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울릉분지 남서부 해저지형 및 표층퇴적물 분포
Seafloor Morphology and Surface Sediment Distribution of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5 no.2, 2014년, pp.131 - 146  

구본영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김성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  이광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  정공수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릉분지 남서부의 대륙붕-대륙사면 해저지형과 지질 특성을 규명하고, 이들에 영향을 주는 지질학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빔 음향측심자료와 표층퇴적물 입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의 대륙붕은 약 ($0.5^{\circ}$의 경사로 수심 100 m 이내에서 나타나는 내대륙붕과 약 $0.2^{\circ}$의 경사로 수심 100-300 m 이내에서 나타나는 외대륙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륙사면에는 다양한 규모(~121 $km^2$)와 경사(최대 $24.3^{\circ}$)를 갖는 8개의 사면붕괴 지형이 관찰된다. 각 사면붕괴 지형은 서로 인접해 있으며, 해저 지진과 전지구적 해수면 변동의 강한 영향 하에서 연속적으로 발생된 해저사태 기원으로 추정된다. 내대륙붕과 대륙사면은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하지만, 외대륙붕은 조립질 퇴적물이 우세하다. 표층퇴적물 분포양상은 해수면 변동으로 인한 영향을 주로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외대륙붕은 저해수면 시기 동안 퇴적된 조립질 잔류 퇴적물로, 내대륙붕은 고해수면 시기동안 퇴적된 현생의 세립 퇴적물로 피복되어 있다. 대륙사면의 표층퇴적물은 저해수면 시기에도 깊은 수심에서 반원양성 대류작용으로 공급된 세립퇴적물로 구성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lti-beam echosounder data and grain size analysis data of surface sediment were acquired and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helf-to-slope morphology, geological character, and their geological controlling factors 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중빔 음향측심기 자료와 퇴적물 입도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륙주변부 환경인 울릉분지 남서부의 해저지형 및 표층퇴적물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다. 울릉분지 남서부의 해저지형 특성은 크게 내대륙붕, 외대륙붕, 대륙사면으로 구분된다.
  • 3). 본 연구에서는 대륙붕과 대륙사면을 중심으로 연구지역의 해저지형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 최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는 1:25만 축척의 해저질도 제21집(울산해역) 발간을 위하여 울릉 분지 남서부를 대상으로 해상탐사를 실시하여 얻은 다중빔 음향측심기(multi-beam echo sounder) 탐사자료와 비교란 지질시료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획득한 자료를 토대로 울릉분지 남서부의 해저지형 특성과 표층퇴적물의 분포 양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들을 조절하는 지질학적 요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저자들은 본 논문이 아시아 대륙 주변부에 위치한 울릉분지 남서부의 지형 및 지질 특성을 보다 상세히 인지하고 주된 환경 인자들의 상호작용을 폭넓게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륙주변부는 어떤 지역인가? 대륙주변부(Continental margin)는 연안으로부터 대륙붕, 대륙사면, 대륙대까지 이어지는 육지와 바다의 연계 지역이라 할 수 있다(Bates and Jackson, 1980). 일반적으로 이 지역은 해수면 변동, 폭풍, 지진, 해류, 혹은 조류 등 다양한 해양지질학적 작용에 의하여 육지로부터 공급된 퇴적물이 넓은 면적에 걸쳐 이동, 집적, 침식되는 매우 역동적인 환경이다(Seibold and Berger, 1996).
대륙주변부 환경적 특징은? 대륙주변부(Continental margin)는 연안으로부터 대륙붕, 대륙사면, 대륙대까지 이어지는 육지와 바다의 연계 지역이라 할 수 있다(Bates and Jackson, 1980). 일반적으로 이 지역은 해수면 변동, 폭풍, 지진, 해류, 혹은 조류 등 다양한 해양지질학적 작용에 의하여 육지로부터 공급된 퇴적물이 넓은 면적에 걸쳐 이동, 집적, 침식되는 매우 역동적인 환경이다(Seibold and Berger, 1996). 20세기 중반 이후 발전된 해양 탐사기술과 대륙붕 석유가스전 개발, 수중 무기체계 운용의 증가로 대륙주변부의 현생 해저 퇴적물 분포 특성은 물론 해저면 하부 고기 퇴적층에 관한 지질학적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매우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Philip et al.
울릉분지는 대마도를 경계로 어떤 해류의 영향을 받는가? 울릉분지는 대마도를 경계로 대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 TWC)와 동한난류(East Korean Warm Current, EKWC)로 분기되는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을 받는다(Fig.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2006, Guide map of korean seas.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Incheon, Korea, 92 p. (in Korean) 

  2.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2014, The current chart of the East Sea. http://www.khoa.go.kr/app/ocean_cur/a.asp?sgrp (March 3th 2014). (in Korean) 

  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4a, The Climate information. http://www.kma.go.kr/weather/climate/average_30years.jsp (March 3th 2014). (in Korean) 

  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4b, The Observation value of climate data. http://sts.kma.go.kr/jsp/home/contents/climateData/obs/obsValSearch.do (March 3th 2014). (in Korean) 

  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2014c, The Distribution map of the Epicenter.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domestictrend.jsp (March 3th 2014) (in Korean) 

  6. Bahk, J.J. Kong, K.S., Kwon, I.K., Kim, S.P., Kim, J.K., Kim, J.H., Kim, H.J., Ryu, B.J., Min, G.H., Park, Y.S., Sunwoo D., Son, B.G., Um, I.K., Oh, J.H., Lee, S.H., Lee, C.W., Jang, T.S., Jeung, T.J., Jin, J.H., Cheon, J.H., Choi, J.K., Choi, H.S., Lee, Y.J., Lee, J.Y., Choi, J.Y., Lee, J.H., and Kim, D.H., 2010, Studies on gas hydrate geology, geochemistry, and stability.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GP2010-002-2010, 187 p. (in Korean) 

  7. Bahk, J.J., Han, S.J., and Khim, B.K., 2004, Variations of terrigenous sediment supply to the southern slope of the Ulleung Basin, East/Japan Sea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Geoscience Journal, 8, 381-390. 

  8. Bates, R.L. and Jackson, J.A., 1980, Glossary of geology.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Virginia, USA, 751 p. 

  9. Canals, M., Lastras, G., Urgeles, R., Casmor, J.L., Mienert, J., Cattaneo, A., Batist, De M., Hafidason, H., Imbo, Y., Laberg, J.S., Locat, J., Long, D., Longva, O., Masson, D.G., Sultan, N., Trincardi, F., and Byrn, P., 2004, Slope failure dynamics and impacts from seafloor and shallow sub-seafloor geophysical data: Case studies from the COSTA project. Marine Geology, 213, 9-72. 

  10. Choi, J.Y., 1997, Mixed carbonate-detrital sediments on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8, 493-499. (in Korean) 

  11. Choi, J.Y. and Park, Y.A., 1993, Distributions and textural characters of the bottom sediments on the continental shelves, Korea.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8, 259-271. (in Korean) 

  12. Chough, S.K., Lee, H.J., and Yoon, S.H., 2000, Marine geology of Korean seas (2nd edition). Elsevier, Amsterdam, Netherlands, 313 p. 

  13. Chough, S.K., Lee, S.H., Kim, J.W., Park, S.C., Yoo, D.G., Han, H.S., Yoon, S.H., Oh, S.B., Kim, Y.B., and Back, G.G., 1997, Chirp (2-7 kHz) echo characters in the Ulleung Basin. Geoscience Journal, 1, 143-153. 

  14.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amphill's Austin, Texas, USA, 170 p. 

  15. Folk, R.L. and Ward W.C., 1957,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7. 

  16. Hampton, M.A. and Lee, H.J., 1996, Submarine landslides. Reviews of Geophysics, 34, 33-59. 

  17. Kim, S.P., Min, G.H., Lee, C.W., Ryu, B.J., Yoo, D.G., Kim, G.Y., Kong, G.S., Bahk, J.J., Kim, K.O., Kwon, U.I., Lee, G.S., Kang, K.N., Yoon, Y.H., Kim, J.K., Kim, Y.G., Choi, J.K., Seo G.S., Jo, D.W., and Koo, B.Y., 2012, Marine geological and geophysical mapping of the Korean seas.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GP2010-013-2012, 344 p. (in Korean) 

  18. Lee, B.K. and Kim, S.Y., 2007, Sedimentary facies and processes in the Ulleung Basin and Southern East S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0, 160-166. (in Korean) 

  19. Lee, G.H. and Suk, B.C., 1998, Latest Neogene-Quaternary seismic stratigraphy of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Marine Geology, 146, 205-224. 

  20. Lee, H.J., Chough, S.K., and Yoon, S.H., 1996, Slopestability change from late Pleistocene to Holocene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Japan Sea). Marine Geology, 104, 39-51. 

  21. Lee, H.J., Chough, S.K., Chun S.S., and Han, S.J., 1991, Sediment failure on the Korea Plateau slope, East Sea (Sea of Japan). Marine Geology, 97, 363-377. 

  22. Lee, H.J., Chun, S.S., Yoon, S.H., and Kim, S.R., 1993, Slope stability and geotechnical properties of sediment of the southern margin of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Marine Geology, 110, 31-45. 

  23. Lee, S.H., 2001, Depositional processes of Quaternary sediments in the Ulleung basin, south Korea plateau, Ulleung interplain gap and Oki bank, East Sea: Chirp (2-7 kHz) profile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55 p. 

  24. Lee, S.H., Bahk, J.J., Kim, H.J., Kim, G.Y., Kim, S.P., Jeong, S.W., and Park, S.S., 2014, Contrasting development of the latest Quaternary slope failures and mass transport deposits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Japan Sea). In Krastel, S., Behrmann, J.H., Volker, D., Stipp, M., Berndt, C., Urgeles, R., Chaytor, J., Huhn, K., Strasser, M., and Harbitz, C.B. (eds), submarine mass movements and their consequences-6th international symposium. Springer, Advances in Natural and Technological Hazards Research, 37, 403-412. 

  25. Lee, S.H., Bahk, J.J., Kim, H.J., Lee, K.E., Jou, H.T., and Suk, B.C., 2009, Changes in the frequency, scale, and failing areas of latest Quaternary (<29.4 cal. ka B.P.) slope failures along the SW Ulleung Basin, East Sea (Japan Sea), inferred from depositional characters of densely dated turbidite successions. Geo-Marine Letters, 30, 133-142. 

  26. Lee, S.H. Chough, S.K., Back, G.G., Kim, Y.B., and Sung, B.S., 1999, Gradual downslope change in highresolution acoustic characters and geometry of largescale submarine debris lobes in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Korea. Geo-Marine Letters, 19, 254-261. 

  27. Park, S.C. and Yoo, D.G., 1988, Depositional history of Quaternary sediments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Korea Strait). Marine Geology, 79, 65-75. 

  28. Park, Y.A., 1985, Late Quaternary sedimentation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0, 55-61. 

  29. Passega, R., 1957, Texture as characteristic of clastic deposition. Bulletin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31, 1952-1984. 

  30. Philip, P.E.W., Wynn, R.B., Kenyon, N.H., and Evans, J., 2000, Continental margin sediment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orth-east Atlantic margin. Sedimentology, 47, 239-256. 

  31. Seibold, E. and Berger, W.H., 1996, The sea floor: An introduction to marine geology (3rd edition). Springer, Heidelberg, Germany, 356 p. 

  32. Stow, D.A.V., 1984, Anatomy of debris-flow deposits. in Hay, W.W., and Sibuet, J.C., Barron, E.J., Brassell, S., Dean, W.E., Huc, A.Y., Keating, B.H., McNulty, C.L., Meyers, P.A., Nohara, M., Schallreuter, R.E., Steinmetz, J.C., Stow, D., and Stradner, H., Initial reports, Deep Sea Drilling Project.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USA, 75, 801-807 

  33. Stow, D.A.V., Reading H.G., and Collinson, J.C., 1996, Deep seas. In Reading, H.G., Sedimentary environments: processes, facies and stratigraphy. Blackwell Science, Oxford, UK, 395-453. 

  34. Yamada, Y., Kawamura, K., Ikehara, K., Ogawa, Y., Urgeles, R., Mosher, D., Chaytor, J., and Strasser, M., 2011, Submarine mass movements and their consequences. In Yamada, Y., Kawamura, K., Ikehara, K., Ogawa, Y., Urgeles, R., Mosher, D., Chaytor, J., and Strasser, M. (eds), submarine mass movements and their consequences-5th international symposium. Springer, Advances in Natural and Technological Hazards Research, 31, 1-12. 

  35. Yoo, D.G., Kim, S.P., Lee C.W., and Park, S.C., 2011, Seismic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history of Holocene Transgressive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Korea.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4, 303-312. (in Korean) 

  36. Yoo, D.G., Lee, C.W., Kim, S.P., and Park, S.C., 2010, Late Quaternary transgressive stratigraphy and its depositional history in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Korea. Jigu-Mulli-Wa-Mulli-Tamsa, 13, 349-356. 

  37. Yoon, S.H, Lee, H.J., Han S.J., and Kim, S.R., 1996, Quaternary sedimentary processes on the east Korean continental slope (Samchuk-Yangyang).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2, 250-26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