확보를 위한 구조적인 고려사항들을 분석하고, 시공단계해석과 이를 이용한 초고층 골조 거동 확인을 위한 합리적인 기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실제 초고층 사례에 범용구조해석프로그램에 의한 시공단계해석을 적용하고, 시공 중 안정성 검토를 위한 주요 항목 및 방법들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실제 초고층 사례에 범용구조해석프로그램에 의한 시공단계해석을 적용하고, 시공 중 안정성 검토를 위한 주요 항목 및 방법들을 제시한다. 100층 이상의 초고층 프로젝트에 대하여 기개발된 시공단계해석 기법을 적용 하는 사례연구의 측면에서, 실제 시공 과정을 상세하게 반영하여 얻어진 다양한 해석결과들을 이용해 시공 중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는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초고층 구조 엔지니어링 및 시공 실무를 위한 시공단계해석의 적용 방향과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앞서 기술한 초고층 건물의 시공 중 안정성 확보를 위한 구조적 고려사항들을 실제 초고층 프로젝트에 적용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시공 중 골조의 거동을 예측/평가하기 위한 시공단계해석에 초점을 맞추어 시공 중 구조적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해석 기법 및 주요 검토사항들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시공단계해석에 포함된 하중은 시공 중 건물에 작용하는 구조체 자중 및 마감하중, 외장재 하중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공 완료 시점에 건물 전체의 활하중이 일시에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시공 중 골조의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고,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시공계획의 가이드라인 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공 스케줄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시공단계해석이 수행되었으며, 해석결과는 주요계측결과들(강선종 등, 2006)과 비교/평가되었다.
이 때, 시공 시점이 상이한 각 지점들의 축소변형값이 “0”이 아닌, 기시공되어 있던 인접 수직부재의 축소변위값(보정값 ΔW,Compensation 혹은 ΔN,Compensation)부터 시작되어 비교되고 있으며, 시공 완료 시점에 전 층의 활하중이 일시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가정함으로써 축소변위값의 갑작스러운 증가 지점이 발생하였다.
제안 방법
이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물의 시공 중 안정성 확보를 위한 구조적인 고려사항들을 분석하고, 시공단계해석과 이를 이용한 초고층 골조 거동 확인을 위한 합리적인 기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실제 초고층 사례에 범용구조해석프로그램에 의한 시공단계해석을 적용하고, 시공 중 안정성 검토를 위한 주요 항목 및 방법들을 제시한다. 100층 이상의 초고층 프로젝트에 대하여 기개발된 시공단계해석 기법을 적용 하는 사례연구의 측면에서, 실제 시공 과정을 상세하게 반영하여 얻어진 다양한 해석결과들을 이용해 시공 중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는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초고층 구조 엔지니어링 및 시공 실무를 위한 시공단계해석의 적용 방향과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프로젝트 초기에 시공 중 안정성에 대한 영향을 반영한 시공계획을 수립하고, 시공단계해석을 통한 거동 예측/평가를 수행하여 필요 시 보정 프로그램(compensation program) 을 시공에 적용한다. 실제 시공 중에는 적절한 구조건전성 모니터링(structural health monitoring) 프로그램을 통한 계측 결과를 검토/평가하고 해석에 의한 예측값과 비교하여, 필요 시 해석조건을 수정한 재해석을 통하여 향후 골조의 구조적인 거동을 재확인한다.
프로젝트 초기에 시공 중 안정성에 대한 영향을 반영한 시공계획을 수립하고, 시공단계해석을 통한 거동 예측/평가를 수행하여 필요 시 보정 프로그램(compensation program) 을 시공에 적용한다. 실제 시공 중에는 적절한 구조건전성 모니터링(structural health monitoring) 프로그램을 통한 계측 결과를 검토/평가하고 해석에 의한 예측값과 비교하여, 필요 시 해석조건을 수정한 재해석을 통하여 향후 골조의 구조적인 거동을 재확인한다. 계측 결과와 해석 결과를 종합 검토하여, 골조의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시공 스케줄 변경 및 보정 프로그램의 수립 등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적용한다.
전단벽은 벽체 요소로서, 기둥 및 연결보(link beam)는 보 요소로 모델링되었다. 골조에 작용하는 하중이 전면기초를 통하여 파일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을 반영하고, 전면기초와 파일로 구성된 파일지지 전면기초시스템(piled raft foundation system)의 골조 횡변위에 대한 구속효과를 정확히 반영하기 위하여 전면기초와 파일도 해석모델에 포함하였다. 전면기초는 입방체 요소로서, 파일은 축강성만을 갖는 스프링 지지요소로 모델링되었다.
그림 9는 Wing A와 Wing C의 시간에 따른 보정값을 적용하여 각 지점들의 시공 시점부터 건물 전체의 시공 완료 시점까지의 축소값 변화에 대한 해석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이를 통하여 동일 층에서 시공 중의 각 지점간 레벨 차이, 즉 벽체 양 단부의 레벨 차이 및 벽체와 기둥 간의 레벨 차이 등을 검토할 수 있다. 이 때, 시공 시점이 상이한 각 지점들의 축소변형값이 “0”이 아닌, 기시공되어 있던 인접 수직부재의 축소변위값(보정값 ΔW,Compensation 혹은 ΔN,Compensation)부터 시작되어 비교되고 있으며, 시공 완료 시점에 전 층의 활하중이 일시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가정함으로써 축소변위값의 갑작스러운 증가 지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각 시공 구획 및 주요 구조 부재들(아웃리거 혹은메가 부재)의 시공 스케줄의 변화에 따라 횡변위 및 기울어짐의 변화가 클 수 있으므로, 시공 중 지속적인 시공단계해석 예측/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의 대상 프로젝트에서는 부등축소에 의한 골조의 기울어짐 검토를 위하여 각 층 중심의 횡변위값을 핵심 변수로 설정하고, 시공단계해석을 통한 횡변위값 예측 및 실제 시공 중 계측/비교를 통하여 골조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이 경우, 정밀한 시공단계해석을 기반으로 골조의 횡변위를 예측하고, 각 층의 중심을 예측된 횡변위의 반대 방향으로 적절하게 조정하여 시공함으로써, 중력하중의 2차 효과에 따른 부가모멘트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연구 대상 프로젝트에서는 매 층의 중앙코어 전단벽의 시공 시, 층 중심을 설계상의 원래 위치로 재조정하는 보정프로그램(recentering compensation program)만을 적용하였다(Baker 등, 2007).
109층에 설치 계획된 아웃리거 벽체의 시공 시점에 따른 시공단계해석의 횡변위값 예측값들을 실제 계측값과 비교하였다. 이 때, 비교 시점이 외장재의 시공이 진행되지 않은 시점으로 풍하중의 영향이 적으며, 바람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계측이 이루어졌으므로, 시공 중 중력하중만을 해석에 포함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해석 및 계측결과와의 비교를 위하여, 109층 평면형상 및 아웃리거 위치, X/Y축 방향 등에 대한 정보는 그림 10a에 제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연구의 시공단계해석에서는 파일지지 전면기초를 상부 골조와 함께 3차원 모델로 구성하였으며, 전면기초와 파일은 각각 입방체 요소와 탄성 스프링 지지요소로 모델링되었다. 파일의 축력에 대한 탄성계수는 시공단계해석 동안 상수로 정의되었으며, 대상 프로젝트의 경우 K1(=600kN/mm)과 K2(=900kN/mm)의 두 스프링 상수값을 적용하여 각각 해석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연구의 시공단계해석에서는 파일지지 전면기초를 상부 골조와 함께 3차원 모델로 구성하였으며, 전면기초와 파일은 각각 입방체 요소와 탄성 스프링 지지요소로 모델링되었다. 파일의 축력에 대한 탄성계수는 시공단계해석 동안 상수로 정의되었으며, 대상 프로젝트의 경우 K1(=600kN/mm)과 K2(=900kN/mm)의 두 스프링 상수값을 적용하여 각각 해석하였다. 이는 파일에 대한 재하 실험 및 시공 초기 기초침하 계측결과를 바탕으로(그림 12), 파일 축력과 변형의 비선형 관계에서 대상 프로젝트의 파일 축력 분포에 따른 파일강성의 상한값과 하한값으로서 선택한 값이다.
초고층 건물의 시공 중 안정성 검토를 위하여, 구역 기반 시공단계해석을 적용하였다. 시공 구획의 개념을 기존의 범용구조해석프로그램에 의한 3차원 모델링에 포함하여, 각 구획별 시공 스케줄을 독립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실제 시공 중발생할 수 있는 인접 구역간 시공 시간차에 따른 기둥과 벽체 축소의 불균형, 골조 횡변위/기울어짐, 기초시스템의 구조적 거동 등을 예측할 수 있다.
대상 데이터
대상 프로젝트는 160층 이상 규모의 초고층 건물로서, RC골조와 철골 첨탑부로 구성되어 있다(Abdelrazaq, 2007 ; Baker 등, 2007)(그림 4). 기준층은 중앙 코어와 3개의 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그림 5), 중앙부 코어를 중심으로 3 방향으로 길게 뻗은 전단벽으로 구성됨으로써, 160층 이상의 높이에 대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논문의 연구에서는 대상 건물에 대해서 49개월 이상의 시공 기간을 총 210개의 시공단계로 단순화하였다(그림 6).
데이터처리
시공단계해석에 포함된 하중은 시공 중 건물에 작용하는 구조체 자중 및 마감하중, 외장재 하중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공 완료 시점에 건물 전체의 활하중이 일시에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시공 중 골조의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고,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시공계획의 가이드라인 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공 스케줄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시공단계해석이 수행되었으며, 해석결과는 주요계측결과들(강선종 등, 2006)과 비교/평가되었다.
그림 10은 시공 중 골조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부재인 아웃리거의 완료 여부에 따른 골조 횡변위의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109층에 설치 계획된 아웃리거 벽체의 시공 시점에 따른 시공단계해석의 횡변위값 예측값들을 실제 계측값과 비교하였다. 이 때, 비교 시점이 외장재의 시공이 진행되지 않은 시점으로 풍하중의 영향이 적으며, 바람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계측이 이루어졌으므로, 시공 중 중력하중만을 해석에 포함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성능/효과
실제 시공 중에는 적절한 구조건전성 모니터링(structural health monitoring) 프로그램을 통한 계측 결과를 검토/평가하고 해석에 의한 예측값과 비교하여, 필요 시 해석조건을 수정한 재해석을 통하여 향후 골조의 구조적인 거동을 재확인한다. 계측 결과와 해석 결과를 종합 검토하여, 골조의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시공 스케줄 변경 및 보정 프로그램의 수립 등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적용한다. 이러한 시공계획-모니터링-보정프로그램 수립의 프로세스(그림 3)는 시공 중 공법 및스케줄 등 시공 조건의 변화들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반복 수행되어야 한다.
시공단계에서 기둥 축소, 특히 부등축소 현상은 슬래브나 아웃리거 등의 구조부 재에 부가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구조 안정성을 해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수직배관, 내부 칸막이벽, 마감 요소 등설치의 저해 요소가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구역 기반 시공단계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시공 시점이 상이한 구역 간시공 중의 실제 부등축소 및 인접 지점간 레벨 차이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층 기반 시공단계해석의 경우 부재 강성 및 하중 영향면적에 따른 하중의 불균형에 의한 부등축소만을 고려할 수 있으나, 구역 기반 시공단계해석을 이용함으로써 실제 시공 스케줄에 따른 구조체의 불균형에 따른 부등축소값을 반영할 수 있다.
해석 및 계측결과와의 비교를 위하여, 109층 평면형상 및 아웃리거 위치, X/Y축 방향 등에 대한 정보는 그림 10a에 제시되어 있다. 해석결과, 109층 아웃리거 벽체 전체의 시공이 완료되었 다고 가정하여 해석이 수행된 경우(그림 10b)에 비하여 아웃리거 벽체의 일부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로 해석된 경우(그림 10c)의 횡변위가 크게 증가하였다. Wing B와 Wing C 구역의 아웃리거 벽체는 완료되었으나 Wing A의 아웃리거 벽체가 완료되지 않음으로써(그림 10a), +Y 방향으로의 골조 강성의 약화와 중앙코어 하중을 세 윙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아웃리거 벽체의 미완료로 인하여 Wing A에 인접한 중앙코어 벽체의 축소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함으로써 골조의 +Y방향으로의 횡변위가 증가하였다.
그림 10d는 아웃리거 인접 층들(105층/113층)의 층 중심 변위값들에 대해서 계측값과 해석값들을 비교하고 있다. 계측값은 실제 시공에서 아웃리거가 완전히 체결되지 않은 상태의 계측 결과로서, 아웃리거 완료를 가정한 해석결과보다 미완료를 가정한 해석결과와 매우 근사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아웃리거 벽체의 체결 여부에 따라 횡변위값 뿐만 아니라 횡변위 방향에 대한 예측의 정밀도가 크게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계측값은 실제 시공에서 아웃리거가 완전히 체결되지 않은 상태의 계측 결과로서, 아웃리거 완료를 가정한 해석결과보다 미완료를 가정한 해석결과와 매우 근사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아웃리거 벽체의 체결 여부에 따라 횡변위값 뿐만 아니라 횡변위 방향에 대한 예측의 정밀도가 크게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은 109층 아웃리거 벽체 전체의 시공이 완료된 경우(그림 10b)와 아웃리거 벽체의 일부가 체결되지 않은 경우(그림 10c)에 대하여 Center Core 구역 벽체들의 상대 축소변위량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후속연구
만일 파일거동이 선형이라 가정한 해석을 적용할 경우, 이러한 상부 골조하중의 재분포를 반영할 수 없으 며, 기초의 부등침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 그러나 파일 강성을 상수값으로 가정한 해석은 부등침하를 과평가하여 고려하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골조의 안정성을 보수적으로 검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적절한 시공계획에 의하여 파일의 강성 및 기초 침하의 불균등 분포가 심화되지 않도록 각 시공단계별로 정밀하게 검토하여야 한다.
시공 구획들 간의 시공 스케줄의 변경, 특히 주요 구조 부재들의 시공 시점에 따라 기둥/벽체의 부등축소 및 횡변위/기울어짐 등의 구조적 안정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시공 스케줄의 변경을 반영한 시공단계해석을 시공 중에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각 시공단계 및 시공조건에 따른 결과를 예측/평가함으로써 시공 중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계획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특히, 시공단계해석, 구조건전성 모니터링, 보정 프로그램, 시공계획 수립 등의 체계적인 수행 및 연계를 통하여 극초고층 혹은 비정형적 인 초고층 건물의 시공 중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공 구획의 개념을 기존의 범용구조해석프로그램에 의한 3차원 모델링에 포함하여, 각 구획별 시공 스케줄을 독립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실제 시공 중발생할 수 있는 인접 구역간 시공 시간차에 따른 기둥과 벽체 축소의 불균형, 골조 횡변위/기울어짐, 기초시스템의 구조적 거동 등을 예측할 수 있는데 이 때 어떤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시공 구획의 개념을 기존의 범용구조해석프로그램에 의한 3차원 모델링에 포함하여, 각 구획별 시공 스케줄을 독립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실제 시공 중발생할 수 있는 인접 구역간 시공 시간차에 따른 기둥과 벽체 축소의 불균형, 골조 횡변위/기울어짐, 기초시스템의 구조적 거동 등을 예측할 수 있다. 이 때, 인접 구역간 수직요소의 부등 축소 및 레벨 차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제 시공과정을 고려하여 결과값을 보정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시공 구획들 간의 시공 스케줄의 변경, 특히 주요 구조 부재들의 시공 시점에 따라 기둥/벽체의 부등축소 및 횡변위/기울어짐 등의 구조적 안정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 므로, 시공 스케줄의 변경을 반영한 시공단계해석을 시공 중에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각 시공단계 및 시공조건에 따른 결과를 예측/평가함으로써 시공 중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계획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초고층 프로젝트는 일반 프로젝트에 비하여 어떤 문제가 있는가?
또한, 최근 국내․외적으로 초고층 프로젝트 수주 및 성공 적인 수행을 위한 치열한 경쟁에서 골조공기 단축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초고층 프로젝트는 일반 프로젝트에 비하여, 초고층화에 따른 공기 및 공사금액 증가와 작업효율성 저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공기 증가라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절대 공기가 가장 길고 모든 공사의 선행공사인 골조 공기의 단축이 절실하게 요구된다(손상현 등, 2007).
기초시스템의 안정성을 결정하고 건물 골조의 구조적 성능및 거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
기초시스템의 안정성을 결정하고 건물 골조의 구조적 성능및 거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기초의 부등침하이다. 특히, 일반적인 초고층 형상(set-back 혹은 tapered 입면 형상)을 고려할 때, 평면 중심부의 자중이 크며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므로 부등침하의 발생이 더욱 커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더욱 정밀한 고려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15)
강선종, 강경태 (2006) GPS를 이용한 초고층 시공 측량 기술,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87-193
Abdelrazaq, A.K. (2007) Brief Description of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Burj Dubai Project, Dubai, UAE, 대한건축학회지, 51(4), pp.62-67
ACI Committee 209 (1997) Prediction of Creep, Shrinkage, and Temperature Effects in Concrete Structures (ACI 209R-92), American Concrete Institute, Farmington Hills, MI, p.47
ACI Committee 117 (2006) Specifications for Tolerances for Concrete Construction and Material and Commentary (ACI 117-06), American Concrete
Baker, W.F., Korista, D.S., Novak, L.C. (2007) Burj Dubai: Engineering the World's Tallest Building, The Structural Design of Tall And Special Buildings, 16(4), pp.361-37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