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정보시스템 효과성 측정지표의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 행정정보DB구축사업을 중심으로 -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PMIS Effectiveness Measurement - Focusing the Administration DB Construction Projects -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The KIPS transactions. Part D. Part D, v.16D no.3, 2009년, pp.417 - 422  

강동석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정보화사업단) ,  유시형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정보화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술적 중요성 이외에 실무적으로도 정보시스템 효과성 측정을 위한 측정지표의 타당성 검증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정보시스템 또는 정보기술에 대한 투자가 급증함에 따라 민간기업에서도 IT 투자의 비즈니스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민간부문뿐만 아니라 공공부문에서도 한정된 국가예산을 가지고 투입되는 정보화 부문에 대한 투자효과 평가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여러 정부부처별로 진행되고 있는 공공 정보화사업의 체계적이고 비교가 가능한 성과평가를 위해서 공공정보시스템 효과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지표의 개발 및 타당성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정보DB구축사업을 대상으로 공공정보시스템 효과성 측정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rtant to verify the validity of indicators assessing PMIS(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effectiveness in academic research as well as practical affairs. As people invest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IT) or IT system, private corporations are interested in investment in 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공공정보시스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지표에 대해서 전문가 의견수렴, 관계자 설문조사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성과평가를 이루는 측정지표에 대해서 체계적이고 통계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타당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이며, 본 논문은 이러한 방법론을 연구하고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정보시스템을 통해 서비스되는 행정정보DB구축사업의 성과평가를 위해 적용된 측정지표들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여러 정부 부처별로 진행되고 있는 공공 정보화사업의 체계적이고 비교가 가능한 성과평가 측정을 위한 측정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정보시스템 효과성 측정을 위한 타당성 검증의 중요성과 측정지표에 따라 행정정보DB구축사업을 대상으로 타당성을 검증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정보시스템이란 무엇인가? 공공정보시스템이란 공공정보를 수집·가공·저장·검색하기 위한 기기 및 소프트웨어의 조직화된 체계[25]로서, 공공정보시스템을 통해 서비스되는 행정정보 DB는 기대한 목적을 달성하였는지와 유용성을 평가하여 향후 사업의 지속성에 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고, 사업 결과물의 수준 및 문제점을 피드백하기 위하여 성과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공공정보시스템을 통해 행정정보DB구축사업의 성과평가를 위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타당성 검증을 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4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첫째 내용 타당성(Content validity)을 검증하기 위해 관련 분야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한 문항 추출, 문항에 대한 전문가 검증 분석, 둘째 신뢰성 검증을 위한 개별항목과 전체항목간의 상관관계 및 크론바하 α(Cronbach alpha)를 통한 내적 일관성(Internal Consistency)과 신뢰도 분석, 셋째 수렴 타당성(Convergent Validity)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유의미한 요인 적재치에 대한 분석, 넷째 판별 타당성(Discriminant Validity)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별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내용 타당성 검증은 정성적 분석이 필요한 부분으로 모델개발에 따른 측정지표 개발시에 적용된다.
행정정보DB구축사업의 고객성과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행정정보DB구축사업의 고객성과는 DB를 이용하는 국민이나 이용기관에서 이용의 접근성, 이용의 편리성, 정보의 활용성, 이용 만족도 등을 통해 사업의 효과를 점검하는 지표이며, 업무성과는 DB를 활용함으로써 정보의 공유, 사업의 필요성 등을 평가한다. 기술성과는 사용자의 요구 반영이나 구축된 DB에 대한 신뢰도 등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traub, D.W. 'Validating Instruments in MIS Research,' MIS Quartely, (13:2), 1989, pp.147-169 

  2. DeLone, W.H., McLean, E.R., (1992).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9, No.4, pp.9-30, 2003 

  3. Carr, N.G. 'IT Doesn't Matter,' Harvard Business Review, May, 2003, pp.41-49 

  4. 행정자치부, .2006년도 행정정보DB구축사업의 성과점검 보고서., 2007 

  5. 한국전산원, .정보공공활용사업 추진지침 개발., 2000 

  6. 한국전산원, .행정정보DB구축사업 성과관리모델연구., 2005 

  7. (사)한국기업경영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정보화지원사업의 통합적 성과평가모형 개발., 2005 

  8. Jacoby, Jacob. 'A consumer Research : A state of the Art Review,' Journal of Marketing, 40(July 1976), 17-28 

  9. Gilbert A. Churchill, JR. (1979)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XVI(February 1979), pp.64-73 

  10. Cook, Thomas D. and Donald T.Compbell(1979) Quais-Experimentation ; Design and Anlysis for Field Settings, Chicago:Rand-McNally 

  11. Cronbach,Lee J. and R.E. Snow(1977), Aptitudes and Instructional Methods: A Handbook for Research on Interactions.New York:Irvington 

  12. Baumgartner and Homburg..C.(1996).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arketing and consumer research : A review. Internatioal Journal of Researchin Marketing. 13(2). pp.139-161 

  13. N. Venkatraman & John H.Grant.(1996). Construct Measurement in Organization Strategy Research :A Critique and Proposal.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1, No.1, pp.71-87 

  14. Marie-Claude Boudreau, Boudreau et al./ Instrument Va;idation. Vol.25, No.1, pp.1-16, March, 2001 

  15. 정국환 외, .공공정보화 성과평가 방법론 연구., 2007 

  16. 임규건 외, .산업인력정보화 성과분석., 2007 

  17. 송희준 외, .교육정보화 성과분석., 2007 

  18. 최영찬 외, .농림정보화 성과분석., 2007 

  19. 유시형, 유해영, '공공 정보화사업에 대한 통합성과평가모델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5-D, No.3, pp.387-389, June, 2008 

  20. Hair, J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Black, W. C. .Multivariate Data Analaysis. Prentice-Hall, 5th ed, 1998 

  21. Segars, A(1997). Assessing the unidimensionality of mesearement : A paradigm and illustration within the context of information system research omega, 25(1), pp.107-121 

  22. Fornell,C..& Larcker,D.F.(1981). Evaluating structurall equation model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18(1), pp.39-50 

  23. Hamilton, S. & N.L Chervany, 'Evaluating Information system effectiveness Part I, II : Comparing Evaluation Approach', MIS Quarterly, 1981 

  24. 한국법제연구원 .정보시스템 구축.운영과 입법과제., 2005 

  25. 김상욱 외, .정보시스템과 경영., 20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