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티릴피리딘 곁사슬기를 가지는 용해성 폴리이미드의 합성과 광배향
Synthesis and Photoalignment of Soluble Polyimides with Styrylpyridine Side Group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3 no.3, 2009년, pp.207 - 212  

김진우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김민우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안득균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김우식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광성 폴리이미드전구체 폴리이미드는 2, 2, 2-트리플루오르에탄 디안하이드라이드의 유도체와 3,3'-디히드록시-4,4'-디아미노비페닐로부터 제조하였다. 감광성 폴리이미드(PI-SP6와 PI-SP12)는 전구체 폴리이미드와 감광성 2-스티릴피리딘알킬렌(헥실렌과 도데실렌)유도체로부터 제조하였다. 합성한 광반응성 폴리이미드는 여러 가지 유기 용매에 잘 녹았다.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초기 열분해온도는 $350^{\circ}C$였다. PI-SP6와 PI-SP12의 유리전이온도$130^{\circ}C$$85^{\circ}C$였다. 이는 헥실렌기를 가지는 PI-SP6 보다 도데실렌기를 가지는 PI-SP12가 유연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감광성 고분자의 필름은 $250^{\circ}C$에서도 90%의 투과율을 유지하였다. 이 결과는 이들 감광성 폴리이미드가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라는 것을 의미한다. PI-SP6와 PI-SP12는 $1.5\;J/cm^2$ 광량에서 이색비가 각각 0.01과 0.03이었다. 이 결과는 광배향에 유연한 알킬렌 스페이서를 가지는 감광성 폴리이미드가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을 뜻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cursor polyimide of the photoreactive polyimides(PI-SP6 and PI-SP12) was prepared from a derivative of 2, 2, 2-trifluoroethane dianhydride and 3,3'-dihydroxy-4,4'-diaminobiphenyl. PI-SP6 and PI-SP12 were then prepared by the polymer reactions of the precursor polyimide with photoreactive 2-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용해성 폴리이미드의 광배향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자들은 곁사슬에 감광기로서 2-스티릴피리딘기를 가지는 폴리이미드를 합성하고 이 고분자의 광배향에 관해 연구하였다.6,20 그러나, 폴리이미드의 알킬렌 곁사슬 스페이서의 유연성과 광배 향상과의 관계를 유리전이온도와 함께 검토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알킬렌 스페이서를 달리하는 감광기로서 2-스티릴피리딘 알킬렌(헥실렌 및 도데실렌)유도체를 함유하는 2종류의 새로운 폴리이미드를 합성하였다. 아울러 이들의 열적성질, 투명성 및 광반응성을 조사하였을 뿐만 아니라 광배향에 미치는 알킬렌 곁사슬 스페이서 길이의 효과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 폴리이미드를 합성하였다. 아울러 이들의 열적성질, 투명성 및 광반응성을 조사하였을 뿐만 아니라 광배향에 미치는 알킬렌 곁사슬 스페이서 길이의 효과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T. Kimura, T. Y. Kim, T. Fukuda, and H. Matsuda, Macromol. Chem. Phys., 203, 2344 (2002) 

  2. B. Chae, S. B. Kim, S. W. Lee, S. I. Kim, W. Choi, B. Lee, M. Ree, K. H. Lee, and J. C. Jung, Macromolecules, 35, 10119 (2002) 

  3. S. W. Lee, B. Chae, H. C. Kim, B. Lee, W. Choi, S. B. Kim, T. Chang, and M. Ree, Langmuir, 19, 8735 (2003) 

  4. S. W. Lee, J. Yoon, H. C. Kim, B. Lee, T. Chang, and M. Ree, Macromolecules, 36, 9905 (2003) 

  5. B. Chae, S. W. Lee, B. Lee, W. Choi, S. B. Kim, Y. M. Jung, J. C. Jung, K. H. Lee, and M. Ree, J. Phys. Chem. B, 107, 11911 (2003) 

  6. W. S. Kim, D. K. Ahn, and M. W. Kim, Macromol. Chem. Phys., 205, 1932 (2004) 

  7. H. Kikuchi, J. A. Logan, and D. Y. Yoon, J. Appl. Phys., 79, 6811 (1996) 

  8. S. W. Lee, T. Chang, and M. Ree, Macromol. Rapid Commun., 22, 941 (2001) 

  9. S. I. Kim, M. Ree, T. J. Shin, and J. C. Jung,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7, 2909 (1999) 

  10. M. Schadt, K. Schmitt, V. Kozinkov, and V. Chigrinov, Jpn. J. Appl. Phys., 31, 2115 (1992) 

  11. K. Ichimura, Chem. Rev., 100, 1847 (2000) 

  12. K. Ichimura, Y. Akita, H. Akiyama, K. Kudo, and Y. Hayashi, Macromolecules, 30, 903 (1997) 

  13. N. Kawatsuki, T. Kawakami, M. Hayashi, H. Takatsuka, and T. Yamamoto, Chem. Mater., 12, 1549 (2000) 

  14. J. Choi, J. Lim, and K. Song, Polymer(Korea), 30, 417 (2006) 

  15. M. Schadt, H. Seiberle, and A. Shuster, Nature, 381, 212 (1996) 

  16. M. Obi, S. Morino, and K. Ichimura, Macromol. Rapid Commun., 19, 643 (1998) 

  17. S. Yamaki, M. Nakagawa, and K. Ichimura, Macromol. Chem. Phys., 202, 354 (2001) 

  18. T. A. Chen, A. K. Y. Jen, and Y. Cai, Macromolecules, 29, 535 (1996) 

  19. X. O. Li, Z. Zhong, G. Jin, S. H. Lee, and M. H. Lee, Macromol. Res., 14, 257 (2006) 

  20. M. W. Kim, S. H. Hyun, J. Y. Kong, K. B. Yoon, L. S. Park, and W. S. Kim, J. Ind. Eng. Chem., 12, 267 (2006) 

  21. S. Y. Koo, D. H. Lee, H. J. Choi, and K. Y. Choi, J. Appl. Polym. Sci., 61, 1197 (1996) 

  22. K. Ichimura and N. Oohara, J. Polym. Sci., Polym. Chem. Ed., 25, 3063 (1987) 

  23. O. Mitsunobu, Synthesis, 1 (1981) 

  24. T. Matsuura, Y. Hasuda, S. Nishi, and N. Yamada, Macromolecules, 24, 5001 (1991) 

  25. A. Zhang, X. Li, C. G. Nah, K. Hwang, and M. H. Lee,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41, 22 (2003) 

  26. W. S. Kim, J. W. Lee, Y. W. Kwak, J. K. Lee, Y. T. Park, and S. D. Yoh, Polym. J., 33, 643 (2001) 

  27. G. Kwak, M. W. Kim, D. H. Park, J. Y. Kong, S. H. Hyun, and W. S. Kim,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46, 5371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