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electroacupuncture therapy in obese Korean women in order to make basic guidelines for the use of oriental medicine in treating obesity. Methods: Forty wom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ach was treated 12 times: 1) one group was treated using electroa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치료 방법이 한방치료의 대표성을 띄지는 않지만, 현재 많이 사용되는 병행치료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서 한방 비만치료의 체중감량 목표 설정에 있서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한 논문이다. 대조군의 설정이 있지 않았고, 치료법에 대한 대상자에 대한 맹검도 실시하지 못하였지만, 비교적 균일한 방법으로 객관적인 측정방법을 통하여 그 변화 추이를 살펴서 그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좀더 근거 중심적이고 객관화된 여성 비만에 대한 한방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따라서 저주파 전침을 시술한 부위에서 세부적인 자침 부위는 환자의 지방 분포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시술하였다. 이 치료 방법이 한방치료의 대표성을 띄지는 않지만, 현재 많이 사용되는 병행치료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서 한방 비만치료의 체중감량 목표 설정에 있서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한 논문이다. 대조군의 설정이 있지 않았고, 치료법에 대한 대상자에 대한 맹검도 실시하지 못하였지만, 비교적 균일한 방법으로 객관적인 측정방법을 통하여 그 변화 추이를 살펴서 그 결과를 보고하였다.
  • 현재 한방 비만에 관한 진료 지침에 대해서 살펴보면, 한방비만학회지의 논문집, 한방여성의학27), 한방재활의학28)에서 비만치료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은 언급되고 있지만, 세부적으로 체중감량의 단기, 장기 목표와 한방적 치료를 진행하면서 치료 시술 횟수에 따른 체중변화의 경과에 대한 기술은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여러 논문에서 체중감량 효과를 보인 저주파 전침 위주의 치료프로그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체중감량 효과, 연령 및 비만도에 따른 체중감량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 이 쓴 논문은 의해 체중 및 사이즈 감량과 간기능 개선의 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 이에 이 치료 프로그램을 받은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그 특성을 비교하여 저주파 전침이 기본이 되는 한방비만 치료의 기본적인 감량효과, 감량 속도 및 연관인자와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여 한방 비만치료의 기초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최근 비만은 인류의 삶과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21세기의 주요 역병’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반적인 신체활동량은 줄고, 고칼로리의 다양한 음식의 섭취로 인하여 비만인구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1999년 NHANES Ⅲ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에 따르면 미국 전체 인구의 61%가 과체중 비만에 속한다1).
저주파 전침이란? 한의원에서도 기본적인 영양치료, 운동치료및 상담치료에서 공통적이지만, 한약을 사용하는 점과 비약물적 방법에서 이침과 저주파 전침을 사용하는 점이 큰 차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저주파 전침은 침을 이용한 치료방법으로 특별한 부작용이 없으며 비교적 유효한 효과를 얻을수 있어서 한방 비만치료에 있어서 대표적인 치료방법이다.
비만 치료프로그램에 따른 체중감량 효과, 체중 감량 경향 비교에 대해서 무엇을 사용하였는가? 05미만으로 하였다. 치료 프로그램에 따른 체중감량 효과, 체중 감량 경향 비교에 대해서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연령, 비만도와 체중감량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erson's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박용우. 2005 비만치료의 최신지견. 서울: 한미의학. 2004; 20-31. 

  2. Scedell JC,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diabetes-a worldwide epidemic. Br J Nutr. 2000;86:S5-S8. 

  3. 질병관리본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3기 조사결과 심층분석 연구 보고서: 검진부문, http://knhanes.cdc.go.kr/result/Result 

  4. 황덕상, 조정훈, 이진무, 이창훈, 장준복, 이경섭. 여성과 관련된 비만요인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방비만학회지. 2007;7(1):31-38. 

  5. 박용우. 개원가에서 비만클리닉의 운영. 대한비만학회 제 15차 연수강좌자료집. 2007;175-180. 

  6. 정선희 등. 肥滿患者의 電針治療 臨床例. 대한침구학회지. 1999;16(3):39-56. 

  7. 장영주, 조정훈, 송병재. 태음조위탕 (太陰調胃湯)과 전기침(電氣鍼) 병행 치료의 비만에 대한 효과. 한방비만학회지. 2001;1(1):77-84. 

  8. 김길수, 김선민. 체감의이인탕 복용과전침시술이 체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2;2(1):13-23. 

  9. 한지영 등. LIPODREN 및 이침을 이용한 과체중 및 비만 치료에서 식사일지작성과 병원운동치료의 임상적 유용성 고찰. 한방비만학회지. 2004;4(1):213-219. 

  10. 황덕상 등. 저주파 전침자극이 허벅지 둘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방비만학회지. 2005;5(1):1-8. 

  11. 이윤재 등. 내장형 고도비만 환자에 대한 한방 체형관리 프로그램의 치료 증례보고. 한방비만학회지. 2007;7(1):97-106. 

  12. 허자경 등. 한방비만 치료 후 간기능 개선을 보인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1례 보고. 한방비만학회지. 2007;7(2):85-94. 

  13. 비만연구의사회. 최신 비만학. 서울: 대한의학서적. 2005;3-13. 

  14. Brownell KD. Obesity:understanding and treating a serious prevalent and refractory disorder. J Consult Clin Psychol. 1982;50:820-840. 

  15. Leonhardt MB et al. New approaches in the parmacological teatment of obesity. Eur J Nutr. 1999;38:1-13. 

  16. Cabioglu MT, Ergene N. Electroacupuncture therapy for weight loss reduces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LDL cholesterol levels in obese women. Am J Clin Med. 2005;33(4):555-533. 

  17. Richard D, Marley J. Stimulation arucular acupuncture points in weight loss. Aust Fam Phys. 1998;27:73-77. 

  18. Han Z et al. Endomorphin-1 mediates 2㎐ but not 100㎐ electroacupuncture 

  19. Mehmet TC, Neyhan E, Uner T. The mechanism of acupuncture and clinical application. Inten J Neuroscience. 2006;116:115-125. 

  20. Vetter RC. et al. Liploytic effect of beta-endorlphin in human fat cells. Life Sci. 1993;52:657-661. 

  21. Shiraishi TM. et al. Effects of auricular stimulation on feeding-related hypothalamic neuronal activity in normal and obese rats. Brain Res Bull. 1995;36: 

  22. Koskenniemi, Timo. Effect of ear acupuncture for obesity. Acupuncture & electro-therapeutics research, 1985;10(3):231-239. 

  23. Soong YS. The treatment of exogenous obesity employing auricular acupuncture. Am J Chin Med. 1975;285-287. 

  24. Mehmet TC, Nimet G. Neyhan E. The effeicacy of electroacupuncture therapy for weight loss changes plasma lipoproetin A apolipoprotein A and apolipoprotein B levels in obese women. Am J Chin Med. 2008;36(6)1029-1039. 

  25. Qunli W, Zhicheng L. Acupuncture treatment of simple obesity. J Tradit Chin Med. 2005;25(2):90-94. 

  26. NCBI. Obesity Guideline. http://www.nhlbi.nih.gov/guidelines/obesity/index.htm assessed on November 27, 2007. 

  27.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 I. 서울: 정담. 2007;438-452. 

  28.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5;384-396. 

  29. Huang MH, Yang RC, HU SH. Preliminary results of triple therapy for obes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6;80:830-836. 

  30. Cho SH et al. Acupuncture for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31. Cabioglu MT, Ergene N. Changes in serum leptin and beta endorphin levels 

  32. 조유정 등. 한국 비만 및 과체중 여성에서 내장지방과 신체활동 사이의 연관성. 한방비만학회지. 2008;8(2): 49-62. 

  33. Hsu CH et al.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in reducing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in obese women: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05;29:1379-1384. 

  34. Lacy JM, Tershakovec AM, Foster GD.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 review of the evid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03;27:419-4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