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약합편(方藥合編) 상통(上統) 처방(處方)에 대한 방제학적(方劑學的) 고찰(考察)
A Study of 123 prescriptions in high-chepter from Bang-Yak-Hap-Pyun (Mainly Basic-prescriptions)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17 no.1, 2009년, pp.1 - 16  

이상현 (홍익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port describes the studies as follows through the research of Basic-prescriptions about 123 prescriptions in high-chepter(上統) from Bang-Yak-Hap-Pyun(方藥合編). There are 24 Basic-prescriptions including Sagunja-tang(四君子湯), Samul-tang(四物湯), Sogeonjung-tang(小建中湯), lijung-tang(理中湯), Dangguibohyul-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著者는 《方藥合編》 上統 123方에 대하여 基本方을 중심으로 한 處方分析을 시도하였으며, 處方 引用文獻에 대한 出典 조사를 통하여 역사성과 시대적 배경을 조사하여 몇가지 方劑學的 見地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基本方이란 基本方이란 韓醫學的 原理에 입각한 최소단위의 處方으로 예를들면, 補氣에는 四君子湯, 補血에는 四物湯, 補精에는 六味地黃湯, 祛痰에는 二陳湯 등 韓方 生理, 病理 및 病症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최소단위의 基本處方을 말한다. 임상적으로 활용되는 복잡한 처방도 基本方을 중심으로 분석해보면 몇가지 기본방의 合方이거나 加味方임을 알수 있다.
기본방을 중심으로 處方分析이 가능해지면 그 處方에 대한 生理的, 病理的 배경이 파악되며 病症에 대한 理, 法, 方이 합치된 분석이 가능해져서 근거중심의학(EBM, Evidence Based Medicine)의 토대를 확립하는 중요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 이유는? 基本方이란 韓醫學的 原理에 입각한 최소단위의 處方으로 예를들면, 補氣에는 四君子湯, 補血에는 四物湯, 補精에는 六味地黃湯, 祛痰에는 二陳湯 등 韓方 生理, 病理 및 病症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최소단위의 基本處方을 말한다. 임상적으로 활용되는 복잡한 처방도 基本方을 중심으로 분석해보면 몇가지 기본방의 合方이거나 加味方임을 알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방을 중심으로 處方分析이 가능해지면 그 處方에 대한 生理的, 病理的 배경이 파악되며 病症에 대한 理, 法, 方이 합치된 분석이 가능해져서 근거중심의학(EBM, Evidence Based Medicine)의 토대를 확립하는 중요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으며, 韓醫學 理論의 客觀化, 標準化 및 임상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충분한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6,7).
基本方은 무엇인가? 基本方이라 함은 韓醫學的 根本原理에 입각한 최소단위의 處方으로, 補氣에는 四君子湯, 補血에는 四物湯, 補精에는 六味地黃湯, 祛痰飮에는 二陳湯 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韓方 生理, 病理 및 病症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최소단위의 基本處方을 말한다. 이러한 기본 단위의 처방은 약 100여개 정도로 볼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黃度淵. 增脈.方藥合編. 서울:남산당. 1983:67-117, 119-251. 

  2. 申載鏞. 方藥合編解說. 서울:성보사. 1991:2-6, 21-92. 

  3. 동의학연구소. 새로보는 방약합편. 서울: 200:8-11, 50-255. 

  4. 許浚. 對譯東醫寶鑑. 서울:법인문화사. 1998:131, 133, 168, 190, 230, 290, 364, 411, 436, 438, 443, 458, 471, 493, 499, 578, 663, 703, 711, 781, 789, 814, 844, 957, 958, 962, 963, 968, 972, 1009, 1013, 1014, 1064, 1077, 1078, 1082, 1087, 1088, 1115-7, 1134, 1142-5, 1148, 1152, 1158, 1159, 1173, 1175-1177, 1179-1182, 1185, 1187, 1188, 1212, 1306, 1369, 1426, 1440, 1588, 1589, 1596, 1599, 1600, 1603, 1606, 1617, 1631, 1635, 1638-40, 1683, 1733. 

  5. 黃度淵. 醫宗損益. 서울:驪江出版社. 1998:상권 51, 71, 164, 166, 181, 245, 246, 312, 394, 하권 14, 69, 71, 96, 106, 157, 158, 177, 254, 255, 267. 

  6. 尹用甲. 신동의방제2223. 서울:정담. 2006:56, 231, 237, 296, 413, 478, 534, 567, 633, 704, 791, 871, 906, 910, 913, 1077, 1178, 1275, 1577, 1602, 1697, 1793, 1851, 1910, 1947, 2049, 2054, 2268, 2335, 2471. 

  7. 尹用甲. 東醫方劑와 處方解說. 서울:醫聖堂. 2002:15, 60, 108, 170, 173, 178, 199, 205, 226, 256, 277-9, 284, 299, 317, 324, 329, 341, 343, 408, 473, 493, 551, 563, 613, 816, 817, 852, 853. 

  8. 康舜洙. 바른방제학. 서울:醫聖堂. 1996:92, 116, 238, 242, 250. 

  9. 李尙仁 外. 方劑學. 서울:永林社. 1992:96, 172, 173, 182, 298, 304. 

  10. 康舜洙 外. 방제학. 서울:계축문화사. 1984:35, 37, 38, 41, 46, 54, 115, 119, 121. 

  11. 康命吉. 濟衆新編. 서울:행림서원. 1971:4-38. 

  12. 李?. 編註醫學入門. 서울:대성문화사. 1984:外集1卷 256, 外集2卷 269, 380, 382, 383, 385, 388, 外集3卷 301, 320, 326, 479, 480, 490, 498. 

  13. ?延賢. 國譯萬病回春. 서울:계축문화사. 1997:상권 113, 119, 189, 204, 209, 217, 278, 284, 288, 371, 440, 하권 126, 213. 

  14. 張仲景. 國譯景岳全書. 서울:一中社. 6권 16, 25-8, 32, 34, 74, 78, 80-4, 88, 102, 110. 

  15. 오병건 외. 方藥合編 中 에 관한 板本學的 考察. 韓國醫史學會誌. 2007;20(2):169-236. 

  16. 이선아 외. 黃度淵의 方藥合編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의학지. 2001;Vol(1):101-9. 

  17. 금형태 외. 方藥合編에 대한 연구. 大韓原典醫史學會誌. 1991;5:151-99. 

  18. 박선동. 方藥合編에서 나타난 轉寫過程에 따른 問題點分析(1).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1997;5(1):33-49. 

  19. 박선동, 方藥合編에서 나타난 轉寫過程에 따른 問題點分析(2).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1998;6(1):63-85. 

  20. 곽금화 외. 方藥合編 中統의 婦人科處方에 대한 轉寫過程 考察 및 婦人科 關聯 書籍과의 비교연구.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1;14(2):170-94 

  21. 곽금화 외. 方藥合編 下統 婦人科 關聯 處方에 對한 轉寫過程 考察 및 婦人科 關聯 書籍과의 비교 연구.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2;15(1):44-60. 

  22. 최근조. 證脈方藥合編 . 活套針線. 虛勞門에 나타난 心虛 처방에 대한 연구. 大田大學校韓 醫學硏究所論文集. 2007;16(2):109-19. 

  23. 이중휘. 方藥合編에 收錄된 痺證處方에 對한 硏究. 대전대학교論文集. 2001;10(1):375-83. 

  24. 마진열 외. Vibrio parahemolyticus에 대한 한방처방 '方藥合編' 및 그 단미제의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0;5(1):59-72. 

  25. 박종찬 외. 方藥合編 中 蒼朮이 配伍된 方劑의 活用에 대한 考察.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2003;11(2):41-60. 

  26. 황상준 외. 桃仁 및 紅花를 포함하는 方藥合編處方에 대한 考察. 대전대학교論文集. 2004;13(1):311-20. 

  27. 송인선. 附子를 包含하는 方藥合編處方에 대한 考察. 대전대학교 論文集. 2001;10(1):323-36. 

  28. 강성용 외. 方藥合編에 收錄된 藥物의 頻度調査. 원광한의학. 1991;1(1):19-31. 

  29. 박선동. 方藥合編에 있어서의 修治의 種類와 이와 關聯된 藥物 및 處方에 關한 文獻的 考察. 大韓本草學會誌. 1991;5(1):145-72. 

  30. 금상찬. 黃芩 片芩 및 條芩의 處方例에 關한 文獻的 考察 -方藥合編의 上中下統 處方을 中心으로. 東西醫學. 1998;23(4):78-100. 

  31. 고연석. 方藥合編에 사용된 약물의 독성에 관한 문헌적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5):1120-8. 

  32. 이주호 외. 方藥合編 中 羌活 및 獨活을 포함하는 處方에 대한 考察. 大田大學校 韓醫 學硏究所 論文集. 2005;14(1):167-77. 

  33. 한주원 외. 方藥合編 中 牛膝 및 續斷을 포함 하는 處方에 대한 考察.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論文集. 2005;14(1):179-86. 

  34. 배재현 외. 方藥合編 中 生薑 및 大棗를 포함한 處方에 대한 考察.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論文集. 2006;15(2):211-30. 

  35. 신홍중 외. 方藥合編 中 遠志 및 石菖蒲를 포함한 處方에 대한 考察.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論文集. 2006;Vol(2):231-8. 

  36. 한영수 외. 方藥合編 中 大黃 및 梔子를 포함하는 處方에 대한 考察.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論文集. 2006;15(2)247-61. 

  37. 최재영 외. 方藥合編 處中 鹿茸을 포함하는 處方에 대한 考察 大田大學校韓醫學硏究所論文集. 2006;15(1)161-7. 

  38. 임영환. 生薑 三片과 大棗 二枚의 사용에 대한 考察 (方藥合編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6;14(1):1-10. 

  39. 윤용갑. 方藥合篇에 收錄된 處方의 主治別 系統分類와 引用文獻에 對한 考察.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1990;1(1):28-60. 

  40. 강혜영. 處方命名에 대한 小考-方樂合編의 醫方活套를 中心으로.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1990;1(1):61-71. 

  41. 조대연 외. 方藥合編 中 婦人科에 관련된 方劑의 활용에 대한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6):1543-7. 

  42. 박민철 외. 方藥合編 皮膚外科 處方에 대한 分析. 大韓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2003;16(1):42-62. 

  43. 염현식 외. 方藥合編 下統 方劑의 病症 및 病理 活用에 대한 考察.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2003;11(1):45-5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