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 연령범주별 분석
Conjugal Role Sharing on Women's Marital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33 no.1, 2010년, pp.103 - 131  

이여봉 (강남대학교 교양학부)

초록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해 수집된 2008년도 여성가족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유배우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임금노동분담과 가사노동분담 및 여가공유활동 등의 다차원적 부부역할에 주목하고, 여성의 성역할 태도 및 성장기 부모 간 친밀도와 여타 인구학적 변인을 고려하였다. 연령에 따른 생애발달단계의 특성과 출생집단별 경험의 차이를 고려하고자 각 연령대별로 표본을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이는 변수간의 연관성이 연령대에 따라 상이하게 혹은 유사하게 나타나는지를 관찰하고자 함이다. 관계만족도와 결혼행복도로 측정된 두 변수로써 결혼만족도를 개념화하고 관련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성장기 부모의 친밀도가 자녀의 결혼만족도와 정적인 연관성을 보이면서 세대 간 전이 가능성을 예시하였다. 임금노동차원에서 결혼행복도와의 관련성에서는 30-50대에서 남편홑벌이 가정의 아내가 가장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맞벌이 여성이지만, 관계만족도와의 연관성에서는 40대에서 맞벌이 여성이 남편과의 관계에 가장 만족하고 다음이 남편홑벌이 가정의 아내로 나타나면서 50대 여성과 차별화된다. 가사분담 차원에서는 30-50대 여성들에서 자신의 부담이 줄어들수록, 결혼행복도 및 관계만족도가 높다. 그런데 가사분담의 평등성 자체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30대 연령층의 경우 관계만족도와의 연관성에 관해서뿐이다. 부부가 함께 공유하는 여가활동이 많을수록 결혼행복도 및 관계만족도가 높아서, 여가활동을 함께 해야 할 필요성이 강력히 제시된다. 나이든 연령대일수록 건강 및 가족경제상황을 좋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여가공유활동의 빈도가 낮으며 결혼만족도가 낮다. 이는 연령이나 결혼기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만족스러운 결혼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건강과 경제상황 및 여가공유활동 등의 여타 여건들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한 행동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개인적 노력과 더불어 친가족적 기업문화와 사회정책 등을 통한 지원이 함께 할 때, 가족과 사회 간의 선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observes how the conjugal sharing of the roles such as breadwinning, housework/childcare, and leisure activities affects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how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nsidered variables are similar or different across age categories. Two dependent variables, the rela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만족도를 결혼생활 전반에 대한 포괄적 인식으로 확장할 경우에 정의는 무엇인가? 결혼만족도를 부부관계에 국한하면, 사회적 맥락 속에 존재하는 개인이 부부라는 이자적 관계에 대해 느끼는 주관적 선호인데(조혜선, 2003), 이는 배우자간의 관계만족도로 정의할 수 있다. 반면에 결혼만족도를 결혼생활 전반에 대한 포괄적 인식으로 확장할 경우(박은옥, 2001), 배우자 뿐 아니라 자녀 및 친족 그리고 상황적 조건 등 결혼생활의 모든 면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행복, 기쁨, 즐거움, 만족 등의 주관적 감정으로 정의된다(Hawkins; 정현숙, 2001b에서 재인용).
부부관계에 한정하든 더 넓게 포괄적으로 정의하든, 결혼만족도는 무엇에 따라 결정되는가? 부부관계에 한정하든 더 넓게 포괄적으로 정의하든, 결혼만족도는 결혼에 대해 본인이 가진 기대를 충족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그래서 객관적으로는 상황이 동일할지라도 개인이 중요시 하는 영역에서 기대수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만족도는 낮을 것이고,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에서 기대수준이 충족될 경우 만족도는 높을 것이다.
결혼생활에 관한 연구에서도 특정 연령범주에서만 나타나는 특성은 무엇이고 전 연령층에 일반화될 수 있는 공통적 경향은 무엇인지에 관한 탐색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변화의 추세를 빨리 흡수한 것은 약자였던 여성들이었고, 그 중에서도 젊은 층이었다. 그래서 부부의 삶에 대한 평가와 관련하여, 여자들의 인식과 남자들의 인식만 다른 것이 아니라, 출생집단들 특유의 경험이나 생애발달단계의 차이로 인해 젊은 여성들이 인식하는 결혼과 나이든 여성들이 인식하는 결혼은 다르다. 따라서 결혼생활에 관한 연구에서도 특정 연령범주에서만 나타나는 특성은 무엇이고 전 연령층에 일반화될 수 있는 공통적 경향은 무엇인지에 관한 탐색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강진경,신수진,최혜경 (2001) "결혼지속연수에 따른 한국 부부의 사랑구조의 변화 양상" 19(5): 51-66. 

  2. 고정자,김갑숙 (1999) "부부의 심리적 복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37(6): 57-76. 

  3. 김경신 (1998) "가족가치관의 세대별 비교연구" 36(10): 145-160. 

  4. 김미령 (2009)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26: 35-62. 

  5. 김미하 (1990) "노동자 가족의 성별분업: 남성의 양육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까치. 

  6. 김정선 (2000) "건강창출의 사회적 단위로서 가족의 역할: 문헌 고찰을 통한 분석 모델의 재구성" 12(1): 1-29. 

  7. 김필숙,김태현 (2004)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도에 따른 가족관계 적응" 9(3): 1-31. 

  8. 박은옥 (2001)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7(4): 508-517. 

  9. 박태온 (1983) "도시 주부의 성역할태도와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주희 (2003) "동아시아 기혼여자대학원생들과 미국기혼여자대학원생들의 가족 및 직업역할 만족도와 긴장도: 동아시아 기혼여자대학원생들의 성역할 재사회화와 관련하여" 41(6): 29-49. 

  11. 오순환 (2000) 일신사. 

  12. 유영주 (1993) 교문사. 

  13. 윤경자 (1997) "역할 태도가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5(4):222-234. 

  14. 이재경,이은아 (2003)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족생활에 대한 주관적 인식: 세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20: 39-69. 

  15. 이정연 (1987) "주부의 결혼만족도와 관련변인 고찰" 25(1): 105-117. 

  16. 이여봉 (1997) "주부의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2(여름호): 39-52. 

  17. 이여봉(1999) "부부간 평등 및 형평인식에 관한 연구" 11(1): 47-78. 

  18. 이여봉(2008) 개정판, 양서원. 

  19. 이은희 (2002)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맞벌이 남녀의 성역할 태도와 결혼만족도 연구" 10: 99-118. 

  20. 임정빈,고보선 (1995) "도시 신혼가계의 가족경제 안정도 인지와 가정생활 만 족도" 33(2): 1-18. 

  21. 전춘애 (1994)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2. 전춘애,박성연 (1993) "결혼만족도와 결혼 안정성 간의 관계에 관한 일 연구" 31(2): 81-86. 

  23. 정현숙 (2001a)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39(11): 90-106. 

  24. 정현숙(2001b)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 개발 연구" 39(12): 205-224. 

  25. 조성은,정지영,윤소영 (2006) "남성의 직장노동과 가사노동" 24(1): 129-140. 

  26. 조정문 (1995) "결혼생활의 공평성 인지와 결혼만족" 29(가을호): 559-584. 

  27. 조혜선 (2003) "결혼만족도의 결정요인," 37(1): 91-116. 

  28. 차승은,한경혜 (2003) "직업, 가족 그리고 중년기 신체적 건강" 15(2):33-60. 

  29. 최연실,옥선화 (1987)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결혼만족도와 결혼안정성에 관한 연구" 5(2): 83-97. 

  30. 최정혜 (1999) "가족주의 가치관과 효 및 부모부양의식의 세대별 비교연구" 37(9): 85-101. 

  31. 하상희 (2008)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이 결혼만족도 및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26(2): 129-141. 

  32. 한경미 (1995) "기혼취업 여성의 가정, 직업, 여가생활만족과 영향요인" 13(3): 47-57. 

  33. 한경혜,장미나 (2009) "기혼남녀근로자의 일,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21(1): 85-115. 

  34. 허준수 (2002) "도시노인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22(2): 227-247. 

  35. Amato, P. R. and A. Booth (1995) "Changes in Gender Role Attitudes and Perceived Marital Quali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Feb.): 58-66. 

  36. Atchley, R. C. (1992) "Retire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Szinovacz, M., D. J. Ekerdt, and B. H. Vinick (eds.) Families and Retirement, Newbury Park, Sage: 145-158. 

  37. Berry, R. E. and F. L. Williams (1987)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Marital and Income Satisfaction: a Path Analytical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9: 107-116. 

  38. Blood, R. and D. Wolfe (1960) Husbands and Wives: The Dynamics of Married Living. New York: Free Press 

  39. Campbell, A., P. E. Converse, and W. L. Rodgers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Russell Sage Foundation (New York). 

  40. Coverman, S. (1985) "Explaining Husband's Participation in Domestic Labor," Sociological Quarterly 26(1): 81-97. 

  41. Drolet, A. L. and D. G. Morrison (2001) "Do We Really Need Multiple-Item Measures in Service Research?" Journal of Service Research 3(3): 196-204. 

  42. Fincham, F. D. and T. N. Bradbury (1987) "The Assessment of Marital Quality: A Re-evalu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9(3): 797-809. 

  43. Fincham, F. D. and T. N. Bradbury and K. J. Linfield (1997) "A New Look at Marital Quality: Can Spouses Feel Positive and Negative About Their Marriag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1(4): 489-502. 

  44. Gove, W. R. and M. Hugh (1979) "Possible Causes of the Apparent Sex Differences in Physical Health: An Empirical Investig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4: 126-146. 

  45. Hochschild, A. R. (1997) The Time Bind: When Work Becomes Home and Home Becomes Work, NY: Metropolitan Books. 

  46. Keith, P. M. and R. B. Schaffer (1985) "Role Behavior, Relative Deprivation and Depression among Women in One- and Two-job Families" Family Relations 34: 227-33. 

  47. Kessler, R. C. and J. A. McRae, Jr. (1982) "The Effect of Wive's Employment on the Mental Health of Married Men and Wome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 216-227. 

  48. Kingston, P. W. and S. L. Nock. (1987) "Time Together among Dual-earner Coupl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2(3): 391-400. 

  49. Lamanna, M. A. and A. Riedmann (2009) Marriages and Families: Making Choices in a Diverse Society(10th ed.) Thomson Learning Inc. 

  50. Lee, Y. (2003) "Measurements of Relative Values in Family Studies" Pacific Science Review 5: 279-282. 

  51. Marks, N. F., J. D. Lambert and H. Choi (2002) "Transition to Caregiving Gend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Prospective U. S. National Stud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4(3): 657-667. 

  52. McRae, J. A. and C. J. Brody (1989) "The Differential Importance of Marital Experiences for Well-being of Women and Men: A Research Not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8: 237-248. 

  53. Michaels, J. W., Edwards, J. N. and A. C. Acock (1984) "Satisfaction in Intimate Relationships as a Function of Inequality, Inequity and Outcome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47(4): 347-57. 

  54. Presser, H. B. (1994) "Employment Schedules among Dual-Earner Spouses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by Gender"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9(3): 348-364. 

  55. Rollins, B. C. and K. L. Cannon (1974)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Family Life Cycle: a Reevalu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6(1): 271-282. 

  56. Ross, C. (1987) "The Division of Labor at Home" Social Forces 65(3): 816-833. 

  57. Simon, R. W. (2002) "Revisiting the Relationships among Gender, Marital Status and Mental Health"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7(4): 1065-1096. 

  58. Spanier, G. B. and R. A. Lewis (1980) "Marital Quality: a Review of the Seven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2: 825-839. 

  59. Voydanoff, P. (1988) "Work Role Characteristics, Family Structure Demands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0: 749-761. 

  60. White, J. M. (1999) "Work-Family Stage and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0(2): 163-175. 

  61. Zvonkovic, A. M., C. J. Schmiege and L. D. Hall (1994) "Influence Strategies used when Couples Make Work-family Decisions and their Importance for Marital Satisfaction" Family Issues 43(20): 182-1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