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발전소 주변의 저서다모류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Around the Power Plant Areas in the East Sea of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2 no.1, 2017년, pp.18 - 30  

권순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태기반연구센터) ,  이재학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태기반연구센터) ,  유옥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태기반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서퇴적상은 다모류 군집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지만, 다양한 퇴적상을 가지는 온배수 지역에서 저서다모류 서식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동해 연안 저서다모류의 종 조성 및 군집 분포에 따른 공간적 분포 양상을 파악하였고, 이에 영향을 미친 환경요인들을 측정하였으며,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배수와 퇴적상의 차이가 저서다모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서다모류 군집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8월에서 2013년 2월까지 온배수 영향이 있는 울진, 고리 지역과 비교대상 지역인 후포 지역을 포함한 세 지역에서 생물을 채집하였다. 조사결과 총 283종, 평균 4,912개체/$m^2$의 저서다모류가 출현하였다. 주요 우점종으로는 Spiophanes bombyx, Magelona japonica, Lumbrineris longifolia, Sternaspis scutata 등 이었으며, 울진과 후포지역은 S. bombyx, 고리 지역은 M. japonica가 최우점 출현하여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Lumbrineris longifolia와 M. japonica는 일반적인 동해 연안에 많은 수로 우점 서식하지만 조사지역의 발전소 취 배수구 지역에 거의 출현하지 않아 발전소 취 배수구 지역의 인위적인 환경교란이 저서다모류 종 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지역을 종합하여 다모류 군집 분석을 실시 한 결과 퇴적물 내의 총 유기탄소량과 퇴적물의 입도, 퇴적상에 따른 군집으로 나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다모류의 군집구조는 발전소 온배수 및 취 배수구의 인위적인 환경 교란에 의한 영향은 발전소 취 배수구 주변에 국한되며 그 이외의 지역에서는 퇴적물 내의 총 유기탄소량과 퇴적물의 입도 등 지역 간 퇴적상 조성에 보다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ast Sea is almost entirely composed of sandy facies, and the facies type is the major factor influencing 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f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benthic polychaetes in thermal discharge areas consisting of different sediment typ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동해 연안의 다양한 퇴적상을 가진 발전소 취·배수구 주변 해역을 포함한 온배수 영향 해역인 울진과 고리 해역, 온배수 영향이 없는 해역인 후포 해역을 대조구로 조사 지역을 설정하여 저서다모류 종 조성을 통해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다모류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전소 주변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이 온배수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고 있는 이유는? 이는 동해안 대부분 연안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징으로 동해 연안의 저서다모류의 군집 및 분포 특성이 퇴적물의 퇴적상에 의한 차이보다 퇴적상 외의 다른 환경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동해 연안에 위치한 고리와 울진 지역의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주변 수온보다 약 7°C~ 9°C 증가된 온배수로 연간 약 44.6~60.8억 톤 배출한다(해양수산부, 2007). 이로 인해 발전소 주변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온배수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고 있다(Yu et al.
저서동물의 생태계 내에서 역할은? 저서동물은 퇴적물 내의 유기물을 표면으로 운반해주고, 서식 활동으로 인해 퇴적물 내의 영양분을 수층으로 부유시켜 다른 동물들의 먹이가 되게 하는 등 생태계 내의 연결자 역할을 한다(Diaz et al., 2004; Dauvin et al.
저서동물을 주변 환경 변화를 연구하는데 장기적인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 2007). 특히 저서동물은 환경변화에 민감하며, 이동성이 적고, 번식력이 매우 강하여 주변 환경 변화를 연구하는데 장기적인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분류군이 포함된 저서동물을 이용하여 해양환경 변화를 파악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해양수산부, 2007. 해양생태계보전을 위한 온배수 관리방안연구. pp. 24-26. 

  2. 해양수산부, 2015. 해양배출 냉.온배수 실태조사 연구. pp. 78-88. 

  3. Abe, H., G. Kobayashi and W. Sato-Okoshi, 2015. Impacts of the 2011 tsunami on the subtidal polychaete assemblage and the following reclonization in Onagawa Bay, northeastern Japan. Mar. Envrion. Res., 112: 86-95. 

  4. Choi, J.W, J.G. Je, J.H. Lee and H.S. Lim, 2000.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invertebrate on the shallow subtidal sandy bottoms near Kangrung, East coast of Korea. J. Korean Soc. Oceanogr., 5: 346-356. 

  5. Choi, J.W. and C.H. Koh, 1988. The polychaete assemblages of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J. Korean Soc. Oceanogr., 23: 169-183. 

  6. Clarke, K.R. and R.M. Warwick, 2001. Change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es and interpretation. Nat. Environ. Res. Council, U.K. P. 144. 

  7. Dauvin, J.C., T. Ruellet, N. Desroy and A.L. Janson, 2007. The ecological quality status of the bay of Seine and the Seine estuary: use of biotic indices, Mar. Pollut. Bull., 55: 241-257. 

  8. Diaz, R.J., M. Solan and R.M. Valente, 2004. A review of approaches for classifying benthic habitats and evaluating habitat quality, J. Environ. Manage., 73: 165-181. 

  9. Durrett, C.W. and W.D. Pearson, 1975. Drift of macroinvertebrates in a channel carrying heated water from a power plant. Hydrobiologia, 46: 33-43. 

  10.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size parameters. J. Sed. Pet., 267: 3-27. 

  11. Gibbons, J.W. and R.R. Sharits, 1974. Thermal ecology. U.S. Atomic Energy Commission, Springfield, Virginia, p. 670. 

  12. Jung, R.H., S.P. Yoon, Y.J. Kim, M.K. Choi and W.C. Lee, 2011.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polychaete communities and benthic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arbor area of Busan port, Korea. The Sea J. Korean Soc. Oceanogr., 16(3): 125-138. 

  13. Kim, A., J.L. Lee and B.H Choi, 2001. Analysis of wave data and estimation of littoral drifts for the eastern coast of Korea. J. Kor. Soc. Mar. Environ. Eng., 13: 18-34. 

  14. Kim, D.I., I.S. Seo, C.H. Moon, B.M. Choi, R.H. Jung and M.H. Son, 2011.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round Gijang province, East sea of Korea. The Sea J. Korean Soc. Oceanogr., 16(2): 97-105. 

  15. Kim, Y.H., J.K. Ahn, H.D. Yoon and M.A. Jang, 2007. Effects of heated effluents on the intertidal macroalgal community near Gori nuclear power plant. Algae. J. Korean Soc. Phycolog., 22(4): 297-304. 

  16. Lardicci, C., F. Rossi, and F. Maltagliati, 1999. Detection of thermal pollution: Variability of benthic communities at two different spatial scales in an area influenced by a coastal power station. Mar. Pollut. Bull., 38: 296-303. 

  17. Lee, J.H., 1987. Distributional pattern of polychaetes in the benthic community of the Yellow Sea. Bull. Korean Fish. Soc., 20(3): 224-229. 

  18. Lim, H.S. and J.W. Choi, 2001.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Soft Bottom around Sorido Island,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ean Fish. Soc., 34(3): 225-237. 

  19. Lim, H.S., J.G. Je, J.W. Choi and J.H. Lee, 1991.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zoobenthos at Yoja Bay in summer. Ocean Res., 13: 31-46 (in Korean). 

  20. Lim, H.S., J.W. Choi, J.G. Je and J.H. Lee, 1992.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zoobenthos at the farming ground if the western part of Chinhae Bay, Korea. J. Korean Fish. Soc., 25(2): 115-132. 

  21. Lim, H.S., R.J. Diaz, J.S. Hong and L.C. Schaffner, 2006. Hypoxia and benthic community recovery in Korean coastal waters. Mar. Pollut. Bull., 52: 1517-1526. 

  22. Long, B. and Lewis, 1987.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benthic fauna of the north shore of the Gulf of St. Lawrence described by numerical methods of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Mar. Biol., 95: 93-101. 

  23. Macdonald, T.A., B.J. Burd, V.I. Macdonald and A. van Roodselaar, 2010. Taxonomic and feeding guild classificatin for the marine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the strait of Georgia, British Columbia. Can. Tech. Rep. Fish. Aquat. Sci., 2874: 63. 

  24. Nishijima, W., A. Umehara, T. Okuda and S. Nakai, 2015. Variations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in the Seto Inland Sea, Japan, Mar. Pollut. Bull., 92: 90-98. 

  25. Paik, S.G., R.S. Kang, J.O. Jeon, J.H. Lee and S.G. Yun, 2007. Distribution patterns of sandy bottom macrobenthic community on the Hupo coastal area, in the East sea of Korea. Ocean Polar Res., 29(2): 123-134. 

  26. Rhoads, D.C. and D.K. Young, 1970. The influence of deposit-feeding organism on the sediment stability and community trophic structure. J. Mar. Res., 25: 150-178. 

  27. Rhoads, D.C., 1974. Organism-sediment relations on the muddy floor. Oceanogr Mar. Biol. Ann. Rev., 12: 263-300. 

  28. Sanders, H.L., 1958. Benthic studies in Buzzards Bay I Animal sediment relationships. Limnol Oceanog., 3(3): 245-258. 

  29. Seo, I.S., H.T. Moon, B.M. Choi, M.H. Kim, D.I. Kim, J.S. Yun, J.Y. Byun, H.C. Choi and M.H. Son, 2009.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round the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East sea of Korea. Korean J. Envrion. Biol., 27(4): 341-352. 

  30.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na, Univ. of Illinois Press, p. 125. 

  31. Shin, H.C., J.W. Choi and C.H. Koh, 1989. Faunal assemblages of benthic macrofauna in the inter- and subtidal regions of the inner K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J. Oceanogr. Soc. Korea, 24: 184-193. 

  32. Somerfield, P.J., 2008. Identification of the Bray-curtis similarity index: comment on Yoshioka (2008). Mar. Ecol. Prog. Ser., 372: 303-306. 

  33. Teixeira T.P., L.M. Neves and F.G. Araujo, 2009. Effects of a nuclear power plant thermal discharge on habitat complexity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Ilha Grande Bay, Brazil. Mar. Environ. Res. 68: 188-195. 

  34. Warwick, R.M., 1993. Environmental impact studies on marine communities: Pragmatical consideration. Aus. J. Ecol., 18: 63-80. 

  35. Yu, O.H., H.G. Lee, J.H. Lee, K.T. Kim, C.S. Myung, H.T. Moon and J.Y. Byun, 2013. Spatial variation in macrobenthic communities affected by the thermal discharge volumes of a nuclear power plant on the East coast of Korea. Ocean Polar Res., 35(4): 299-312. 

  36. Yu, O.H., S.G. Paik, H.G. Lee and J.H. Lee, 2011.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ies in the coastal area of Uljin and its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Ocean Polar Res., 33(4): 421-4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