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5, 2009년, pp.387 - 394
김태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권응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형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조영무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박병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이원규 ((주)한동) , 임석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creen and identify the chitinase and chitosanase producing microorganisms from the feces of calves medicated DFM sincluding chitin in order to do the immune fortification of Korean Native calves. Ten isolates were grown in the medium containing chitin and chitosan tha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Chitinase를 생성하는 미생물로는 무엇이 있는가? | Chitinase를 생성하는 미생물로는 Alteromonas, Serratia, Pseudomonas, Aeromonas, Enterococcus, Bacillus 등의 세균 (Hayashi 등, 1995; Sakai 등, 1998; 강과 정, 1999)과 Streptomyces 등의 방선균 (Mitsutomi 등, 1995), Tricodema, Aspergillus (Harman 등, 1993) 등의 사상균, Saccharomyces 등의 효모(Mollogy와 Burke, 1997) 등이 알려져 있다. Chitinase를 산업적으로 응용하기 위해서는 Chitinase 생산능이 높은 균주의 탐색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 |
키틴과 키토산의 유용성이 우수한 송아지 분변내 미생물을 선발하여 37℃에서 24~48시간 동안 배양한 미생물의 배양 학적 및 형태학적 특성을 관찰한 결과는? | 키틴과 키토산의 유용성이 우수한 송아지 분변내 미생물을 10균주 중 각각 2균주를 선발하였으며, Nutrient 한천 평판배지 및 Nutrient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24~4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집락형태, 색깔, 표면상태, 광택, 가장자리 및 생육상태 등 배양상 특성을 관찰하였다. 선발균주의 배양학적 특성은 Nutrient broth에서 침전이나 pellicle이 없이 성장하였으며, Nutrient agar상에서 HANDI 110은 yellow였고 HANDI 309는 Bright beige, HANWOO는 Creamy, HANYOO는 Strong yellow의 색을 지녔다. 선발균주의 배양학적 특성은 Table 4와 같다. Fig. 1과 같이 Chitinase를 생산하는 균주로 분해환을 보인 HANDI 110는간균이였으며 HANDI 309는 구균으로 모두 그람 음성균으로서 운동성과 포자형성은 없었다. Chitosanase를 생산하는 균주로 분해환을 보인 HANWOO와 HANYOO는 그람음성의 간균이였으며 운동성과 포자는 형성하지 않았다. 선발 균주의 형태학적 특징은 Table 5와 같다. | |
키틴 및 키토산의 기능으로 무엇이 있는가? | 키토산은 키틴에서 acetyl amino기가 deacetylation된 알칼리 분해산물이다 (Hsu와 Lockwood, 1975; Miller, 1987; 최 등, 2004). 키틴 및 키토산은 독성이 없고 흡착성, 보습성, 유화성, 생분해성을 나타내며 항균작용, 제산작용, 궤양억제작용, 콜레스테롤과 triglyceride를 낮추는 약리작용, 장내 유용세균의 생장촉진, 항종양활성, 식물세포의 활성화작용, 면역부활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Yabuki 등, 1987; Takayanagi 등, 1991; Zhu 등, 2003) 키틴내의 아세틸아미노기는 강한 수소결합으로 이루어져 화학약품에내성이 강하고 물이나 유기용매에 녹지 않은 특성이 있고 분해가 되면 N-acetyl-D-glucosamin의 기능성 때문에 오래 전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유용하게 이용되어오고 있다. 키틴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동정과 함께 그 분해산물이 구명되면서 키틴 및 키토산으로부터 효소작용에 의해 얻어진 glucosamine이 항생물질의 전구체로 이용된다는 점, 또한 생변환에 의한 단백질을 생산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키틴 및 키틴유도체가 식품산업, 제약산업, 농업 및 환경분야 등의 많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Juni, 1984; 박 등, 1995; Shimosaka 등, 1995; 정과 이, 1995; Harman 등, 1993; Hirano, 1989; Xu-fen Zhu, 2007). |
Benson, H. J. 1990. Identification of unknown bacteria. In Microbiological application, 5th ed. W. C. Brown Publishers. USA, pp 146-173.
Choi, Y. J., Kim, E. J., Piao, Z., Yun, Y. C. and Shin, Y. C., 2004.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ase from Bacillus sp. strain KCTC 0377BP and its application for the production of chitosan oligosaccharides. Appl. Environ. Microbiol. 70(8):4522-4531.
Facklam, R. and Wilkinson, H. W. 1981. The family Streptococcaceae. In M. P. Starr, H. Stolp, H. G. Truper, A. Balows and H. G,. Schlegel (Eds.) The prokaryotes. Springer-Verlag. Berlin.pp. 1572.
Hayashi, K., Sato, S., Takano, R., Tsujibo, H., Orikoshi, H., Imada, C., Okami, Y., Inamori, Y. and Hara, S. 1995. Identification of the positions of disulfide bonds of chitinase from a marine bacterium, Alteromonas sp. Strain O-7. Biosci.
Harman, G. E., Hayes, M., Lorito, Broadway, R. M., Dipietro, A., Peterbauer, C. and Tronsmo, A. 1993. Chitinolytic enzymes of Trichoderma harzianum; Purification of chitobiosidase and endochitinase. Phytopathology 83:313-318.
Hirano, S. Chitin and Chitosan. Essex: Elsevier; 1989.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Chitin and Chitosan in Japan; pp. 37-43.
Holt, J. G., Krieg N. R., Sneath, P. H. A., Staley, J. T. and Williams, S. T. 1994.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9th Eds., Williams & Wilkins, Baltimore.
Hsu, S. C. and Lockwood, L. 1975. Powdered chitin agar as a selective medium for enumeration of Actinomycetes in water soil. Appl. Microbiol. 29, 422-426.
Juni, E. 1984. Genus III. Acinetobacter, p. 303-307. In N. R. Krieg and J. G. Holt (ed.),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1. The Williams & Wilkins Co., Baltimore.
Katayama-Fujimura, Y., Komatsu, Y., Kuraishi, H. and Kaneko, T. 1984. Estimation of DNA base composition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f its nuclease P1 hydrolysate. Agric. Biol. Chem. 48:3169-3172.
Krieg N. R. and Holt, J. G. 1984.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1 Eds., Williams & Wilkins, Baltimore.
Marmur, J. and Doty, P. 1962. Determination of base composition of DNA from its thermal denaturation temperature. J. Mol.Biol. 5: 109-118.
Miller, L. 1987.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5-431.
Mitsutomi, M., Hata, T., Kuwahara, T. 1995.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chitinases from Stereptomyces griseus HUT 6037. J. Ferment. Bioeng. 80:153-158.
Mollogy, C. and Burke, B. 1997. Expression and secretion of Janthinobacterium lividum chitinas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Biotech. Lett. 19:1161-1164.
Sakai, K., Yokota, A., Kurokawa, H., Wakayama, M. and Moriguchi, M. 1998.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ree thermostable endochitinases of a noble Bacillus strain, MH-1, isolated from chitin-containing compost. Appl. Environ.
Shimosaka, M., Nogawa, M., Wang, X. Y., Kumehara, M. and Okazaki, M. 1995. Production of two chitosanases from a chitosan-assimilating bacterium, Acinetobacter sp. strain CHB101. Appl. Environ. Microbiol. 61:438-442.
Takayanagi, T., Ajisaka, K., Tabiguchi, T. and shimakara, K. 199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stable chitinas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X-7u. Biochim. Biophys. Acta. 1078, 410-414.
Tamaoka, J. and Komagata, K. 1984. Determination of DNA base composition by reverse-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EMS Microbio. Lett 25:125-128.
Vipul G., Pranav V. and Chatpar, H. S. 2005. Activity staning method of chitinase on chitin agar plate through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frican J. of Biotechnology 4(1):87-90.
Yabuki, M., Hirano, M., Ando, A., Fujii, T. and Amemiya, Y. 198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hitosan degrading bacterium and formation of chitosanase by the isolate. Tech. Bull. Fac. Hort. Chiba Univ. 39, 23-27.
Yoon, J. H., Lee, S. T. and Park, Y. H. 1996. Inter-and intraspecific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genus Nocardioides and related taxa based on 16S rDNA sequences. Int. J. Syst. Bacteriol. 48, 187-194.
Zikakis, J. P. 1984. Chitinase from soybean seeds;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the enzyme system Wadworth, S. A., J. P. Zikakis. J. Agric. Food Chem. 32:1284-1288.
Zhu, X. -F., Wu, X. -Y. and Dai, Y. 2003. Fermentation condition and properties of chitosanase from Acinetobacter sp. C-17. Biosci. Biotechnol. Biochem. 67, 284-290.
Zhu, X.-F., Ying Zhou, and Jun-li Feng. 2007. Analysis of both chitinase and chitosanase produced by Sphingomonas sp. CJ-5. J Zhejiang Univ Sci B. 8(11):831-838.
강신욱, 정만재. 1999. Pseudomonas uesicularis KW-15가 생산하는 Chitinase의 정제.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4(3):132-136.
박서기, 이효연, 김기청. 1995. 토양전염성 식물병원균에 대한 Chitin 분해세균들의 길항효과.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1(1):47-52.
정의준, 이용현. 1995. Chitooligosaccharides생산에 적합한 Chitinase를 분비하는 균주의 선별, Chitinase의 분리정제 및 반응특성.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3(2):187-19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