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세한우 배합사료 급여방법 및 출하월령이 발육, 사료섭취량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centrate Feeding Method and Slaughter Age on Growth Performance, Feed Intak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1, 2009년, pp.53 - 60  

조영무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장선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형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태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박병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백봉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진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권응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배합사료의 급여방법(군사, 개체별 배합 사료 자동급이) 및 출하월령(생후 26 및 28개월)이 거세한우의 발육, 사료섭취량 및 도체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는 생후 26개월령 출하 군사구(G26), 개체별 배합사료 자동급이구(I26), 생후 28개월령 출하 군사구(G28), 개체별 배합사료 자동급이구(I28)의 4처리로 하여 각 처리당 7~8두씩 총 31두를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비육후기 배합사료 급여수준은 군사구(G26 및 G28)는 자유채식, 개체별 배합사료 자동급이구는 개체별로 체중의 1.7%이었다. 비육전기 일당증체량은 군사구들(G26 및 G28)에 비해 개체별 배합사료 자동급이구들(I26 및 I28)에서 많았으나(p<0.05), 비육후기 일당증체량은 개체별 배합사료 자동급이구들에 비해 군사구들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비육전기 배합사료 섭취량은 군사구들에 비해 개체별 배합사료 자동급이구들에서 많았지만, 비육후기에는 개체별 배합사료 자동급이 구들에 비해 군사구들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배합사료 급여방법 및 출하월령이 거세한우의 도체특성, 육량등급 및 육질등급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배최장근의 전단력 및 연도는 26개월 출하 시험구들에 비해 28개월 시험구들에서 높았다(p<0.05). 배최장근의 가열감량, 보수력, 풍미, 수분, 단백질 및 지방 함량에 대한 사료급여 방법 및 출하월령의 영향은 없었다. 따라서 비육후기 개체별 배합사료의 제한급여가 거세한우의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만, 출하체중 저하로 농가소득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거세한우를 대상으로 개체별 자동급이기를 이용시 개체특성(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등)을 고려한 개체별 배합사료 급여수준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rty one Hanwoo steers were us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experiment to see the effects of concentrate feeding method (group vs. individual feeding) and age at slaughter (26 vs. 28 months of age) on growth performance, feed intak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Steers were randomly assign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개체별 배합사료 자동급이기를 이용한 배합사료의 제한급여 (특히 비육후기) 및 출하 월령 (비육기간)이 거세한우의 발육, 사료섭취량 및 도체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거세한우를 대상으로 개체별 배합사료 자동급이기의 적용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배합사료의 급여방법(군사, 개체별 배합 사료 자동급이) 및 출하월령 (생후 26 및 28개월)이 거세한우의 발육, 사료섭취량 및 도체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는 생후 26개월령 출하 군사구 (G26), 개체별 배합사료 자동급 이구 (I26), 생후 28개월령 출하 군사구 (G28), 개체별 배합사료 자동급이구 (I28)의 4처리로 하여 각 처리당 7~8두씩 총 31두를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세우에서 일정기간의 배합사료 제한급여는 어떤 단점이 있나? 거세우에서 일정기간의 배합사료 제한급여는 사료 섭취량 감소로 일당증체량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지만 (Hermesmeyer 등, 2002), 건물 및 유기물 소화율(Murphy 등, 1994)과 영양소의 이용성 (Hermesmeyer 등, 2000)을 개선하여 사료효율 (Hicks 등, 1990)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사료비를 포함한 생산비용 (Loerch 와 Fluharty, 1998)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배합사료의 급여방법과 출하월령에 따른 관능검사는 어떻게 진행됐나? 등심의 화학성분은 AOAC (1995)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관능검사는 검사요원 10명을 무작위로 차출하여 처리별로 다즙성, 연도, 향미에 대하여 기호도 6점 만점의 순위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비육후기 사료급여 방법은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가? 비육후기 사료급여 방법은 산육능력, 사료효율 및 경제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Andersen과 Ingvartsen, 1984; Hermesmeyer 등, 2002), 거세와 비육기간 연장에 따른 생산비를 절감시키기 위해서는 비육단계별로 사료급여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ndersen, H. R. and Ingvartsen, K. L. 1984. The influence of energy level, weight at slaughter and castration on growth and feed efficiency in cattle. Livestock Prod. Sci. 11:559-569. 

  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Hermesmeyer, G. N., Berger, L. L., Merchen, N. R. and Nash, T. G. 2002. Effects of restricted and ad libitum intake of diets containing wheat middlings on site and extent of digestion in steers. J. Anim. Sci. 80:812-817. 

  4. Hermesmeyer, G. N., Berger, L. L., Nash, T. G. and Brandt, R. T. 2000. Effects of energy intake, implantation, and subcutaneous fat end point on feedlot steer performance and carcass composition. J. Anim. Sci. 78:825-831. 

  5. Hicks, R. B., Owens, F. N., Gill, D. R., Martin, J. J. and Strasia, C. A. 1990. Effects of controlled feed intake on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eedlot steers and heifers. J. Anim. Sci. 68:233-244. 

  6. Laakkonen, E., Wellington, G. H. and Skerbon, J. W. 1970. Low temperature longtime heating of bovine. I. Changes in tenderness, water binding capacity, pH and amount of water-soluble component. Journal of Food Science. 35:175-177. 

  7. Loerch, S. C. 1990. Effects of feeding growing cattle high-concentrate diets at a restricted intake on feedlot performance. J. Anim. Sci. 68:3086-3095. 

  8. Loerch, S. C. and Fluharty, F. L. 1998. Effects of programming intake on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eedlot cattle. J. Anim. Sci. 76:371-377. 

  9. Murphy, T. A., Loerch, S. C. and Dehority, B. A. 1994. The influence of restricted feeding on site and extent of digestion and flow on nitrogenous compounds to the duodenum in steers. J. Anim. Sci. 72:2487-2496. 

  10. SAS. 1999. SAS / STAT Software for PC. Release 6.11, SAS Institute, Cary, NC, U.S.A 

  11. Schackelford, S. D., Wheeler, T. L. and Koohmarmie, M. 1995. Relationship between shear force and trained sensory panel tenderness ratings of 10 major muscles form bos indicus and bos Taurus cattle. J. Anim. Sci. 73:3333-3340. 

  12. 김영근, 조영무, 최순호, 권응기, 명규호, 강병무, 손삼규 2003. 거세한우 비육후기 농후사료 제한급이가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축산시험연구보고서. pp. 720-726. 

  13. 축산물등급판정소. 2008. 축산물등급판정통계. http://www.kormeat.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