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oa pratensis L. 에서 유기질 토양개량재 및 수분 중합체가 잔디생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oil Organic Amendment and Water-Absorbing Polymer on Growth Characteristics in Poa pratensis L. 원문보기

한국잔디학회지 = Kore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v.23 no.2, 2009년, pp.317 - 330  

김경남 (삼육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을 통해 고품질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유기질개량재 및 중합체 혼합율에 따라 잔디생존력, 지상부 생장, 초장 및 잔디품질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Table 5). 1.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발아율은 혼합 처리구에 따라 최소 0%~최대 56.3% 사이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최고 발아율 56.3%는 SOA 20% 및 중합체 0% 혼합된 처리구 13(SOA 20%+sand 80%+polymer 0%)에서 나타났다. 잔디생존력에서 유기질개량재 효과는 SOA 10% 및 20% 처리구가 SOA 100% 보다 더 양호하였다. 잔디발아 측면에서 중합체 혼합비율은 낮을수록 바람직하였으며, 특히 중합체 3% 이상은 발아에 불리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지상부 엽생장의 생장지표인 전체엽수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2.2~4.0엽 사이였고, 유기질개량재 SOA 효과는 SOA 20% > SOA 100% > SOA 10%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잔디엽수 생장을 고려 시 중합체 혼합비율은 12% 이하가 적절하였다. 3. 초장에서 유기질개량재 SOA 효과는 SOA 20% > SOA 10% > SOA 100% 순서로 나타났으며, 중합체 혼합 시 처리구 14(SOA 20%+sand 80%+polymer 3%)를 제외하고는 3~15% 사이에서 잔디 초장 차이는 없었다. 4. 잔디밀도는 파종 후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지만, 유기질개량재 SOA 및 중합체 혼합비율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유기질개량재 SOA 효과는 SOA 10% 및 20% 혼합구가 SOA 100% 에 비해 좀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5. 향후 유기질 토양개량재 및 모래 혼합구에서 중합체 K-36의 구성요소인 K-SAM, Ca, perlite, Kitosan 등 개별 요인에 대한 추가 생육검정을 통해 이들 소재를 이용한 토양개량재의 개발 및 실무적용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었다. 6. 본 실험에서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엽수는 정상적인 엽수보다 1엽 정도 적은 2.5~4.0엽으로 나타났는데, 향후 토심이 좀 더 깊은 포트 또는 포장에서 실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7. 또한 수분 흡수 중합체는 식물 생장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잔디밭에서 파종 후 발아과정에 필요한 수분을 흡수 및 저장함으로 초기 생육 단계에서는 불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 및 조합비율에 대한 조정과 함께 종자파종 잔디밭과 함께 뗏장 이식 후 잔디밭에서 비교검토 하는 것도 장기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germination vigor, number of leaves, plant height and turfgrass density. A total of 18 treatment combinations were used in the study. Treatments were made of soil organic amendment(SOA), sand, and water-absorbing polymer. Germination vigor, leaf number, plant 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토양 유기질개량재, 무기질 Ca 및 perlite, 그리고 수분흡수 중합체의 혼합비율이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잔디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 정원, 운동장 및 골프장 조성 시 이들 소재를 이용한 혼합개량재를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잔디가 사용되는 곳으로 어디가 있는가? 현대사회에서 잔디는 도로변, 고속도로교차로, 비행장, 묘지, 정원, 공원, 레크리에이션 공간, 경기장 및 골프장 등 여러 지역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잔디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매우 강한 작물로 척박토양을 피복할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잔디를 사용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현대사회에서 잔디는 도로변, 고속도로교차로, 비행장, 묘지, 정원, 공원, 레크리에이션 공간, 경기장 및 골프장 등 여러 지역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잔디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매우 강한 작물로 척박토양을 피복할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최근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지피식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그 효용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고품질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유기질개량재 및 중합체 혼합율에 따라 잔디생존력, 지상부 생장, 초장 및 잔디품질에 나타난 결과는 무엇인가? 1.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발아율은 혼합 처리구에 따라 최소 0%~최대 56.3% 사이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최고 발아율 56.3%는 SOA 20% 및 중합체 0% 혼합된 처리구13(SOA 20% +sand 80% +polymer 0%)에서 나타났다. 잔디생존력에서 유기질개량재 효과는 SOA 10% 및 20% 처리구가 SOA 100% 보다 더 양호하였다. 잔디발아 측면에서 중합체 혼합비율은 낮을수록 바람직하였으며, 특히 중합체 3% 이상은 발아에 불리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지상부 엽생장의 생장지표인 전체엽수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2.2~4.0엽 사이였고, 유기질개량재 SOA 효과는 SOA 20%> SOA 100% > SOA 10%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잔디엽수 생장을 고려 시 중합체 혼합비율은 12% 이하가 적절하였다. 3. 초장에서 유기질개량재 SOA 효과는 SOA 20% > SOA 10% > SOA 100% 순서로 나타났으며, 중합체 혼합 시 처리구14(SOA 20% + sand 80% + polymer 3%)를 제외하고는 3~15% 사이에서 잔디 초장 차이는 없었다. 4. 잔디밀도는 파종 후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지만, 유기질개량재 SOA 및 중합체 혼합비율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유기질개량재 SOA 효과는 SOA 10% 및 20% 혼합구가 SOA 100% 에 비해 좀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5. 향후 유기질 토양개량재 및 모래 혼합구에서 중합체 K-36의 구성요소인 K-SAM, Ca, perlite, Kitosan 등 개별 요인에 대한 추가 생육검정을 통해 이들 소재를 이용한 토양개량재의 개발 및 실무적용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었다. 6. 본 실험에서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엽수는 정상적인 엽수보다 1엽 정도 적은 2.5~4.0엽으로 나타났는데, 향후 토심이 좀 더 깊은 포트 또는 포장에서 실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7. 또한 수분 흡수 중합체는 식물 생장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잔디밭에서 파종 후 발아과정에 필요한 수분을 흡수 및 저장함으로 초기 생육 단계에서는 불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 및 조합비율에 대한 조정과 함께 종자파종 잔디밭과 함께 뗏장 이식 후 잔디밭에서 비교검토 하는 것도 장기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고석구, 태현숙, 류창현. 2006. 동물성 유기질 개량재가 들잔디 및 켄터키 블루그래스 잔디생육에 미치는 효과. 한국잔디학회지 20(1):33-40 

  2. 김경남. 2005. STM 총서 I-잔디학개론. 삼육대학교 출판부 

  3. 김경남. 2006. STM 총서 II-잔디관리론. 삼육대학교 출판부 

  4. 김경남. 2007. STM 총서 III-잔디조성론. 삼육대학교 출판부 

  5. 김경남. 2009.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에서 유기질 토양개량재 및 수분 중합체 혼합이 잔디생육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논문집 44:00-00. (in press) 

  6. 김경남, 남상용. 2003. 생육환경에 따라 Poa pratensis L. Lolium perenne L. 및 Festuca arudinacea Schreb.의 초종 및 품종별 발아세, 발아속도 및 발아율 비교. 한국잔디학회지 17(1):1-12 

  7. 김경남, 정기완. 2009. ISTA 변온조건에서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신품종 8종류의 발아특성 및 일일 발아패턴.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2(3):72-82 

  8. 김인철, 주영규, 이정호. 2002. 올림픽 주경 기장 지반 상토층의 토양물리성과 잔디 생육의 상관관계. 한국잔디학회지 16(1):31-40 

  9. 조성진 외 10인. 1993. 토양학. 향문사 

  10. 한국체육과학연구원. 1998. 잔디구장의 조성과 관리. 동원사 

  11. Alderson, J. and W.C. Sharp. 1995. Grass varieties in the United States -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CRC Press, Inc., New York, NY, USA 

  12. Anonymous. 1964. Rules for testing seeds. Proceedings of the Association 

  13. Bandaranayake, W., Y.L. Qian, W.J. Parton, D.S. Ojima, and R.F. Follett. 2003. Estimation of soil organic carbon changes in turfgrass systems using the CENTURY model, Agron. J. 95(3):558-563 

  14. Beard, J.B. 1973. Turfgrass Science and Culture. Prentice-Hall, Englewood 

  15. Beard, J.B. and H.J. Beard. 2005. Beard's Turfgrass Encyclopedia for Golf Courses, Grounds, Lawns and Sports Fields.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16. Hanson, A.A., F.V. Juska, and G.W. Burton. 1969. Species and varieties. Agron. Monogr. 14:370-409. In A.A. Hanson and F.V. Juska (ed.), Turfgrass Science. ASA, Madison, WI, USA 

  17. Kerek, M. 2003. Labile soil organic matter as a potential nitrogen source in golf greens. Soil Biology & Biochemistry. 35(12):1643-1649 

  18. Krans, J.P., Puhalla, J., and Goatley, M. 1999. Sports Fields: A manual for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19. Li, D., Y.K. Joo, N.E. Christian, and D.D. Miner. 2000. Inorganic soil amendment effects on sand-based sports turf media. Crop Sci. 40(4):1121-1125 

  20. Madison, J.H. 1966. Optimum rates of seeding turfgrasses. Agron. J. 58:442~443 

  21. SAS Institute, Inc. 1990. SAS/STAT User's Guide, Version 6 4th ed., SAS Inst., Inc., Cary, NC, USA 

  22. The Lawn Institute. 1991. Seed. LISTS 69-112. In E.C. Roberts and B.C. Roberts (ed.), Lawn Institute Special Topic Sheets, Tennessee Cumberland Printing Corp., Crossville, TN, USA 

  23. Thorogood, D. 2003.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pp. 75-105. In M.D. Casler, A.A. and R. R. Duncan (ed.), Turfgrass Biology, Genetics, and Breeding.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J, USA 

  24. Turgeon, A.J. 2005. Turfgrass Management. Fourth ed., Prentice-Hall, Inc., Upper Saddle River, NJ, USA 

  25. Waddington, D.V. 1992. Soils, soil mixtures, and soil amendments. Agron. 

  26. Watschke, T.L. and R.E. Schmidt. 1992. Ecological aspects of turf communities. Agron. Monogr. 32:331-383. In D.V. Waddington, R.N. Carrow and R.C. Shearman. (ed.), Turfgrass. ASA-CSSA-SSSA, Madison, WI,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