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4기 후기 동안 동해 울릉분지 퇴적물내 원소 함량 특성과 기원지 연구
Characteristics of Element Geochemistry in Ulleung Basin Sediments During the Late Quaternary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4 no.2, 2009년, pp.69 - 79  

엄인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  최만식 (충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분석과학기술대학원) ,  신형선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과학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 울릉분지 퇴적물의 원소 함량 특성과 제4기 후기 동안의 퇴적물 기원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남.서쪽 사면을 포함한 울릉분지에서 총 3개의 주상시료를 채취하여 주요원소 및 미량원소를 분석하였다. 울릉분지 퇴적물을 황해와 남해 퇴적물과 비교하면 주요원소는 함량 범위가 유사하였으나 미량원소 함량의 경우 해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고, 조사지역인 울릉분지 내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울릉분지 서쪽사면(WS) 퇴적물에서는 Mo의 함량이, 분지평원(Basin) 퇴적물에서는 Zr, Nb, Hf, 그리고 Ta의 함량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남쪽사면(SS) 퇴적물에서는 Ca와 Cs의 함량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분석된 원소들 중 생물기원이나 자생 및 속성기원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원소(K, Ti, Cs, Zr, Nb, Hf 및 Ta)들은 원소/Al 비율 크기와 수직적 변화를 기준으로 3가지 형태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는 모든 주상시료에서 유사한 비율을 보이며 수직적인 변화가 크지 않은 원소(K, Ti), 두 번째는 서쪽사면(WS)과 남쪽사면(SS) 퇴적물에서 차이를 보이는 원소(Cs), 그리고 분지평원(Basin) 퇴적물에서 사면 퇴적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를 보이는 원소(Zr, Nb, Hf, La)이다. 이들 분포형태별 원소들의 특성에 근거할 때 울릉분지의 분지평원(Basin) 퇴적물은 퇴적시기에 따라 기원이 변화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분지평원(Basin) 퇴적물은 해수면이 상대적으로 낮은 약 $10,000{\sim}7,000\;yr$ BP 동안 서쪽사면(WS) 퇴적물과 화산재가 혼합된 특징을 보였으며, 7,000 yr BP 이후는 남쪽사면(SS) 퇴적물과 화산재가 혼합된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연구된 대마난류의 동해 유입시기와 매우 유사한 결과로, 해수면 상승에 의한 울릉분지의 퇴적환경변화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jor and trace elements were analyzed in three core sediments to investigat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ast Sea sediments and provenance changes during late Quaternary in Ulleung Basin. Comparing with Yellow and South Sea sediments, contents of major elements were generally similar while co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릉분지 및 서쪽과 남쪽의 대륙사면에서 채취된 주상시료 퇴적물의 원소조성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 원소조성의 시ㆍ공간적인 변화로부터 조사지역인 울릉분지의 제4기 후기 동안의 퇴적물의 기원 변화를 추정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퇴적물의 원소조성을 통하여 기원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퇴적물 공급원과 해양 환경 조건을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 이유는? 이들 기원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는 공급원과 해양환경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한편, 각 기원물질들은 특징적인 화학조성을 보이는데, 암석기원은 Si, Al, K, 생물기원은 생기원 Si, Ca, Sr, 속성 기원은 Fe, Mn, Mo, U 등이 각 기원물질의 특징을 나타내 준다(Calvert and Pedersen, 1993; Yang et al., 2003; Francoise et al.
세 개의 주상시료에서 총 10개의 퇴적물 부시료를 채취하여 퇴적물내 총유기탄소에 대한 탄소절대연령을 측정한 이유는? 주상시료내 퇴적물의 연대를 추정하기 위해 세 개의 주상시료에서 총 10개의 퇴적물 부시료를 채취하여 퇴적물내 총유기탄소에 대한 탄소절대연령을 측정하였다. 건조시킨 부시료 200~400 mg 을 유리관에 넣은 후 1N 염산(HCl) 3~4 ml를 넣고 반응시킨 후 3차증류수로 3번 세척하여 70~80 ℃에서 건조시켰다.
미국 지질조사소의 표준시료 4가지(BIR-1, MAG-1, SDO-1, SCO-1)를 동일한 방법으로 세 번씩 분석한 이유는? 전처리된 시료들에 대한 주요원소 및 미량원소 분석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유도결합 플라즈마 방출분광기(ICP-AES; Shimadz ICPS-IV 모델)와 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ICP-MS; VG Elemental PQII+ 모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된 자료의 정밀도 및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미국 지질조사소의 표준시료 4가지(BIR-1, MAG-1, SDO-1, SCO-1)를 동일한 방법으로 세 번씩 분석하였으며 원소에 따라 차이를 보이나 전체적인 정밀도는 상대표준편차 ±5% 범위였으며 정확도는±10% 범위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과학기술처, 1995a. 지질 및 해양 시료의 미량조성 및 구조분석법연구. UCPN00010-025-4, pp.161?220 

  2. 과학기술처, 1995b. 한국 대수심 해역의 지구적 해저환경 연구 (1차년도). 한국해양연구소 보고서, BSPN 00259-808-5, pp. 201?254 

  3. 과학기술처, 1996. 한국 대수심 해역의 지구적 해저환경 연구(2-3차년도). 한국해양연구소 보고서, BSPN 00321-950-5, pp.435?456 

  4. 류은영, 류병재, 윤혜수, 이성주, 2003. 규조화석군집을 이용한 동해 울릉분지의 후기 제4기 고환경 연구. 지질학회지. 39(2): 183?198 

  5. 목진숙, 김성한, 김동선, 최만식, 현종호, 2008. 동해 울릉분지 심해 퇴적물 내 공극수의 지화학 성분 분포: 망간 환원의 잠재적 중요성.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지, 204pp 

  6. 박맹언, 송용선, 박계헌, 김희준, 류호정, 1992. 독도의 지질과 화산활동: 주성분 및 미량원소 지구화학. 섬연구회 논문집 별책, 창간호, 98?111 

  7. 박명호, 김일수, 류병재, 2003. 울릉분지 북서부 해역의 코어퇴적 물에 대한 제4기 후기 테프라 층서 및 테프라층 비교 연구. 자원환경지질, 36(3): 225?232 

  8. 박명호, 류병재, 김일수, 정태진, 이영주, 유강민, 2002.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의 천부퇴적물에 대한 층서·퇴적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35(2): 171?177 

  9. 승영호, 1992. 한반도 주변의 수괴와 해수순환. 한국해양학회지, 27(4): 324?331 

  10. 신유나, 김부근, 池原 硏, 윤호일, 김예동, 우경식, 2000. 동해 북동부해역 제4기 후기 퇴적물의 규조 산출과 고해양학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5(4): 305?319 

  11. 엄인권, 임동일, 이미경, 전수경, 정회수, 2003. 한국 동해안 영일만 표층 퇴적물의 금속 함량과 공간 변화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4(5): 477?490 

  12. 우한준, 정혜경, 한상준, 장현도, 윤석훈, 1995. 저서성 유공충에 의한 한국 동해 서부 해역의 제4기 후반 고해양환경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30(5): 493?511 

  13. 윤석훈, 박장준, 한상준, 2003. 동해 한국대지 및 울릉 분지간통로의 제4기 후기 해저퇴적작용.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2): 187?198 

  14. 이준백, 한명수, 양한섭, 1998. 한국 동해 남부 연안생태계 연구1. 1994년 9월에 있어서의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1차생산력. 한국수산학회지, 31(1): 45?55 

  15. 이충일, 조규대, 최용규, 2003. 동해에서 쓰시마난류의 변동과 관련한 극전선의 공간적 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12(9): 943?948 

  16. 정창수, 심재형, 박용철, 박상갑, 1989. 한국 동해의 기초생산력과 질소계 영양염의 동적관계. 한국해양학회지, 24(1): 52?61 

  17. 정철환, 유환수, 최덕근, 김주용, 1998. 동해 남부 해역의 현세퇴적층에서 산출된 포자화분화석군이 지시하는 고환경. 한국지구과학회지, 19(5): 461?466 

  18. 정회수, 임동일, S. Y. Yang., 유해수. 2006. 북동중국해 코아 퇴적물의 희토류원소 분포양상과 기원. 자원환경지질, 39(1): 39?51 

  19. 최만식, 천종화, 우한준, 이희일, 1999. 시화호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및 퇴적상 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8(5): 593?600 

  20. 한국해양연구소, 1994. 한국해역 종합 해양환경도 작성연구-대한해협(3차년도). 한국해양연구소 보고서, BSPN 00227-733-3 

  21. 한정희, 최만식, 2007. 동해 남서부 해역에서 $^{210}Pb$ 를 이용한 퇴적속도 추정. 한국해양학회지, 12(4): 273?277 

  22. Bahk, J.J., S.H. Lee, H.S. Yoo, G.G. Back and S.K. Chough, 2005. Late Quaternary sedimentary process and variations in bottomcurrent activity in the Ulleung Interplain Gap, East Sea(Korea). Marine Geology, 217: 119?142 

  23. Calvert. S.E. and T.F. Pedersen, 1993. Geochemistry of Recent oxic and anoxic marine sediments: Implications for the geological record. Marine Geology, 113: 67?88 

  24. Cha, H.J., C.B. Lee, B.S. Kim, M.S. Choi and K.C. Ruttenberg, 2005. Early diagenetic redistribution and burial of phosphorus in the sediments of the southwestern East Sea (Japan Sea). Marine Geology, 216(3): 127?143 

  25. Cha, H.J., M.S. Choi, C.B. Lee and D.H. Shin, 2007. Geochemistry of surface sediments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Journal of Asia Earth Sciences, 29: 685?697 

  26. Cho, Y.G., C.B. Lee and M.S. Choi, 1999. Geochemistry of the surface sediments off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 Marine Geology, 159: 111?129 

  27. Choi, M.S., D.S. Lee, J.C. Choi, H.J. Cha and H.I. Yi, 2006. $ ^{239+240}Pu $ concentration and isotope ratio ( $^{240}Pu/^{239}Pu$ ) in aerosols during high dust (Yellow Sand) period, Kore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70: 262?270 

  28. Dehairs, F., R. Chesselet and J. Jedwab, 1980. Discrete suspended particles of barite and the barium cycle in the open ocea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49: 528?550 

  29. Domotsu, H. and M. Oda, 2008. Holocene influx of the Tsushima Current into the Japan Sea signalled by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Neogloboquadrina incompta distribution. The Holocean, 18(2): 345?352 

  30. Dymond, J. and R. Collier, 1996. Particulate barium fluxes and their relationship to biological productivity. Deep-Sea Research II, 43: 1283?1308 

  31. Fisher, G., M. Kalberer, B. Donner and G. Wefer, 1999. Use of Proxies in Paleoceanography. In: Stable Isotopes of Pteropod Shells as Recorders of Sub-Surface Water Condition, edited by Fisher, G. and G. Wefer, Springer, New York, PP. 191?206 

  32. Francoise, E.P., J.L. Seidel, D. Jezequel, E. Metzger, T. Prevot, C. Simonucci, G. Sarazin, E. Viollier, H. Etcheber, J.M. Jouanneau, O. Weber and O. Radakovitch, 2005. Sedimentary record of redoxsensitive element (U, Mn, Mo) in a transitory anoxic basin (the Thau lagoon, France). Marine Chemistry, 95: 271?281 

  33. Furuta, T., K. Fujioka and F. Arai, 1986. Widespread submarine tephras around Japan-Petrographic and chemical properties. Marine Geology, 72: 125?142 

  34. Hong, G.H., S.H. Kim, C.S. Chung, D.J. Kang, D.H. Shin, H.J. Lee and S.J. Han, 1997. $^{210}Pb$ -derived sediment accumulation rates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Sea of Japan). Geo-Marine Letters, 17(2): 126?132 

  35. Irino, T. and R. Tada, 2002. High-resolution reconstruction of variation in aeolian dust (Kosa) deposition at ODP site 797, the Japan Sea, during the last 200 ka. Global and Planetary Change, 35: 143?156 

  36. Jeandel, C., K. Tachikawa, A. Bory and F. Dehairs, 2000. Biogenic barium in suspended and trapped material as a tracer of export production in the tropical NE Atlantic (EUMELI sites). Marine Chemistry, 71: 125?142 

  37. Jimenez-Espejo, F.J., F. Martinez-Ruiz, T. Sakamoto, K. Iijima, D. Gallego-Torres and N. Harada, 2007.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High resolution multiproxy record from the Algero-Balearic basin. Paleogeography, Paleoclimatology, Paleoecology, 246: 292?306 

  38. Keigwin, L.D. and S.A. Gorbarenko, 1992. Sea level, surface salinity of the Japan Sea and the Younger Dryas event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Quaternary Research, 37: 346?360 

  39. Kong, K.S. and S.C. Park, 2007. Paleoenvironmental changes and depositional history of the Korea (Tsushima) Strait since the LGM. Journal of Asia Earth Sciences, 29: 84?104 

  40. Lee, S.H., J.J. Bahk, S.K. Chough, G.G. Back and H.S. Yoo, 2004. Late Quatenary sedimentation in the Ulleung Interplain Gap, East Sea (Korea). Marine Geology, 206: 225?248 

  41. Lim, D.I., S. Kang, H.S. Yoo, H.S. Jung and J.Y. Choi, 2006. Late Quaternary sediments on the outer shelf of the Korea Strait and their paleoceanographic implications. Geo-Marine Letters, 26: 284?296 

  42. Machida, H. and F. Arai, 1983. Extensive ash falls in the around the Sea of Japan from late Quaternary eruption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8: 151?164 

  43. Machida, H., 1999. The Stratigraphy, chronology and distribution of distal marker-tephras in the around Japan. Global and Planetary Changes, 21: 71?94 

  44. Matthai, C., G.F. Brich and R. Szymczak, 1998. Suboxic, early diagenetic processes in surficial sediments near a deepwater ocean outfall, Sydney, Australia. Journal of Geochemical Exploration, 64: 1?17 

  45. McConnell, M.C. and R.C. Thunell, 2005. Calibration of the planktonic foraminiferal Mg/Ca paleothermometer: Sediment trap results from the Guaymas Basin, Gulf of California. Raleoceanography, 20: PA2016 

  46. Morford. J.L. and S. Emerson, 1999. The Geochemistry of redox sensitive trace metals in sediment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63(11/12): 1735?1750 

  47. Marz, C., B. Beckmann, C. Franke, C. Vogt, T. Wagner and S. Kasten, 2008. Geochemical environmental of the Coniacian-Santonian western tropical Atlantic at Demerara Rise. Paleogeography, Paleoclimatology, Paleoecology, Article in Press 

  48. Nameroff, T.J., S.E. Calvert and W. Murray, 2004. Glacial-interglacial variability in the eastern tropical North Pacific oxygen minimum zone recorded by redox-sensitive trace metals. Paleoceanography, 19: 1?19 

  49. Oba, T., M. Kato., H., Kitazato, I. Koizumi, A. Omura, T. Sakai and T. Takayama, 1991.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Japan Sea during the last 85,000 years. Paleoceanography, 6(4): 499?518 

  50. Park, S.C., D.G. Yoo, C.W. Lee and E.I. Lee, 2000. Last glacial sealevel changes and paleoceanography of the Korea (Tsushima) Strait. Geo-Marine Letters, 20: 64?71 

  51. Park, M.H., J.H. Kim and Y.W. Kil, 2007. Identification of the late Quaternary tephra layers in the Ulleung Basin of the East Sea using geochemical and statistical methods. Marine Geology. 244: 196?208 

  52. Piper, Z. and C.M. Isaacs, 1996. Instability of bottom-water redox conditions during accumulation of Quaternary sediment in the Japan Sea. Paleoceanography, 11(2): 171?190 

  53. Plank, T., and C.H. Langmuir, 1998.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ubducting sediment and its consequences for the crust and mantle. Chemical Geology, 145: 325?394 

  54. Pujor, F., Z. Berner and D.Stben, 2006. Paleoenvironmental changes at the Frasnian/Famennian boundary in key European sections: Chemostratigraphic constraints. Paleogeography, Paleoclimatology, Paleoecology, 240: 120?145 

  55. Rankama, K. and T.G. Sahama, 1950. Geochemistr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12pp 

  56. Riihlemann, C., P.J. Mller and R.R. Schneider, 1999. Use of Proxies in Paleoceanography. In: Organic Carbon and Carbonate as Paleoproductivity Proxies: Examples from High and Low Productivity Areas of the Tropical Atlantic, edited by Fisher, G. and G. Wefer, Springer, New York, PP. 315?344 

  57. Sundby, B., N. Silverberg, and R. Chesselet, 1981. Pathways of manganese in open estuarine system.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45: 2377?2384 

  58. Sangiorgi, F., E. Dinelli, P. Maffioli, L. Capotondi, S. Giunta, C. Morigi, M.S. Principato, A. Negri, K. Emeis and C. Corselli, 2006. Geochemical and micropaleontological characterisation of a Mediterranean sapropel S5: A case study from Core BAN89GC09 (south of Crete). Paleogeography, Paleoclimatology, Paleoecology, 235: 192?207 

  59. Sternberg, E., C. Jeandel, J.C. Miquel, B. Grasser, M. Souhaut, R. Arraes-Mescoff and R. Francois, 2007. Particulate barium fluxes and export production in the northwestern Mediterranean. Marine Chemistry, 105: 281?295 

  60. Wehausen, R. and H.J. Brumsack, 2000. Chemical cycles in Pliocene sapropel-bearing and sapropel-barren eastern Mediterranean sediments. Paleogeography, Paleoclimatology, Paleoecology, 158: 325?352 

  61. Yang S.Y., H.S. Jung, D.I. Lim and C.X. Li, 2003. A review on the provenance discrimination of sediments in the Yellow Sea. Earth- Science Reviews, 63: 93?1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