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계에 대한 복합 유기산제의 첨가급여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acy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Organic Acid Mixture in Broiler Chicks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3, 2009년, pp.207 - 216  

김동욱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지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성권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강근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강환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이상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상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사료 내 복합 유기산제의 첨가급여가 육계 생산성, 맹장 미생물 균총, 혈액 특성 및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유기산의 성장촉진용 항생제 대체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일령 육계 수평아리(Ross$\times$Ross 308) 480수를 공시하여 4처리, 4반복, 반복당 30수씩 배치하여 5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항생제 무첨가구, 항생제 첨가구(virginiamycin 10 ppm+salinomycin 60 ppm)를 대조구로 하였으며, 시험사료에 유기산을 0.3% 및 0.5% 첨가하여 유기산 처리구를 두었다. 5주 종료체중, 증체량에 있어서 유기산 0.5% 처리구가 무항생제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유기산 첨가 급여시 무항생제 처리구에 비해 사료 요구율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도체율 및 조직의 상대적 중량에서는 처리구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소장 중량 및 길이는 항생제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유기산 처리구와 항생제 무첨가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맹장 내 미생물 균총에 있어서 대조구인 항생제 첨가구와 유기산 처리구에서 맹장내 Coliform bacteria 및 Salmonella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유산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 내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BUN, AST 및 ALT에 있어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Total protein 및 globulin 수치에 있어서는 항생제 첨가구 및 유기산 처리구가 항생제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albumin 수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로인해 항생제 첨가구 및 유기산 처리구의 혈청 내 albumin : globulin 비율이 항생제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WBC, heterophil, lymphocyte 및 스트레스 지표인 heterophil:lymphocyte 비율에 있어서 처리구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비장 조직내 IL-2IL-6 mRNA의 발현양상에 있어서도 유기산 첨가급여에 따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복합 유기산제의 육계 사료 내 첨가급여는 육계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유해균의 성장 및 증식을 억제하여 장내 미생물 균총의 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조직 발달 및 혈액 성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organic acid mixture on growth performance, cecal microflora, blood characteristics and immune response in broiler chicks and to prove the possibility of organic acid mixture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grow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가진 복합 유기산제의 사료 내 첨가급여가 육계 생산성, 장내 미생물 균총, 혈액 성상 및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사료 내 복합 유기산제의 첨가급여가 육계 생산성, 맹장 미생물 균총, 혈액 특성 및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유기산의 성장촉진용 항생제 대체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일령 육계 수평아리(Ross×Ross 308) 480수를 공시하여 4처리, 4반복, 반복당 30수씩 배치하여 5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U에서는 항생제 사용에 대한 제한 및 규제를 어떻게 시행하였는가? 그러나 최근 가축의 항병성 저하, 축산물 내 항생제 잔류 및 내성균 출현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항생제 사용에 대한 제한 및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EU에서는 2006년부터 가축사료 내 성장촉진용 항생제의 사용을 전면금지하였으며, 국내에서도 2004년부터 「항생제 등 항균 물질 사용 절감 방안」이 추진되어 사용 가능한 성장촉진용 항생제의 종류가 53종에서 25종으로 축소되었으며, 2009년에는 18종으로 축소, 2012년에는 그 사용을 전면금지할 예정이다. 또한 수입 축산물에 대한 경쟁력 제고 및 소비자의 안전 축산물에 대한 요구에 따라 2007년 무항생제 인증기준이 제정되었으며, 무항생제 사육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어 일반 축산물과의 품질 차별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성장촉진용 항생제는 지난 50년간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어왔는가? 성장촉진용 항생제는 지난 50년간 가축의 생산성 향상, 고밀도 사육으로 인한 열악한 사육환경 개선, 폐사율 및 질병 발생율 감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대규모의 집약적 축산을 가능하게 하였다(Hernandez 등, 2004). 그러나 최근 가축의 항병성 저하, 축산물 내 항생제 잔류 및 내성균 출현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항생제 사용에 대한 제한 및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항생제 사용에 대한 제한 및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성장촉진용 항생제는 지난 50년간 가축의 생산성 향상, 고밀도 사육으로 인한 열악한 사육환경 개선, 폐사율 및 질병 발생율 감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대규모의 집약적 축산을 가능하게 하였다(Hernandez 등, 2004). 그러나 최근 가축의 항병성 저하, 축산물 내 항생제 잔류 및 내성균 출현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항생제 사용에 대한 제한 및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EU에서는 2006년부터 가축사료 내 성장촉진용 항생제의 사용을 전면금지하였으며, 국내에서도 2004년부터 「항생제 등 항균 물질 사용 절감 방안」이 추진되어 사용 가능한 성장촉진용 항생제의 종류가 53종에서 25종으로 축소되었으며, 2009년에는 18종으로 축소, 2012년에는 그 사용을 전면금지할 예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umaitre, A. 1972. Development of enzyme activity in the digestive tract of suckling pigs : Nutrition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for weaning. World. Rev. Anim. Prod. 8:54-62. 

  2. Cave, N. A. 1984. Effect of dietary propionic acid and lactic acid on feed intake by chicks. Poul. Sci. 63:131-134. 

  3. Chaveerach, P., Keuzenkamp, D. A., Lipman, L. J. and Van Kanpen, F. 2004. Effect of organic acid in drinking water for young broilers on Campylobacter infection,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gut microflora and histological cell changes. Poult. Sci. 83:330-334. 

  4. Chernecky, C. C. and Berger, B. J. 2004. Laboratory Tests and Diagnostic Procedures, 4th ed. Philadelphia: Saunders. 

  5. Cherrington, C. A., Hinton, M., Mead, G. C. and Chopra, I. 

  6. Chomczynski, P. and Sacchi, N. 1987. Single-step method of RNA isolation by acid guanidinium thiocyanate-phenol-chloroform extraction. N. Anal. Biochem. 162:156-159. 

  7. De Arruda Campos, M. P., Rabello, C. B. V., Sakomura, N. 

  8. Dibner, J. J. and Buttin, P. 2002. Use of organic acids as a model to study the impact of gut microflora on nutrition and metabolism. J. Appl. Poult. Res. 11:453-463. 

  9. Dorsa, W. J. 1997. New and established carcass decontamination procedures commonly used in the beef-processing industry. J. Food Prot. 60:1146-1151. 

  10. Duncan, D. 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11. Farner, N. L., Hank, J. A. and Sondel, P. M. 1997. 

  12. Giesting, D. W. and Easter, R. A. 1985. Response of starter pigs to supplementation of corn-soybean meal diets with organic acids. J. Anim. Sci. 60:1288. 

  13. Gunal, M., Yayli, G., Kaya, O., Karahan, N. and Sulak, O. 2006. The effects of antibiotic growth promoter, probiotic or organic acid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tissue of broilers. Int. J. Poult. Sci. 5:149-155. 

  14. Hadorn, R., Wiedmer, H. and Feuerstein, D. 2000. Effect of different dosages of an organic acid mixture in broiler diets. Archive fur Geflugelkunde 65:22-27. 

  15. Heiligenhaus, A., Li, H., Schmitz, A., Wasmuth, S. and 

  16. Heres, L., Engel, B., Van Knapen, F., De Jong, M. C., 

  17. Hernandez, F., Madrid, J., Garcia, V., Orengo, J. and Megias. 

  18. Henrique, A. P. E., Faria, D. E., Franzolin, R. and Ito, D. T. 

  19. Henry, P. R., Ammerman, C. B., Campbell, D. R. and Miles, 

  20. Jordan, S. L., Glover, J., Malcolm, L., Thomson-Carter, F. M., 

  21. Leeson, S., Namkung, H., Antongiovanni, M. and Lee, E. H. 

  22. Lopponow, L. H. and Libby, P. 1989. Adult human vascular endothelial cells express the IL-6 gene differentially in response to LPS or IL-1. Cell Immunol. 122:493-503. 

  23. Miyamoto, T., Lillehoj, H. S., Sohn, E. J. and Min, W. 2001. 

  24. Moore, P. R., Evenson, A., Luckey, T. D., McCoy, E., 

  25. Moran, M. 2005. Effect of organic acids in the drinking water on broiler chicken growth performance and their environmental microbial contamination. Br. Poult. Abstr. 1:49-50. 

  26. NRC. 1994. Nutrient requirement of poultry.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Academy of Science Washington DC. 

  27. Partanen, K. H. and Mroz, Z. 1991. Organic acid for performance enhancement in pig diet. Nutr. Res. Rev. 117-145. 

  28. Patten, J. D. and Waldroup, P. W. 1988. Use of organic acids in broiler diets. Poult. Sci. 67:1178-1182. 

  29. Pirgozliev, V., Murphy, T. C., Owens, B., George, J. and 

  30. Ricke, S. C. 2003. Perspectives on the use of organic acids and short chain fatty acids as antimicrobials. Poult. Sci. 82:632-639. 

  31. Risley, C. R., Kornegay, E. T., Lindemann, M. D., Wood, C. 

  32. Russell, J. B. 1992. Another explanation for the toxicity of fermentation acids at low pH : Anion accumulation versus uncoupling. J. Appl. Bacteriol. 73:363-370. 

  33. SAS, 2002.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34. Schilling, S., Goelz, S., Linker, R., Luehder, F. and Gold, R. 

  35. Skinner, J. T., Izat, A. L. and Waldroup, P. W. 1991. Fumaric acid enhances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Poult. Sci. 70: 1444-1447. 

  36. Vogt, H., Matthes, S. and Harnisch, S. 1981. The effect of organic acids in the ration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s and laying hens. Archive fur Geflugelkunde 45:221-232. 

  37. Versteegh, H. and Jongbloed, A. W. 1999. The effect of supplementary lactic acid in diet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s. ID-DLO Rep. No. 99.006. Institute for Animal Science and Health, Branch Runderweg, Lelystad, The Netherlands. 

  38. Waldroup, A., Kaniawato, S. and Mauromoustakos, A. 1995. 

  39. 장해동, 유종상, 김효진, 신승오, 황 염, 주천상, 진영걸, 조진호, 김인호. 2008. 유기산 복합물 급여가 육계 생산성, 장기무게, 혈액 내 면역적 성상 및 장내 융모 형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5:57-62. 

  40. 우경천, 이문구, 정병윤, 백인기. 2006. 유기산제제 ( $Lactacid^(R)$ )와 Essential Oil( $Immunocin^(R)$ )이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3:141-1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