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 중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의 임상응용(臨床應用) 연구(硏究) - 문헌고찰 및 활용성을 중심으로 -
Literature Study on Bojoongikgitang and Clinical Application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17 no.1, 2009년, pp.45 - 59  

유승열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  임영환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  국윤범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beef up natural immunity, we have used Bojoongikgitang which has been known to treat enervation in the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is analyzed out structure material and the chief virtue of a prescription through Literature Study on Bojoongikgitang and Clinical Application. And this study i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임상가에서 가장 빈용하는 책인 『東醫寶鑑』에 나오는 補中益氣湯 本方만을 사용하여 補中益氣湯의 必然之症을 찾고자 했으며, 補中益氣湯 加味方을 사용한 환자는 제외하였다. 그리고 각 환자에 해당하는 『東醫寶鑑』의 내용을 기록하였다.
  • 등의 論文이 있지만, 補中益氣湯의 文獻的 考察이나 이에 대한 임상적용에 대한 論文은 없었다. 본 論文에서는 補氣劑의 대표적인 補中益氣湯을 文獻的 考察해 보고, 補中益氣湯을 복용한 56명의 臨床例를 통하여 정확한 적응증을 연구하여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補中益氣湯의 구성은? D. 1232년 李東垣의『東垣十種醫書』2)에서 처음 기록된 處方으로, 黃芪⋅人蔘⋅白朮⋅甘草⋅當歸身⋅陳皮⋅升麻⋅柴胡로 구성되어 있다. 中焦를 補하고 氣運을 補强해 주는 대표적인 處方으로 勞役이 太甚하고 혹은 飮食의 調節을 잃어서 몸이 煩熱하고 自汗하고 倦怠 한 症을 다스리며3) 그 후『醫學入門』,『景岳全書』,『醫宗金鑑』,『東醫寶鑑』,『方藥合編』등주요한 의서에서 계속해서 사용되어 왔다.
補中益氣湯에 대한 硏究로 어떤 연구가 있었는가? 최근까지 補中益氣湯에 대한 硏究로는 補中益氣湯 및 그 가미방을 투여한 중풍患者에 대한 임상적 고찰5), 補中益氣湯 다당체 분획의 대식세포 분화 유도 및 기능 증진 효과6), 補中益氣湯이 알레르기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7), 補中益氣湯 및 補中益氣湯 가미방이 흰 쥐의 알레 르기 천식에 미치는 영향8), 補中益氣湯의 T세포 증식 유도 효과9), 補中益氣湯의 B세포 분화 유도 효과10), 補中益氣湯이 생쥐의 특이적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11) 등의 論文이 있지만, 補中益氣湯의文獻的 考察이나 이에 대한 임상적용에 대한 論文 은 없었다. 본 論文에서는 補氣劑의 대표적인 補中益氣湯을 文獻的 考察해 보고, 補中益氣湯을 복용한 56명의 臨床例를 통하여 정확한 적응증을 연구하여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補中益氣湯의 文獻的 考察과 臨床例를 통한 연구 결과는? 1. 補中益氣湯의 각 藥材의 분량은 黃芪 一錢半, 人蔘 白朮 甘草 各一錢, 陳皮 當歸 各五分, 升麻 柴胡 各三分이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난다. 2. 補中益氣湯의 必然之症은 面白, 目無精光, 少氣, 嗜臥, 懶言이었다. 3. 補中益氣湯의 必然之症 이외의 主治症을 종류별로 나누어 그에 대한 더 나은 處方을 찾으면 다음과 같다. 身熱, 表熱, 微熱에 補中益氣湯 加 白芍藥 黃柏 이, 自汗, 陽虛自汗에 補中益氣湯 加 麻黃根 浮小麥 附子가, 脈洪大而虛, 脈散大無力, 脈洪大에補中益氣湯 加 白芍藥 黃柏이, 心煩, 心煩不安 에 補中益氣湯 入心養血方이, 頭痛에 順氣和中湯이, 惡寒에 陶氏補中益氣湯이, 口渴에 補中益氣湯 合 生脈散이, 氣高而喘, 喘에 單人蔘湯이나 調中益氣湯이, 食少, 惡食, 飮食無味에 異功散이, 不能攝血, 血脫에 益胃升陽湯이 適方이다. 4. 補中益氣湯은 器質的인 病보다는 機能的인 病 에 더 적합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www.hani.co.kr/section-005100031/2004/08/00510 0031200408171601404.html [덜 먹어야 잘산다] 유태우 교수의 웰빙 뒤집어보기 

  2. 李東垣. 東垣十種醫書. 서울:大星文化社, 1994:38. 

  3. 許浚. 國譯增補 東醫寶鑑. 서울:南山堂. 1995:646, 618, 90, 646, 595, 233, 726, 136, 150, 32, 17, 644, 758. 

  4. 王平. 中醫十大名方妙用 補中益氣湯. 北京:中國中醫藥出版社. 2004:30-36, 43, 48, 51, 55, 59, 66, 70, 71, 72, 74, 98, 99, 101, 109, 111, 113, 118, 121. 

  5. 최인선. 보중익기탕 및 그 가미방을 투여한 중풍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부산:동의대 대학원. 2004. 

  6. 강혜인.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다당체 분획의 대식세포 분화 유도 및 기능 증진 효과. 순천:순천대 대학원. 2005. 

  7. 강대성, 감철우, 박동일. 보중익기탕이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부산: 동의대 대학원, 2003. 

  8. 이승룡. 補中益氣湯 및 補中益氣湯 加味方이 흰쥐의 알레르기 천식에 미치는 영향. 부산:동의대학교, 1999. 

  9. 채수연, 신성해, 하미혜, 조성기, 김성호, 변명우, 이성태.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의 T세포 증식 유도 효과. 순천:순천대학교. 2004. 

  10. 채수연, 신성해, 하미혜, 조성기, 김성호, 변명우, 이성태.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의 B세포 분화 유도 효과. 순천:순천대학교. 2004. 

  11. 은재순, 최훈, 송정모. 補中益氣湯이 생쥐의 특이적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전주:우석대학교. 2002. 

  12. 張介賓. 國譯 景岳全書. 서울:一中社. 1992:4권 147. 

  13. 朱震亨. 新編 丹溪心法附餘. 서울:大星文化社. 1993:상권 149. 

  14. 陣夢雷, 蔣廷錫. 醫部全錄. 서울:大星文化社. 1992:6권 93. 

  15. 李?. 國譯 編註 醫學入門. 서울:南山堂. 1991:3권 487. 

  16. 黃度淵. 對譯 證脈. 方藥合編. 서울:南山堂. 1992:142. 

  17. 吳謙 外. 醫宗金鑑. 서울:大星文化社. 1994:中卷 57. 

  18. 蔡仁植, 孟華燮. 國譯醫方集解. 서울:大星文化社. 1992:235. 

  19. ?廷賢. 萬病回春. 서울:癸丑文化社. 1977:122. 

  20. 丁茶山. 丁茶山小兒科秘方. 서울:杏林出版社. 1974:55. 

  21. 程國彭. 醫學心悟. 서울:경희대 50기 졸준위, 2002:309. 

  22. 虞搏. 醫學正傳. 서울: 成輔社, 1986: 63. 

  23. 상지대학교 한의과 제4기 졸업준비위원회. 國譯血證論. 서울:一中社, 1997:268. 

  24.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제2기 졸업준비위원회. 國譯傅靑主男女科葉天士女科. 서울:大星文化社, 1995:135. 

  25. 安昶中. 古今實驗方. 서울:杏林書院. 1954:102. 

  26. 盧永範. 腹診과 正統方劑學. 서울:대성의학사. 2005:83. 

  27.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제3기 졸업준비위원회. 國譯 筆花醫鏡. 서울:鼎談. 1996:51. 

  28. 武之望. 濟陰綱目. 서울:一中社. 1992:129. 

  29. 楊蘊祥. 古今各方. 河南省:河南科學技術出版社, 1983:122. 

  30. 大韓形象醫學會. 芝山形象醫案. 서울:芝山出版社. 2003:751. 

  31. 蔡仁植, 孟華燮. 國譯醫方集解. 서울:大星文化社, 1992:236-7. 

  32. 廣州醫學院主編. 方劑學. 서울:永林社. 1994:169. 

  33. 東醫科學院. 東醫處方大全. 서울:驪江出版社, 1993:1권 71. 

  34. 王平. 中醫十大名方妙用 補中益氣湯. 北京:中國中醫藥出版社. 2004: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