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외 담도암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The Rol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s 원문보기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ei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v.21 no.2, 2003년, pp.118 - 124  

김우철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  이돈행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  이건영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일반외과) ,  이미조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  김헌정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  이석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  노준규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간외 담도암에서 수술 단독군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된 군의 비교를 통하여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인하대병원에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41명의 간외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22명의 환자는 수술 단독으로 치료되었고(1군) 19명의 환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다(2군). 수술은 완전절제가 시행된 경우가 1군에서는 11명(50$\%$)이었고 2군에서는 7명(36.8$\%$)이었다. 나머지 환자는 절제연 양성으로 현미경적 미세 종양이 남아 있었다. 두 군 간에 병기, 수술 방법, 병리 소견 등의 분포의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치료는 10MV X-ray를 이용하여 45$\~$54 Gy (중앙값: 50.4 Gy)를 원발 종양과 주변 림프절에 조사하였다. 결과: 1군에서는 국소실패한 환자가 12명(54.5$\%$)인 반면 2군에서는 3명(15.8$\%$)으로 수술 단독군에서 국소실패율이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으며(p=0.010), 1군에서 국소실패한 12명 중 7명이 절제연 양성군에서 발생하였고 2군에서는 국소실패한 3명 모두가 절제연 양성에서 발생하여 완전절제군보다 절제연 양성군에서 국소실패가 월등히 높았다. 1군과 2군의 3년 전체 생존율은 각각 38.3$\%$, 38.9$\%$이었고 3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18.8$\%$와 26.3$\%$로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절제연 양성인 환자에서는 3년 생존율이 24.2$\%$와 36.4$\%$로 방사선치료군에서 좋았고 (p=0.06) 절제연 양성인 환자의 3년 무병생존율은 18.2$\%$와 25.0$\%$로 통계학적으로도 의미 있게 방사선치료군이 좋았다(0=0.04). 결론: 간외 담도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국소 제어율을 높이며, 특히 절제연이 양성인 환자에서는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ol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7 and 2001, 41 patients with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having undergone surgical resection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Of the 41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간외 담도암 환자 중 근치적 절제가 시행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부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군을 후향적으로 비교분석하여 근치적 절제 후 부가적인 방사선치료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Healthand Welfare. Annualreport of the central cancer registry in Korea, 1998 

  2. LillemoreKD. Currentstatus ofsurgery for Klatskin tumors. Curr Opin Gen Surg 1994;161-167 

  3. Chao TC, Greager JA.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s. J Surg Oncol 1991;46:145-150 

  4. Klempnauer J, Ridder GJ, Werner M, Weimann A, Pichlmayr R. What constitutes long term survival after surgery for hilar cholangiocarcinoma? Cancer 1997;79:26-34 

  5. Nakeeb A, Pitt HA, Sohn TA, et al. Cholangiocarcinoma. A spectrum of intrahepatic, perihilar, and distal tumors. Ann Surg 1996;224:463-473 

  6. Washburn WK, Lewis WD, Jenkins RL. Aggressive surgical resection for cholangiocarcinoma. Arch Surg 1995;130: 270-276 

  7. FritzP,BrambsHJ,SchraubeP,FreundU,BernsC, Wannenmacher M. Combined external beam radiotherapy and intraluminal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on bile duct carcinoma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4;29:855-861 

  8. Kopelson G, Galdabini J, Warshaw AL, et al. Patterns of failure after curative surgery for extra-hepatic biliary tract carcinoma: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y.IntJRadiatOncolBiolPhys 1981;7:413-417 

  9. Cameron JL, Pitt HA, Zinner MJ, etal.Management of proximal cholangiocarcinomas by surgical resection and radiotherapy. Am J Surg 1990;159:91-98 

  10. Verbeek PCM, van Leeuwen DJ, van Der Heyde MN, et al. Does additive radiotherapy after hailar resection improve survival of cholangiocarcinoma? Ann Chir 1991;45:350-354 

  11. Kopelson G, Gunderson LL. Primary and adjuvant radiation therapy in gallbladder and extrahepatic biliary tract carcinoma. J Clin Gastroenterol 1983;5:43-50 

  12. TodorokiT,OharaK,KawamotoT,etal. Benefits of adjuvant radiotherapy after radical resection of locallyadvanced main hepaticduct carcinoma.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581-587 

  13. Schoenthaler R, Castro JR, Halberg FE, et al. Definitive postoperative irradiation of bile duct carcinoma withchargedparticlesand/or phot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3; 27:75-82 

  14. Zlotecki RA, JungLA, Vauthey JN, etal.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iary tract: surgery and radiotherapy for curative and palliative intent. Radiat Oncol Investig 1998; 6:240-247 

  15. Mahe M, Romestaing P, Talon B, et al. Radiation therapy in extrahepatic bile duct carcinoma. Radiother Oncol 1991; 21:121-127 

  16. Veeze-Kuijpers B, Meerwaldt JH, LamerisJS, Blankenstein M, Putten LJ, Terpstra OT. The role of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bile duct carcinoma. 1990;18: 63-67 

  17. GanzalezDG,GerardJP,ManersAW,etal.Results ofradiation therapy in carcinoma of the proximal bile duct (Klatskin tumor). Semin Liver Dis 1990;10:131-140 

  18. Alden ME, Mohiuddin M. The impact of radiation dosein combined external beam and intraluminal IR-192 brachytherapy for bile duct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4;28:849-854 

  19. Sauz-Altamira PM, Ferante K,Jenkins RL, et al. A phase II trial of 5-fluorouracil, leucovorin, and carboplatin in patients with unresectable biliary tree carcinoma. Cancer 1998;82:2321-2325 

  20. Patt YZ, Jones DV, Hoque A, etal. Phase II trial of intravenous fluorouracil and subcutaneous interferon alpha-2bforbiliarytractcancer.JClin Oncol 1996;14:2311-2315 

  21. Harvey JH, Smithe FP, Schein PS. 5-Fluorouracil, mitomycin, and doxorubicin (FAM) in carcinoma of the biliary tract. J Clin Oncol 1984;2:1245-1248 

  22. FooML, Gunderson LL,Bender CE, BuskirkSJ. External radiation therapy and transcatheter iridium in the treatment of extrahepatic bile duct carcinoma.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7;39:929-935 

  23. Kim S, Kim SW, Bang YJ, Heo DS, HaSW. Role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2; 54;414-419 

  24. Todoroki T, Kawamoto T, Koike N, Fukao K, Shoda J, Takahashi H. Treatment strategy for patients with middle and lower thirdbileductcancer. Br J Surg 2001;88;364-370 

  25. Nagorney DM,DonohueJH, Farnell MB, Schleck CD, Ilstrup DM. Outcomes after curative resections of cholangiocarcinoma. Arch Surg 1993;128:871-8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