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만의 저서환경 구배에 따른 저서동물군집 구조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long the Environmental Gradients of Ulsan Bay,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4 no.2, 2009년, pp.102 - 117  

윤상필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정래홍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김연정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김성길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최민규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오현택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홍석진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조사는 유기물과 미량금속 오염이 의심되는 울산만에서 저서환경의 교란 유무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울산만 안팎에 선정된 9개 정점에서 2006년 2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저서환경과 대형저서동물군집에 대해 동시에 이루어졌다. 유기물 함량(TOC)은 평균 1.7% 이었으며 미량금속 중 As, Cu, Pb, Zn의 농도는 거의 모든 정점에서 최소영향수준(ERL)을 초과하였다. 저서동물군집의 총 출현종수는 199종, 평균 서식밀도는 4,578 개체/$m^2$ 이었으며 다모류가 가장 우세한 동물군이었다. 주요 우점종은 Aphelochaeta monilaris(22.6%), Ruditapes philippinarum(17.1%), Magelona japonica(12.2%), Lumbrineris longifolia(9.9%) 등이었으며 정점별 환경 특성에 따라 뚜렷이 다른 분포 양상을 보였다. 다변량분석 결과, 울산만 상단, 내만역, 내만역 중 태화강과 고사천이 만나는 지점 그리고 외해역에서 서로 다른 4개의 군집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울산만 내의 군집 이질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SIMPER 분석 결과, 4개 군집에서는 각각 R. philippinarum-Capitella capitata, A. monilaris-Balanoglossus carnosus, Sinocorophium sinensis-Cyathura higoensis 그리고 M. japonica-Ampharete arctica가 특징적으로 출현하였다. 전체 군집의 종조성과 밀도의 시.공간적 변화에 대해 가장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 환경 요인은 수심, 입도, 유기물 함량이었으며 중금속 중 Zn도 주요 항목에 포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benthic environment of Ulsan Bay was disturbed by organic materials and trace metals from the megacity and industrial complex. Field survey for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y was seasonally conducted from February to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산만의 출현종수와 개체밀도가 국내 연안에서 수행된 다른 연구 결과들에 비해서 낮지 않은 수준이라는 결과가 나오게 된 원인을 유추해본다면 무엇인가? , 2001)에 비해서도 증가된 값이었다. 이러한 결과가 가능할 수 있었던 몇 가지 원인을 유추해보면 첫 째, 울산만의 다양한 수심 구배는 단조로운 퇴적환경이 제공하지 못하는 추가적인 환경 변화를 제공하였으며, 둘 째, 개방형 지형에 따른 내만역과 외해역 간의 원활한 소통은 다양한 오염 요인에 의해 내만역이 고립되는 상황을 방지하는 효과를 주었으며 특히 연중 양호한 용존산소 조건은 생물 군집의 지속적 발전을 가능케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비교적 다양한 생물상을 보이는 외해역의 군집은 개방형 지형과 맞물려 울산만 내외의 종 분산에 기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여건들이 Yi et al.
해양생물의 종 다양성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인위적 요인으로는 무엇인가? 해양생물의 종 다양성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인위적 요인으로는 연근해에서 행해지는 저인망 등에 의한 어획행위, 사회적·경제적 목적에 의해 행해지는 연안의 대규모 개발, 도시와 산업시설물에서 배출되는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 유입, 국가 간 경제 교류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래종의 유입, 그리고 최근 잠재적 위협 요인으로서 널리 인식되고 있는 지구온난화 등을 들 수 있다(Snelgrove, 1998). 이 가운데 특히 대규모 연안개발은 육상과 해양의 점이지역으로서 생태적 중요도가 높은 서식처들을 직접 파괴함으로써, 그리고 개발된 도시와 산업 시설물들은 연안환경으로 다량의 유해물질들을 배출함으로써 군집구조의 변형과 붕괴를 초래하기 때문에 연안 저서생태계의 질적 저하를 유발하는 주된 요인으로 언급되어 왔다(e.
대규모 연안개발이 연안 저서 생태계의 질적 저하를 유발하는 주된 요인으로 언급된 이유는 무엇인가? 해양생물의 종 다양성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인위적 요인으로는 연근해에서 행해지는 저인망 등에 의한 어획행위, 사회적·경제적 목적에 의해 행해지는 연안의 대규모 개발, 도시와 산업시설물에서 배출되는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 유입, 국가 간 경제 교류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래종의 유입, 그리고 최근 잠재적 위협 요인으로서 널리 인식되고 있는 지구온난화 등을 들 수 있다(Snelgrove, 1998). 이 가운데 특히 대규모 연안개발은 육상과 해양의 점이지역으로서 생태적 중요도가 높은 서식처들을 직접 파괴함으로써, 그리고 개발된 도시와 산업 시설물들은 연안환경으로 다량의 유해물질들을 배출함으로써 군집구조의 변형과 붕괴를 초래하기 때문에 연안 저서생태계의 질적 저하를 유발하는 주된 요인으로 언급되어 왔다(e.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9)

  1. 강화성, 이광우, 1996. 광양만, 마산만 및 울산만 퇴적물중의 미량금속과 퇴적속도.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2(4): 455?461 

  2. 권오길, 박갑만,이준상, 1993. 원색 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pp. 445 

  3. 박흥식, 이순길, 2002. 저서생물상을 이용한 진해만 수하식 양식장의 저서환경 평가.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5(1): 68?75 

  4. 박흥식, 강래선, 이재학, 2006. 천수만 조하대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우점종의 분포 양상과 저서환경. 한국수산학회지, 39(특집호): 214?222 

  5. 백상규, 강래선, 전재옥, 이재학, 윤성규, 2007. 동해 후포주변 사질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분포특성. Ocean and Polar Res., 29(2): 123?134 

  6. 신상호, 구본주, 제종길, 2004. 서해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공간분포. 한국습지학회지, 6(1): 57?72 

  7. 신현출, 1995. 가막만의 저서다모류군집. 한국해양학회지, 30(4): 250?261 

  8. 신현출, 고철환, 1993. 삼천포시 근해역의 다모류군집. 한국해양학회지, 28(4): 305?312 

  9. 신현출, 김용현, 2002. 득량만 저서다모류군집의 공간분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1): 20?31 

  10. 신현출, 강성길, 고철환, 1989. 경기만 남부 해역의 저서다모류군집. 한국해양학회지, 27(2): 164?172 

  11. 신현출, 최성군, 고철환, 1992. 영일만 다모류 군집의 계절별, 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27(1): 46?54 

  12. 안순모, 고철환, 1992. 서해 만경·동진 조간대의 환경과 저서동물분포. 한국해양학회지, 27(1): 78?90 

  13. 양재삼, 정주영, 강정원, 황갑수, 1996. 울산만의 중금속 분포.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2(4): 351?358 

  14. 원종훈, 박정길, 양한섭, 1976. 울산만해수중의 수은, 카드뮴, 구리, 납, 아연의 농도분포. 한국수산학회지, 9(3): 177?184 

  15. 윤상필, 정래홍, 김연정, 김성수, 이재성, 박종수, 이원찬, 최우정, 2007. 가막만의 저서환경과 다모류군집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2(4): 287?304 

  16. 이재학, 유옥환, 이형곤, 박자양, 2004. 이원방조제 주변의 조간대 및 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한국수산학회지, 37(4): 295?306 

  17. 이형곤, 이재학, 유옥환, 김종관, 2005. 낙동강 하구역 주변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공간 특성. Ocean and Polar Res., 27(2): 135?148 

  18. 임경훈, 신현출, 윤성명, 고철환, 2007. 진해만 대형 저서동물군집 분석을 통한 저서환경 평가.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2(1): 9?23 

  19. 임현식, 박경양, 1999. 반폐쇄적인 영산강 하구역 조하대 연성저질의 저서동물 군집. 한국수산학회지, 32(3): 320?332 

  20. 임현식, 홍재상, 2002. 법성포 와탄천 하구역의 염분과 퇴적환경에 따른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1): 8?19 

  21. 정래홍, 홍재상, 이재학, 1997. 광양 제철소 건설을 위한 매립과 준설공사 기간중 저서 다모류 군집의 공간 및 계절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0(5): 730?743 

  22. 정래홍, 임현식, 김성수, 박종수, 전경암, 이영식, 이재성, 김귀영, 고우진, 2002. 남해안 가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의 대형저서동물군집에 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4): 235?246 

  23. 조태진, 이상배, 김석윤, 2001. 곰소만 조간대 바지락 양식장 저질의 퇴적학적 및 수리역학적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4(3):245?253 

  24. 최민규, 최희구, 김상수, 문효방, 2005. Fecal sterol을 이용한 울산만과 주변해역 퇴적물내 하수기인 유기물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14(1): 23?32 

  25. 최진우, 고철환, 1990. 한국 동해 대륙붕 및 대륙사면에서의 다모류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25(1): 36?48 

  26. 해양수산부, 2005.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389pp 

  27. 홍재상, 정래홍, 서인수, 윤건탁, 최병미, 유재원, 1997. 시화방조제의 건설은 저서동물군집의 시·공간 분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한국수산학회지, 30: 882?895 

  28. Chapman, P.M., R.N. Dexter and E.R. Long, 1987. Synoptic measures of sediment contamination, toxicity and infaunal community composition (the Sediment Quality Triad) in San Francisco Bay. Mar. Ecol. Prog. Ser., 37: 75?96 

  29. Choi, J.W., O.H. Yu and W.J. Lee, 2003. The summer spatial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fauna in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The Sea, 8: 14?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Choi, J.W., J.Y. Seo, C.H. Lee, T.K. Ryu, C.G. Sung, G.M. Han and S.M. Hyun, 2005.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ic communities during winter and summer in the Masan Bay Special Management Area, southern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27: 381?3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Clarke, K.R., 1993. Non-parametric multivariate analyses of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Aust. J. Ecol., 18: 117?143 

  32. Clarke, K.R. and M. Ainsworth, 1993. A method for linking multivariate community structure to environmental variables. Mar. Ecol. Prog. Ser., 92: 205?209 

  33. Clarke, K.R. and R.M. Warwick, 1994. Changes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Plymouth Marine Laboratory, UK, 144 pp 

  34. Dauvin, J.C., 2008. Effect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on the macrobenthic fauna in estuaries: The case of the Seine estuary. Mar. Pollut. Bull., 57: 160?169 

  35. Edgar, G.J., C.K. Macleod, R.B. Mawbey and D. Shields, 2005. Broad-scale effects of marine salmonid aquacultue on macrobenthos and the sediment environment in southeastern Tasmania. J. Exp. Mar. Biol. Ecol., 327: 70?90 

  36. Elias, R., J.R. Palacios, M.S. Rivero and E.A. Vallarino, 2005. Shortterm responses to sewage discharge and storms of subtidal sandbottom macrozoobenthic assemblages off Mar del Plata City, Argentina (SW Atlantic). J. Sea Res., 53: 231?242 

  37. Ferraro, S.P., R.C. Swartz, F.A. Cole and D.W. Schulrs, 1991. Temporal changes in the benthos along a pollution gradient: Discriminating the effects of natural phenomena from sewage-industrial wastewater effects. Est. Coast. Shelf. Sci., 33: 383?407 

  38. Gray, J.S., K.R. Clarke, R.M. Warwick and G. Hobbs, 1990. Detection of initial effects of pollution on marine benthos: an example from the Ekofisk and Eldfisk oilfields, North Sea. Mar. Ecol. Prog. Ser., 66: 285?299 

  39. Hong, J.S. and J.H. Lee, 1983. Effects of the pollution on the benthic macrofauna in Masan Bay, Korea. J. Oceanol. Soc. Korea, 18: 169?179 

  40. Kang, C.K., P.Y. Lee, J.S. Park and P.J. Kim,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nearshore surface sediment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6: 557?566 

  41. Kim, W.S., H.T. Hur, S.H. Hur and T.W. Lee, 2001. Effects of salinity on endogenousrhythm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Veneridae). Mar. Biol., 138: 1359?1371 

  42. Koh, B.S., J.H. Lee and J.S. Hong, 1997.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benthic macrofaunal community in the coastal area of Inchon, Korea. The Sea, 2: 31?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3. Koo, B.J., J.G. Je and S.H. Shin, 2004. Benthic pollution assessment based o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Gamak Bay, southern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26: 11?22 

  44. KORDI, 1981. Report on water quality monitoring in coastal areas of Banweol, Ulsan, Changwon and Yeoch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pp. 95 (in Korean) 

  45. Laing, I. and A.R. Child, 1996. Comparative tolerance of small juvenile palourdes (Tapes decussates L.) and Manila clams (Tapes philippinarum Adams & Reeve) to low temperature. J. Exp. Mar. Biol. Ecol., 195: 267?285 

  46. Lee, K.W., H.S. Kang and S.H. Lee, 1998. Trace elements in the Korean coastal environment. Sci. Total. Environ., 214: 11?19 

  47. Lim, H.S. and J.S. Hong, 1997. Ecology of the macrozo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 3. Community structure. J. Korean Fish. Soc., 30: 175?1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8. Lim, H.S. and J.W. Choi, 2001a.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soft bottom around Sorido island,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ean Fish. Soc., 34: 225?2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9. Lim, H.S. and J.W. Choi, 2001b.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crobenthos in Hampyung Bay during autumn in 1997, southwest coast of Korea. J. Korean Fish. Soc., 34: 327?3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0. Lim, H.S., J.G. Je, J.W. Choi and J.H. Lee, 1991. Distribution pattern of the macrozoobenthos at Yoja Bay in summer. Ocean Res., 13: 31?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1. Lim, H.S., J.H. Lee, J.W. Choi and J.G. Je, 1995. Macrobenthic community on the soft-bottom around the Youngjong island, Korea. J. Korean Fish. Soc., 28: 635?6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2. Lim, H.S., H.S. Park, J.W. Choi and J.G. Je, 1999. Macrobenthic community of the subtidal soft bottom of Aenggang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Sea, 4: 80?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3. Long, E.R. and L.G. Morgan, 1990. The potential for biological effects of sediment-sorbed contaminants tested in the National Status and Trends Program. NOAA Technical Memorandum NOSOMA 52. pp. 175 

  54. Long, E.R., S.L. MacDonald, S.L. Smith and F.D. Calder, 1995. Incidence of adverse biological effects within ranges of chemical concentrations in marine and estuarine sediments. Environ. Manage., 19: 81?97 

  55. Lu, L., B.P.L. Goh and L.M. Chou, 2002. Effects of coastal reclamation on riverine macrobenthic infauna (Sungei Punggol) in Singapore. J. Aquat. Ecosyst. Health, 9: 127?135 

  56. Lu, L. and R.S.S. Wu, 2007. A field experimental study on recolonization and succession of subtidal macrobenthic community in sediment contaminated with industrial wastes. Mar. Pollut. Bull., 54: 195?205 

  57. Ma, C.W., S.Y. Hong and H.S. Lim, 1995. Macrobenthic fauna of Deukryang Bay, Korea. J. Korean Fish. Soc., 28: 503?5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8. McLusky, D.S., V. Bryant and R. Campbell, 1986.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toxicity of heavy metals to marine and estuarine invertebrates. Oceanogr. Mar. Biol. Annu. Rev., 24: 481?520 

  59. Mucha, A.P., M. Teresa, S.D. Vasconcelos and A.A. Bordalo, 2005. Spati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and metal contamination in the Douro estuary (Portugal). Mar. Environ. Res., 60: 531?550 

  60. Paik, S.G. and S.G. Yun, 2000. 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J. Korean Fish. Soc., 33: 572?5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1. Park, H.S., J.H. Lee and J.W. Choi, 2000a.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on subtidal area around Mokpo, The Sea, 5: 169?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2. Park, H.S., H.S. Lim and J.S. Hong, 2000b. Spatio- and temporal patterns of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benthos community on subtidal soft-bottom in Chonsu Bay, Korea. J. Korean Fish. Soc., 33: 262?2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3. Park, H.S., J.W. Choi and H.G. Lee, 2000c.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fauna under marine fish culture cages near Tongyon , 

  64.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u. Rev., 16: 229?311 

  65. Rand, G.M. and S.R. Petrocelli, 1985. Fundamentals of Aquatic Toxicology. Hemisphere, Washington DC. pp. 666 

  66.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25pp 

  67. Shin, H.C., S.M. Yoon and C.H. Koh, 2001.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faunal community in Ulsan Bay and Onsan Bay, eastern coast of Korea. The Sea, 6: 180?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8. Simboura, N., A. Zenetos, P. Panayotidis and A. Makra, 1995. Changes in benthic community structure along an environmental pollution gradient. Mar. Pollut. Bull., 30: 470?474 

  69. Smith, J. and S.E. Shackley, 2006. Effects of the closure of a major sewage outfall on sublittoral soft sediment benthic communities. Mar. Pollut. Bull., 52: 645?658 

  70. Snelgrove, P.V.R., 1998. The biodiversity of macrofaunal organisms in marine sediments. Biodiversity Conserv., 7: 1123?1132 

  71. Tami, K., 1996. Temporal tolerance of larval Theora fragilis (Bivalvia: Semelidae) to hypoxic conditions. Fish. Sci., 62: 996?997 

  72. Warwick, R.M., 1986. A new method for detecting pollution effects on marine macrobenthic communities. Mar. Biol., 92: 557?562 

  73. Warwick, R.M., 1993. Environmental impact studies on marine communities: pragmatical considerations. Aust. J. Ecol., 18: 63?80 

  74. Warwick, R.M., 2001. Evidence for the effects of metal contamination on the intertidal macrobenthic assemblages of the Fal Estuary. Mar. Pollut. Bull., 42: 145?148 

  75. Watzin M.C. and P.R. Roscigno, 1997. The effects of Zinc contamination on the recruitment and early survival of benthic invertebrates in an estuary. Mar. Pollut. Bull., 34: 443?455 

  76. Whittaker, R.J. (Ed.), 1975. Communities and Ecosystems, 2nd Edition. Macmillan, New York, pp. 1?385 

  77. Wildish, D.J., B.T. Hargrave and G. Pohle, 2001. Cost-effective monitoring of organic enrichment resulting from salmon mariculture. ICES J. Mar. Sci., 58: 469?476 

  78. Yi, S.K., J.S. Hong and J.H. Lee, 1982. A study on the subtidal benthic community in Ulsan Bay, Korea. Bull. KORDI, 4: 17?26 

  79. Yun, S.G. and S.G. Paik, 2001.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around Kadugdo, a south coast of Korea. J. Korean Fish. Soc., 34: 493?5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