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침구갑을경(鍼灸甲乙經)"의 침구문헌적(鍼灸文獻的) 특징(特徵)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f Acupunctur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of "Chimgugapelgyeong(鍼灸甲乙經)"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2 no.1, 2009년, pp.35 - 59  

김정호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 의사학교실) ,  김기욱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 의사학교실) ,  박현국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cupunctur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of the "Chimgugapeulgyeong" can be summarized into 7 parts such as the following. 1. After Imeok(林億)'s revised edition of the "Gapeulgyeong(甲乙經)" was printed during the Song dynasty, there were no reprints during the Southern Song, Geum(金) and Won(元) era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鍼灸甲乙經에 관한 침구문헌적인 특징을 요약하면? 1. 송대 林億 校本인 『甲乙經』이 北宋에서 간행된 후에 南宋, 金, 元시기에 重刊된 것을 볼 수 없고, 현존하는 최초의 간본은 明·萬曆시기 吳勉學이校刊한 ‘醫學六經本’이다. 이 판본은 萬曆 29년(1601)에 吳勉學이 校刊한 『醫統正脈』 叢書 속에 들어갔다. 현존하는 이 책은 대부분 淸代에 重修한 판본이며, 斷板과 缺字가 많아 補板한 것이 많다. 또한 明代에 있었던 ‘藍格抄’本과 ‘六經本’은 같은 저본에서 나온 것이 아니기 때문에 前者의 탈오를 校補할 수 있는 곳이 상당히 많다. 그러나 앞뒤의 체례가 다르고, 〈亂과 殘缺된 곳도 적지 않다. ‘四庫全書本’과 余云岫가 인용한 이른바 ‘嘉靖本’은 서로 부합하여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다. 따라서 『甲乙經』 교감할 경우에는 ‘六經本’을 저본으로 삼고, ‘明抄本’을 주된 校本으로 삼고, ‘四庫本’을 參校本으로 삼아야 한다. 이른바 ‘鈔正統本’은 문제가 상당히 많고 위조한 흔적이 뚜렷하여 『甲乙經』을 교감하는데 근거로 삼아서는 안 된다. 2. 현행본 卷首에 실린 「序3」는 원서에 이미 있었던 것이지 林億이 새로 넣은 것이 아니다. 송대 이전의 의서에서 인용한 『甲乙經』의 문장 체계는대부분 이 「序3」와 서로 부합한다. 宋本 『甲乙經』도 여전히 「序3」와 기본적으로 부합하지만 傳世本은 이 「序3」와 달라 후인 특히 송대 이후 사람들이 삭제하거나 고친 것이다. 3. 전세본 『甲乙經』은 적어도 4중으로 구성되어있다. 즉 皇甫謐이 편집한 原集, 송대 이전 의가들이 補注한 글, 송대 林億의 校注, 송대 이후의 注文이다. 4. 전세본에서 ‘素問曰’, ‘九卷曰’ 등으로 표시한것과 注에 ‘解曰’과 같은 注解性 문자는 원서의 舊文이지 唐宋시기 사람이 증보한 것은 아니다.  5. ‘六經本’에서 雙行 小字注文의 절대다수가 宋人의 注文이다. 6. 전세본에는 脫文, 착간 현상이 심하고 후인이 함부로 고치고 보충한 곳도 적지 않다. 全書의 체례도 원서의 「序3」와는 비교적 큰 차이가 있다. 7. 『甲乙經』 원문을 인용한 의서에는 『千金要方』, 『外臺秘要方』, 『聖濟總錄』, 『鍼灸資生經』, 『幼幼新書』, 『醫學綱目』 등이 있다. 그러나 문헌을 채용한 방식이 크게 달라, 같은 책의 인용문이 다른 시기의 의가가 인용한 것에서 나오고(『千金要方』), 같은 책에서 앞뒤로 인용한 방식이 다르고(『外臺秘要』), 全書의 인용문이 모두 각 의서에서 옮겨서 인용하거나 개편하였고(『鍼灸資生經』), 全書의 인용문을 어떤 책에서 모두 옮겨 인용하였다(『幼幼新書』).
역대 鍼灸腧穴書의 일반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고대 침구문헌을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점은 이들의 일반적인 특징과 시대적인 특징및 유형에 따른 침구문헌의 특징을 잘 알아야 한다. 본초문헌은 각 시대별로 계통적으로 정리하여 대량의 중복을 피하였지만, 역대 鍼灸腧穴書는 대부분 여러 책에서 모아 조합하거나, 혹은 甲穴은 이 책에서 乙穴은 다른 책에서 베끼고, 혹은 수혈 부위, 주 치증, 灸刺法을 인용한 책이 각기 다르고 또한 대부분 출처를 밝히지 않은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中醫圖書聯合目錄에 수록된 鍼灸古籍는 몇 종이 있는가? 침구의학의 기원은 매우 오래 되었고, 지금까지 전해 내려온 침구학에 관한 문헌은 무수히 많다. 新版 『中醫圖書聯合目錄』에 수록된 鍼灸古籍은 중복 되는 것을 제외하곤 모두 약 160여 종1)이고 이 이외에도 수십 종이 더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현존하는 鍼灸古籍의 학술적인 가치는 어떠하며, 신뢰도는 어떠하며, 얼마나 많은 僞書가 있으며, 망실된 침구 문헌과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밝히는 것이 침구문헌 연구와 침구의학사 연구의 전제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黃龍祥 著. 朴炫局, 尹鍾和, 金基郁 共譯. 中國鍼灸學術史大綱. 서울. 법인문화사. 2007. 

  2. 王燾 著. 張登本, 胡國臣 主編. 外臺秘要方唐宋金元名醫全書大成.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6. p.496, 687. 

  3. 陸心源 著. 北京愛如生數字化技術硏究中心編纂. ?宋樓藏書志 中國基本古籍庫. 北京. 黃山書社. 2004. p.443. 

  4. 毛? 著. 北京愛如生數字化技術硏究中心 編纂. 汲古閣珍藏秘本書目 中國基本古籍庫. 北京. 黃山書社. 2004. p.10. 

  5. 楊守敬 著. 北京愛如生數字化技術硏究中心 編纂. 日本訪書志 中國基本古籍庫. 北京. 黃山書社. 2004. p.114. 

  6. 王? 注解. 林億 補注. 孫國中, 方向紅 點校. 重廣補註黃帝內經素問. 北京. 學苑出版社. 2004. p.79, 84, 120, 220, 257, 370, 388, 414. pp.200-201, 325-326, 329-330. 

  7. 黃龍祥 主編. 中國鍼灸史圖鑑. 靑島. 靑島出版社. 2003. 

  8. 王叔和 著. 錢超塵 主編. 脈經 中華經典醫書.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2002. p.539. 

  9. 馬蒔 著. 王洪圖, 李硯靑 点校. 黃帝內經靈樞註證發微. 北京. 科學技術文獻出版社. 2000. p.29. pp.386-387. 

  10. 楊上善 撰注. 王洪圖, 李雲 點校. 黃帝內經太素. 北京. 科學技術 文獻出版社. 2000. p.238, 242, 284, 639. 

  11. 丹波康賴 撰. 王大鵬, 樊友平, 張曉慧 校注. 醫心方.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8. p. 142. 

  12. 黃龍祥 主編. 鍼灸名著集成. 北京. 華夏出版社. 1997. p.146. 

  13. 皇甫謐 撰. 黃龍祥, 嚴康維 校注. 鍼灸甲乙經鍼灸名著集成. 北京. 華夏出版社. 1997. p.143, 146. 

  14. 張煥?, 徐國仟 主編. 鍼灸甲乙經校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6. p.14, 20, 22, 25, 27, 63, 216, 273, 505, 506, 740, 887, 904, 1264, 1269, 1327, 1439, 1441, 1490, 1498, 1722, 1730, 1797, 1815, 1839. pp. 822-825, 1313-1314. 

  15. 趙佶 編. 聖濟總錄.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5. p.3183, 3224. 

  16. 鄧良月, 黃龍祥 主編. 中國鍼灸證治通鑒. 靑島. 靑島出版社. 1994. 

  17. 劉? 撰. 李茂如, 胡天福, 李若鈞 編著. 舊唐書經籍志 歷代史志書目著錄醫籍匯考.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4. p.145. 

  18. 長孫無忌 著. 李茂如, 胡天福, 李若鈞 編著. 隋書經籍志 歷代史志書目著錄醫籍匯考.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4. p.64. 

  19. 叢春雨 主編. 敦煌中醫藥全書.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1994. p.230, 231. 

  20. 孫思邈 撰. 劉更生, 張瑞賢 点敎. 備急 千金要方. 北京. 華夏出版社. 1993. p.3, 160, 162, 163, 186, 203, 211. 

  21. 孫思邈 撰. 劉更生, 張瑞賢 等 交點. 千金方. 北京. 華夏出版社. 1993. p.163. 

  22. 薛淸錄 主編. 中醫圖書聯合目錄.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1991. pp.128-154. 

  23. ?沛然 編審. 嚴世藝 主編. 中國醫籍通考. 上海. 上海中醫藥出版社. 1990. p.1873. 

  24. 馬繼興 著. 中醫文獻學.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0. p.96. 

  25. 景仁文化社 編. 晉書. 서울. 景仁文化社. 1983. pp.1417-1418. 

  26. 秦越人 著. 難經集註.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2. p.79. 

  27. 篠原孝市. 甲乙經總說 東洋醫學善本醫學叢書(第8輯). 東京. 東洋醫學硏究會. 1981. 

  28. 皇甫謐 著, 篠原孝市 編. 古?本鍼灸甲乙經 東洋善本醫學叢書 (第7輯). 東京. 東洋醫學硏究會. 1981. p.3, 49, 50, 56, 58, 60, 64, 66, 70, 72, 74, 113, 221. 

  29. 皇甫謐 著. 篠原孝市 編. 六經本古?本鍼灸甲乙經 東洋善本醫學叢書(第7輯). 東京. 東洋醫學硏究會. 1981. p.72, 146. 

  30. 皇甫謐 著. 吳勉學 校. 六經本鍼灸甲乙經 鍼灸 醫學典籍大系(卷7). 東京. 出版科學總合硏究所. 1978. p.3, 29, 38, 71, 95, 103, 105, 119, 141, 186, 206, 216, 319. pp.105-106. 

  31. 高橋征司, 篠原孝市. 皇甫謐著鍼灸甲乙經解題 鍼灸醫學典籍大系(卷1). 東京. 出版科學總合硏究所. 昭和 53[1978]. p.109. 

  32. 王肯堂彙輯. 鍼灸甲乙經 醫統正脈全書(卷3). 台北. 新文風出版公司印行. 1975. p.표지.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