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소장(心小腸) 표리(表裏) 관계의 임상 적용에 대한 고찰 -소변이상 관련 처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Exterior-Interior Relationship Between the Heart and Small Intestine -Focusing on Prescriptions for Urine Disorders-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33 no.3, 2020년, pp.1 - 19  

안진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exts that deal with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exterior-interior relationship between the Heart and Small Intestine. Methods : Texts that apply the Heart and Small Intestine relationship to treating urine disord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

주제어

표/그림 (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五臟과 六腑의 表裏相合관계는 어디에 많이 서술되어 있는가? 五臟과 六腑의 表裏相合관계는 『黃帝內經』에서 많이 서술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心小腸 관계에 있어서 小便의 생성과 배출을 통하여 心과 小腸의 상합 관계를 설명한 부분은 『黃帝內經』에 많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후대에는 이러한 小便의 생성 및 배출과 관련한 小腸의 泌別淸濁 기능이 心과 연결되어 있다고 하는 관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소변 이상의 병증을 겪는 소변 이상 환자를 보고 치료할 때에 단순히 소변 이상의 병증뿐만이 아니라 함께 면밀하게 살펴야 하는 것은? 따라서 본 논문은 이론과 임상의 연결, 임상 응용의 확대 등의 측면에서 기여할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임상에서 소변 이상 환자를 보고 치료할 때에 心小腸 表裏 관계를염두하여 心煩, 不眠, 七情,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인 면도 면밀히 살펴야 치료가 가능해질 것이다.
과민성 방광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心小腸 表裏 관계를 소변이상 관련 처방을 중심으로 임상에 적용한 문헌을 살펴보았는데, 이를 현대적 양방 병명과 연관지어 생각해보면 양방병명 중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이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과민성 방광은 방광이 과도하게 민감해져서 소변이 조금만 차도 요의를 느끼는 질환으로 소변을 참기 어려워 즉시 화장실을 가야하고 하루 8회 이상 소변을 보는 등 小便頻數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현대 의학적 원인 및 기전이 아직까지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고, 양방 치료의 한계가 인정되고 있어 한의학적인 임상접근이 필요한데63), 心小腸의 表裏 관계를 소변이상에 적용하여 치료한 導赤散 계통의 처방이 유효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郭宗耀, 劉芸, 高玉萍, 彭嶺, 張秋雁, 李傑. 心與小腸相表裏理論的源流與發展. 中醫雜志. 2017. 58(2). 

  2. 金鍾鉉. 濟泌別汁과 分別淸濁에 대한 比較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8. 31(1). 

  3. 唐容川 著. 血證論.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77. 

  4. 柳姃我, 張祐彰, 丁彰炫. 水穀의 人體內 代謝過程 설명모델.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8. 21(1). 

  5. 李景榮 等 校釋. 備急千金要方校釋.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7. 

  6. 李尙仁 외 4人 編譯. 方劑學. 서울. 永林社. 1990. 

  7. 李暎鍾, 尹暢烈. 歸經論 硏究. 대한한의학회지. 1989. 10(1). 

  8. 李云海, 劉建忠, 張雪榮, 林連美. 五臟六腑與小便異常. 新中醫. 2013. 45(11). 

  9. 李? 著. 東醫文獻硏究室再編輯. 標點索引編註醫學入門. 서울. 法仁文化社. 2006. 

  10. 馬維騏. 心火下移小腸說質疑. 成都中醫藥大學學報. 1995. 18(3). 

  11. 方賢 輯. 太醫院奇效良方上冊. 臺北. 旋風出版社. 1972. 

  12. 白裕相, 丁赫相, 金度勳. 膀胱의 上下口 有無논쟁에 대한 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7. 30(2). 

  13. 白裕相. 小兒藥證直訣의 五臟辨證에 대한 小考 -병증과 처방을 중심으로-.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1. 24(6). 

  14. 商務印書館 編. 普濟方(欽定四庫全書 子部醫家類 16). 서울. 대성문화사. 1995. 

  15. 商務印書館 編. 玉機微義(欽定四庫全書 子部醫家類 30). 서울. 대성문화사. 1995. 

  16. 巢元方 等 著. 諸病源候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2. 

  17. 孫思邈 著. 李景榮等 校釋. 備急千金要方校釋.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7. 

  18. 楊柳, 嚴世芸. 歷代心與小腸藏象辨證論治理論發展沿革. 中華中醫藥學刊. 2016. 34(3). 

  19. 吳謙 原著. 東醫文獻硏究室 再編輯. 標點.索引 御纂醫宗金鑑. 서울. 法仁文化社. 2006. 

  20. 王燾 撰. 外臺秘要.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6. 

  21. 張介賓 著. 全國韓醫科大學原典學敎室 編. 改訂版懸吐註釋類經. 서울. 法仁文化社. 2017. 

  22. 全國韓醫科大學 原典學敎室 編. 難經. 서울. 法仁文化社. 2010. 

  23. 曹炳章 編. 醫醇?義(中國醫學大成續集 29).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2000. 

  24. 曹孝忠 等 編纂. 焦惠 重校. 聖濟總錄 上. 臺北. 新文?出版公司. 1978. 

  25. 陣士鐸 著. 辨證錄.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9. 

  26. 최동현. 三焦와 元氣, 津液에 대한 고찰.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27. 최민선, 김동일. 여성 과민성 방광의 한방 임상에 관한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4. 27(2). 

  28. 許浚 著. 東醫文獻硏究室 譯. 新增補對譯 東醫寶鑑. 서울. 法仁文化社. 2012. 

  29. 허준, 최승훈, 안규석. 진액대사의 관점에서 본 소변의 병리에 관한 문헌적 고찰. 경희한의대논문집. 1989. 12(1). 

  30. 胡冬裴. 心移熱于小腸之我見. 陝西中醫. 2006. 27(4). 

  31. 洪元植 編纂.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東洋醫學硏究院出版部. 1985. 

  32. 洪元植 編纂. 精校黃帝內經靈樞. 서울. 東洋醫學硏究院出版部. 1985. 

  33. 滑伯仁 著. 承澹? 校注. 校注十四經發揮. 上海. 科技衛生出版社. 19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