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문(素問).맥요정미론(脈要精微論)"의 촌관척(寸關尺) 장부배속(臟腑配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Assignment of Jangbu(臟腑) to Chon.Gwan.Cheok(寸.關.尺) in "Maekyojeongmiron(脈要精微論)"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2 no.1, 2009년, pp.27 - 34  

양광열 (참사랑 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aekyojeongmiron(脈要精微論)", Jangbu(臟腑) is assigned to Chon.Gwan.Cheok(寸關尺) in according to the position. Kidney[腎] is assigned to the backward area of Cheok. Abdominal cavity[腹中] is assigned to the middle area of Cheok. Hypochondrium[季脇] is assigned to the forward area of Cheok. Liver[肝] is assi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에서 內를 脈의 後半部(肘關節側), 外를 脈의 前半部(腕關節側)로 보는 것은 모순점이 있다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다.
  • 이에 『素問·脈要精微論』의 寸關尺 臟腑配屬에 관한 내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 이에 小腸과 大腸의 寸關尺配屬에 대한 여러 醫家들의 학설을 살펴보고 『素問·脈要精微論』의 타당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가설 설정

  • 2. 위 문단에서의 內外는 寸關尺 각각의 부위에서의 前半部와 後半部를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內經』의 맥진법에는 무엇이 있나? 『內經』의 맥진법에는 臟腑經脈遍診法, 三部九候法, 人迎寸口對比法, 獨取寸口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獨取寸口法은 『難經』과 『脈經』을 거치면서 이론이 구체적으로 확립되었고 후세에 가장 보편적인 맥진법으로 자리 잡게 된다.
素問·脈要精微論의 “尺內兩傍則季脅也, 尺外以候腎, 尺裏以候復中. 附上, 左外以候肝, 內以候鬲, 右外以候胃, 內以候脾. 上附上, 右外以候肺, 內以候胸中, 左外以候心, 內以候膻中. 前以候前, 後以候後. 上竟上者, 胸喉中事也. 下竟下者, 少腹腰股膝脛足中事也.”에서 尺의 의미와 內外의 부위에 대해 살펴보고 얻은 결론은 무엇인가? 1. 위 문단은 獨取寸口法에서 臟腑와 신체부위를 각각 寸關尺에 배속시키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그러므로 尺은 尺脈의 의미이다. 이를 尺部診法의 내용으로 보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 2. 위 문단에서의 內外는 寸關尺 각각의 부위에서의 前半部와 後半部를 의미한다. 3. 위 문단은 臟腑와 신체부위를 상하관계에 따라 寸關尺에 배속시켰다. 이에 근거하면 小腸과 大腸은 腹中을 주관하는 尺部에 배속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속방법은 단순하고 직관적이며 임상에서 실제적인 의의를 지닌다.
獨取寸口法의 이론에서 중요한 부분은 무엇인가? 이 중에서 獨取寸口法은 『難經』과 『脈經』을 거치면서 이론이 구체적으로 확립되었고 후세에 가장 보편적인 맥진법으로 자리 잡게 된다. 獨取寸口法의 이론에서 중요한 부분은 寸口만으로 臟腑를 살필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 것과 寸口의 세 부분인 寸關尺에 각각 臟腑를 配屬하는 것이다. 寸口로 臟腑를 살필 수 있다는 것에 대해 『素問∙經脈別論』에서 “氣口는 (길이가) 一寸이 되는데 死生을 결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洪元植 校合編纂.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出版部. 1985. p.25, 42, 59. 66, 86, 176. 

  2. 張介賓. 類經.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7. p.51. 

  3. 馬蒔. 黃帝內經素問注證發微.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8. p.129. 

  4. 楊上善 著. 李克光等 主編. 黃帝內經太素校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5. p.511. 

  5. 丹波元簡. 素問識.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4. p.112. 

  6. 王?. 黃帝內經素問.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63. p.106. 

  7. 樓英. 醫學綱目.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8. p.22, 36. 

  8. 張志聰. 張志聰醫學全書. 素問集注.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p.73. 

  9. 吳謙 等編. 醫宗金鑒.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4. p.890, 891, 908. 

  10. 張琦. 素問釋義. 北京. 科學技術文獻出版社. 1998. pp.55-56. 

  11. 張介賓. 類經.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7. p.52. 

  12. 洪元植 校合編纂. 精校黃帝內經靈樞.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出版部. 1985. pp.82-83. 

  13. 滑壽. 難經本義.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p.31-32. 

  14. 王叔和. 脈經校釋.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4. p.18. 

  15. 李中梓. 醫宗必讀.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7. p.42. 

  16. 張介賓. 景岳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4. p.50. 

  17. 尤在涇. 尤在涇醫學全書.醫學讀書記.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p.34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