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문부 담도암에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결과
The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Perihilar Cholangiocarcinoma 원문보기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ei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v.27 no.4, 2009년, pp.181 - 188  

이유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박재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박진홍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최은경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안승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이상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송시열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이승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일반외과학교실) ,  황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일반외과학교실) ,  이영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일반외과학교실) ,  박광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일반외과학교실) ,  김기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일반외과학교실) ,  안철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일반외과학교실) ,  문덕복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 ,  장흥문 ,  류민희 김태원 ,  이재련 ,  김종훈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간문부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율, 재발양상, 예후 인자, 치료 부작용을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98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근치적 또는 고식적 절제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 받은 총 39명의 환자 중 총 방사선 조사량이 30 Gy 이상이었던 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연령은 28~72세(중앙 연령, 59세)였으며, 남자가 23명 여자가 15명이었다.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활동도는 모두 2 이하였다. AJCC에 따른 병리적 병기 1기, 2기는 각각 15명(40%), 23명 (60%)이었다. 수술은 완전 절제가 시행된 경우는 9명(24%), 절제연 양성인 경우는 29명(76%)이었다. 동시 항암화학요법은 30명(79%)에서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는 원발 종양이 있던 부위와 주변 림프절에 조사하였으며, 1회 선량은 1.8 Gy 또는 2 Gy로, 총 방사선량은 35~61 Gy (중앙값, 59.4 Gy)였다. 대상 환자들의 추적 관찰 기간은 6~45개월(중앙값, 14개월)이었다. 대상 환자의 생존율 분석은 Kaplan-Meier 법, 예후 인자 분석log-rank 법을 사용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의 3년 생존율은 30%, 3년 무진행 생존율은 8%이었으며, 중앙생존기간은 28개월이었다. 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 예후 인자는 종양의 분화도(p=0.003)였고, 무진행 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 예후 인자는 혈관-림프 침범(p=0.0307), 종양의 분화도(p=0.0245), 수술 후 CA 19-9 (p=0.0172)이었다. 완전 절제가 시행된 환자 9명의 3년 생존율은 34%로서 불완전 절제가 시행된 환자 29명의 20%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3067). 최초 재발 양상은 국소 재발 18명(47%), 원격전이는 16명(42%)이었다. 치료에 연관된 EORTC Grade 3 이상의 급성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만성 부작용으로는 십이지장 궤양에 의한 출혈이 2명(5.1%)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완전 절제가 시행된 경우와 절제연 양성인 경우에서의 생존율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방사선 치료의 국소재발 억제 효과가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으나, 환자수가 적고 수술 단독군과의 비교가 이루어지지 않아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웠다. 게다가 완전 절제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도 높은 국소 재발률을 보여, 향후 항암제와의 병용치료 및 정밀 방사선 치료 등을 통한 국소 제어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a case of perihilar cholagiocarcinoma by analyzing overall survival rate, patterns of failure,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and toxici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8 and March 200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수술적 절제 후 방사선 치료가 시행된 간문부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율, 국소 제어율, 재발 양상, 부작용을 평가하여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외 담도암이란 무엇인가? 9%이다. 간외 담도암은 담도를 둘러싸고 있는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으로써 간문부 담도암과 원위부 담도암으로 나눌 수 있다.1) 이 중 간문부 담도암은 전체 담도암의 65∼70%를 차지하고 있으며,2,3) 수술적 완전 절제가 가장 효과적인 근치적 치료로 알려져 있으나2) 진단 당시에 수술적 절제가 가능한 경우는 40∼50%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3) 병변이 간내 담도를 포함하기 때문에 완전 절제를 시행하기가 어렵다.
간외 담도암은 어떻게 나뉘는가? 9%이다. 간외 담도암은 담도를 둘러싸고 있는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으로써 간문부 담도암과 원위부 담도암으로 나눌 수 있다.1) 이 중 간문부 담도암은 전체 담도암의 65∼70%를 차지하고 있으며,2,3) 수술적 완전 절제가 가장 효과적인 근치적 치료로 알려져 있으나2) 진단 당시에 수술적 절제가 가능한 경우는 40∼50%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3) 병변이 간내 담도를 포함하기 때문에 완전 절제를 시행하기가 어렵다.
간외 담도암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 간외 담도암은 담도를 둘러싸고 있는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으로써 간문부 담도암과 원위부 담도암으로 나눌 수 있다.1) 이 중 간문부 담도암은 전체 담도암의 65∼70%를 차지하고 있으며,2,3) 수술적 완전 절제가 가장 효과적인 근치적 치료로 알려져 있으나2) 진단 당시에 수술적 절제가 가능한 경우는 40∼50%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3) 병변이 간내 담도를 포함하기 때문에 완전 절제를 시행하기가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n-David MA, Griffith KA, Abu-Isa E, et al. Externalbeam radiotherapy for localized ex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6;66:772-779 

  2. Khan SA, Davidson BR, Goldin R,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olangiocarcinoma: consensus document. Gut 2002;51(Suppl. 6):VI1-9 

  3. Nakeeb A, Pitt HA, Sohn TA, et al. Cholangiocarcinoma:a spectrum of intrahepatic, perihilar, and distal tumors. Ann Surg 1996;224:463-473 

  4. Nakeeb A, Tran KQ, Black MJ, et al. Improved survival in resected biliary malignancies. Surgery 2002;132:555-563 

  5. Kopelson G, Galdabini J, Warshaw AL, Gunderson LL. Patterns of failure after curative surgery for extra-hepatic biliary tract carcinoma: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81;7:413-417 

  6. Jarnagin WR, Ruo L, Little SA, et al. Patterns of initial disease recurrence after resection of gallbladder carcinoma and hilar cholangiocarcinoma: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eutic strategies. Cancer 2003;98:1689-1700 

  7. Pitt HA, Nakeeb A, Abrams RA, et al. Perihilar cholangiocarcinoma:postoperative radiotherapy does not improve survival. Ann Surg 1995;221:788-797 

  8. Sagawa N, Kondo S, Morikawa T, Okushiba S, Katoh H. Effectiveness of radiation therapy after surgery for hilar cholangiocarcinoma. Surg Today 2005;35:548-552 

  9. Verbeek PC, Van Leeuwen DJ, Van Der Heyde MN, Gonzalez Gonzalez D. Does additive radiotherapy after hilar resection improve survival of cholangiocarcinoma? An analysis in sixty-four patients. Ann Chir 1991;45:350-354 

  10. Kamada T, Saitou H, Takamura A, Nojima T, Okushiba SI. The role of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an analysis of 145 consecutive patients treated with intraluminal and/or external beam radi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6;34:767-774 

  11. Urego M, Flickinger JC, Carr BI. Radiotherapy and multimodality management of cholangiocarcinoma.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9;44:121-126 

  12. Todoroki T, Ohara K, Kawamoto T, et al. Benefits of adjuvant radiotherapy after radical resection of locally advanced main hepatic duct carcinoma.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581-587 

  13. Kim S, Kim SW, Bang YJ, Heo DS, Ha SW. Role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2;54:414-419 

  14. Gerhards MF, van Gulik TM, Gonzalez Gonzalez D, Rauws EA, Gouma DJ.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resectable hilar cholangiocarcinoma. World J Surg 2003;27:173-179 

  15. Kim WC, Lee DH, Lee KY, et al. The rol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s.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003;21:118-124 

  16. Stein DE, Heron DE, Rosato EL, Anne PR, Topham AK. Positive microscopic margins alter outcome in lymph node-negative cholangiocarcinoma when resection is combined with adjuvant radiotherapy. Am J Clin Oncol 2005;28:21-23 

  17. Oh D, Lim DH, Heo JS, et al. The role of adjuvant radiotherapy in microscopic tumor control after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surgery. Am J Clin Oncol 2007;30:21-25 

  18. Crane CH, Macdonald KO, Vauthey JN, et al. Limitations of conventional doses of chemoradiation for unresectable biliary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2;53:969-974 

  19. Lee SG, Lee YJ, Park KM, Hwang S, Min PC. One hundred and eleven liver resections for hilar bile duct cancer.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0;7:135-141 

  20. Morganti AG, Trodella L, Valentini V, et al. Combined modality treatment in unresectable extrahepatic biliary carcinoma.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913-919 

  21. Alden ME, Mohiuddin M. The impact of radiation dose in combined external beam and intraluminal Ir-192 brachytherapy for bile duct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4;28:945-951 

  22. Hejna M, Pruckmayer M, Raderer M. The role of chemotherapy and radiation in the management of biliary cancer:a review of the literature. Eur J Cancer 1998;34:977-986 

  23. Ducreux M, Rougier P, Fandi A, et al. Effective treatment of advanced biliary tract carcinoma using 5-fluorouracil continuous infusion with cisplatin. Ann Oncol 1998;9:653-656 

  24. Glimelius B, Hoffman K, Sjoden PO, et al. Chemotherapy improves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in advanced pancreatic and biliary cancer. Ann Oncol 1996;7:593-6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