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음인(少陰人)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으로 호전된 요실금(尿失禁) 환자 치험 1례
A Case study of Urinary Disturbance Treated with Soeumin's Bojungikgi-tang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25 no.4, 2013년, pp.396 - 405  

오진아 (세명대학교충주한방병원 사상체질과) ,  신미란 (세명대학교충주한방병원 사상체질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eumin's Bojungikgi-tang, which is based o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for the patient who has suffered from Urinary Disturbance. Methods A 29 year-old woman who suffered from Urinary Disturbance but had no significant or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여성요도증후군으로 보이는 小便頻數, 尿失禁을 주소로 하는 젊은 少陰人 여자 환자를 腎受熱表熱病으로 진단하여 少陰人 補中益氣湯과 八物君子湯으로 치료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뇨 장애의 대표적인 증상은? 배뇨 장애는 환자의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악영향을 미치는 현대 사회인의 주요한 질환 중 하나로 그 중 대표적인 증상은 頻尿와 排尿痛, 尿失禁이라 할 수 있다. 요로감염이나 요로폐색 등의 기질적 병변이나 신경학적 질환 없이 頻尿, 夜尿, 急尿 등의 자극 증상 등의 배뇨 증상을 지속적으로 호소하는 환자들을 임상에서 흔히 대할 수 있다.
여성요도 증후군이란? 여성요도 증후군은 비뇨생식기의 기질적 질환, 특히 요로감염의 증거 없이 排尿痛, 頻尿, 尿路切迫感 恥骨上部疼痛, 排尿困難 등을 호소하는 증후 군으로 Gallagher 등은 외래에 요로감염증세로 내원하는 여성 환자의 40% 이상에서 요검사상 세균이 검출되지 않는다고 하였다2. 頻尿, 尿切迫感, 排尿痛, 배뇨 후 충만감 등 그 증상이 급성 방광염과 유사하여 대부분의 여성요도증후군 환자들이 증상 초기에 항생제 치료를 받은 적이 있으며, 대개 항생제 치료에 1-2일 반응하는 듯 보이다가 치료가 종료되면 증상이 재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
증상에 대한 일시적인 치료 뿐 아니라 보다 차원 높은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에 개인 뿐 아니라 사회, 국가적인 차원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이유는? 현대 사회에서의 건강증진의 개념은 단순한 생명 연장의 의미를 넘어서 평생 동안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질적인 삶의 증진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따라서 증상에 대한 일시적인 치료 뿐 아니라 보다 차원 높은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에 개인 뿐 아니라 사회, 국가적인 차원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eon MJ, Bai SW, Kim SK. Current opinion of the treatment of female voiding dysfuncti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8;51(3):275-285. (Korean) 

  2. The Korean Urological Association members for editing. Urology. Seoul : Korea medicine book publisher. 2001: 153-154, 198-199, 472-473 (Korean) 

  3. Korean continence society members of editing. Textbook of voiding dysfunction and femail urology. Seoul : Ilchokak publishing Co.,Ltd. 2004:511-513, 518, 520 (Korean) 

  4. Lee BK. Oriental medicine Diagnostics. Seounbosa. 1992: 150-151 (Korean) 

  5. Medical Training Education Series #3 Famil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national teacher training center. Pres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910-918 (Korean) 

  6. Korean continence society. Textbook of voiding dysfunction and femail urology. Seoul : Ilchokak publishing Co.,Ltd. 2003: 101-103, 127, 148 (Korean) 

  7. Kim UH, Kim JM, Kim YH, Jeon YS, Kim ME, Lee NK, et al. The Prevalence of Overactive Bladder Syndrome and Urinary Incontinence in Young and Middle Aged Women. J Korean Continence Soc. 2003;7:9-14 (Korean) 

  8. Lee Y, Kim E, Oh SJ, Lee BS, Kim DA. The Linguistic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Qualiveen Questionnaire'. J Korean Acad Rehabil Med. 2010;34(5):524-43. (Korean) 

  9. Doo HK. Korean internal medicine of Kidney. Seoul : Study Group of Korean internal medicine of Kidney. 1991:71-84 (Korean) 

  10. Choi BJ. Urology. Seoul : Korea medicine book publisher. 2001: 155-156 (Korean) 

  11. Kwon EH, Park SK, Lee YK, Shin HC, Kang SB. Clinical Report of Chronic Relapsing Cystitis Treated with Oriental Medicin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006:22(5);1346-1349 (Korean) 

  12. Park SW, Kim CJ, Choi CS. Review of Interstitial Cystitis and Need for Therapeutic Strategy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2012;33(3):120-132 (Korean) 

  13.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lass of Korea Oriental medicine college unio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eoul: Jipmoondang. 2004: 651-652 (Korean) 

  14. Song EY, Lee EJ, Lee JH, Go BH. The Origin, Change, and Composition of Soeumin's Bojungikgi-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2;24(1):1-12 (Korean) 

  15. Cho HS. Principle and Prescription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eoul : Jipmoondang. 2003:219-222, 233-237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