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32 no.3, 2009년, pp.145 - 171  

은기수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사회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한국 기혼부부가 가사노동을 어떻게 분담하고 있고, 가사노동시간의 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고 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부부인 남성과 여성이 어떻게 가사노동을 분담하는지 밝히기 위해 성 이데올로기론, 시간제약이론, 상대적 자원이론 등 세 이론을 검토한 후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 가운데 현재 결혼해서 부부가 함께 한 가구에서 살고 있는 경우만 추출하고 부부의 자료를 하나의 레코드로 변환하여 부부의 가사노동분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 이데올로기론에서 나온 성역할에 관한 태도는 남성이나 여성 모두 가사노동시간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역할에 관한 태도나 가치가 가사노동이라는 행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제약이론에 따라 설정된 상대적 노동시간은 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변수가 들어간 모형의 설명력이 특히 여성의 경우 높게 나타나고 상대적 노동시간이 가사노동시간에 미친 영향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 유의미하고 영향은 남성과 여성 모두 비선형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반면에 상대적 자원이론에 따른 상대적 소득의 효과는 남성의 경우 여성의 소득이 증가하면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가 꾸준히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며, 여성의 경우는 일단 여성의 소득이 있게 되면 소득의 다과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가사노동을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 이데올로기론에서 주장하는 것은? 성 이데올로기론은 성평등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남성과 여성이 가사노동을 균등하게 나누어 한다는 주장을 한다(Lavee and Katz, 2002; Shelton and John, 1996). 한 사람이 성평등적인 가치나 태도를 지니는 것은 사회화의 결과로서 이해된다.
시간제약이론의 바탕이 되는 가정은? 시간제약이론(time constraint theory)은 같은 가구 내에서 개인들은 시간을 합리적으로 분배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시간의 합리적 분배를 통해 가구의 한계효용을 극대화한다는 경제학적 가정이 이 이론의 바탕이 되고 있다.
성 이데올로기 이론, 시간제약이론, 상대적 자원이론으로 한국 기혼남성과 여성의 가상노동분업을 설명하면? 첫째, 성 이데올로기이론은 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 참여를 설명하는데 전혀 유의미한 차이를 낳지 않았다. 통제변수에 성역할 태도 변수만을 추가했을 때는 성역할 태도가 전통적인 태도에서 비전통적인 태도로 바뀌어 가면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는 증가하고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동시간 변수나 소득 변수가 모형에 추가되면 성역할 태도가 가사노동에 미치는 영향은 사라졌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성 이데올로기 이론은 한국 기혼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 참여를 설명하는데 전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둘째, 시간제약이론은 한국 기혼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분업을 설명하는데 가장 적합한 이론의 하나로 판단된다. 특히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증가하면서 남성과 여성의 노동시간과 가사노동 참여가 부부간의 갈등, 협상, 타협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적합한 이론으로 판단된다. 남성의 경우 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사노동에 투여하는 시간을 줄이고, 여성의 노동시간이 증가하면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남성의 노동시간보다 여성의 노동시간이 더 길게 되면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은 오히려 감소하는 비선형적인 관계를 보인다. 반면에 여성이 일단 노동을 하게 되면 가사노동이 크게 감소했다가 여성의 노동시간이 증가하면서 오히려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의 감소폭은 작게 된다. 그러나 여성의 노동시간이 남성의 노동시간보다 더 많아지게 되면 다시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통제변수만을 포함한 기본모형보다 시간제약이론에 따른 노동시간 변수를 포함한 모형은 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분업을 설명할 때 설명력이 가장 크게 증가한다. 남성과 여성으로 자료를 나누어 시간제약이론에 따른 독립변수의 영향을 측정하여 나온 결과는 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 참여를 설명할 때 모순되지 않고 일관성있는 설명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모형의 설명력도 크게 증가하면서 한국 기혼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분업을 이해하는데 가장 적합한 이론으로 평가된다. 셋째, 상대적 자원이론도 한국의 기혼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분업을 이해하는데 일정 부분 기여를 한다. 상대적 자원이론에 따른 변수를 추가할 때 기본모형의 설명력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된 설명력을 갖는다. 그러나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을 설명하는데 상대적 자원이론에 따른 모형은 여전히 설명력이 매우 낮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수정.김은지 (2007)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 '한국사회학' 41(2): 147-174 

  2. 은기수 (2006) '가족가치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성별 및 세대간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8(3): 1-31 

  3. Baxter, Janeen, Belinda Hewitt and Mark Western (2005) 'Post-Familial Families and the Domestic Division of Labor'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6: 583-600 

  4. Becker, Gary (1981)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5. Bianchi, Suzanne M., Melissa A. Milkie, Liana C. Sayer and John P. Robinson (2000) 'Is Anyone Doing Housework? Trends in the Gende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Social Forces 79(1): 191-228 

  6. Bianchi, Suzanne M., John P. Robinson and Melissa A. Milkie (2006) Changing Rhythms of American Family Life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7. Buchmann, Claudia and Thomas A. DiPrete (2006) 'The Growing Female Advantage in College Completion: The Role of Family Background and Academic Achieve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1(4): 515-541 

  8. Coltrane, Scott (2000) 'Research on Household Labor: Modeling and Measuring the Social Embeddedness of Routine Family Work'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4): 1208-1233 

  9. Coverman, Shelly (1985) 'Explaining Husband's Participation in Domestic Labor' The Sociological Quarterly 26(1): 81-97 

  10. Craig, Lyn and Pooja Sawrikar (2009) 'Work and Family: How Does the (Gender) Balance Change as Children Grow?' Gender, Work and Organization 16(6):684-709 

  11. Cummingham, Mick (2001) 'Parental Influence on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6(2): 184-203 

  12. Drago, Robert (2009) 'The Parenting of Infants: A Time-Use Study' Monthly Labor Review October: 33-43 

  13. England, Paula and George Farkas (1986) Households, Employment and Gender: A Social Economic and Demographic View. New York: Aldine 

  14. Folbre, Nancy (1986) 'Hearts and Spades: Paradigms of Household Economics' World Development 14(2): 245-255 

  15. Fuwa, Makiko (2004) 'Macro-level Gender Inequality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 22 Countr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9(6): 751-767 

  16. Gershuny, Jonathan, Michael Godwin, and Sally Jones (1994) 'The Domestic Labour Rovolution: A Process of Lagged Adaptation' In M. Anderson, F. Bechhofer, and J. Gershuny (eds) The Social and Political Economy of the Househol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7. Gershuny, Jonathan (2000) Changing Times: Work and Leisure in Postindustrial Socie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8. Gordin, Claudia Dale (1990) Understanding the Gender Gap: An Economic History of American Wome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 Greenstein, Theodore N. (2000) 'Economic Dependence, Gender, and the Division of Labor in the Home: A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2): 322-335 

  20. Hochschild, Arlie (1989) The Second Shift New York: Viking 

  21. Hook, Jennifer (2006) 'Care in Context: Men's Unpaid Work in 20 Countries, 1965-2003'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1(4): 639-660 

  22. Lavee, Yoav and Ruth Katz (2002) 'Division of Labor, Perceived Fairness, and Marital Quality: The Effect of Gender Ideolog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1): 27-39 

  23. Sayer, Liana (2005) 'Gender, Time and Inequality: Trends in Women's and Men's Paid Work, Unpaid Work and Free Time' Social Forces 84(1): 285-303 

  24. Shelton, Beth Anne and Daphne John (1996)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nual Review of Sociology 22: 299-32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