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산 국립공원의 가치보전에 관한 탐색적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the Value Preservation of Bukhan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9 no.5, 2009년, pp.293 - 303  

오흥진 (서정대학 관광과)

초록

본 논문은 북한산국립공원의 관광자원에 대한 소중한 가치보전에 관한 고찰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가치보전에 관한 고찰(考察)에서 국립공원 관리 실태에 대한 선진외국의 경험을 사례로 탐색했으며 이러한 탐색의 결과를 북한산국립공원에 접목하여 보다 발전된 형태의 보전관리를 통해 북한산국립공원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지속해 나가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현재 북한산국립공원의 현황을 탐색하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했으며 이에 대한 실증조사에서 전문가와 일대일 면접을 통해 전문가의견을 도출해 냈다. 본 논문이 자연이 준 우리의 위대한 유산인 북한산 국립공원의 가치를 보전하는데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from preserving the value of Bukhansan National Park as a precious tourism resource in South Korea. In order to effectively examine the value of preserving the resource, some cases of foreign countries having advanced skills and experiences in managing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늘어나는 건물들과 많은 자동차들로 오염되고 많은 탐방객들의 발길로 인해 북한산은 신음하고 있는 실정이다[21 2007년 1월1일 국립공원입장료가 폐지되면서 등산객을 중심으로, 아래의 [표 1] 에서와같이 앞으로 탐방객 숫자의 급격한 증가는 국립공원 관리상의 제도적인 문제를 부각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선진 외국 국립공원의 관리 사례를 살펴보면서 북한산 국립공원의 保全價値와 活用, 관리 실태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그 解法에 대한 代案을 제시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국립공원연구원, "국립공원의 경제적 가치 및 국가경제 파급효과", pp.3-4, 2007. 

  2.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백서", p.174, 2007. 

  3. 송대근, 강용관, "한국의 국립공원 관리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학회지, 제2권 제4호, p.22, 2000. 

  4. 국립공원관리공단 홈페이지, http://www.knps.or.kr. 

  5. 유명수, "관광자원 보전가치의 영향인자와 그 추정모형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6. 최영문, 박창규, "도시자연공원의 자원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Toutism Research 12, 1998. 

  7. 민홍기, "이용자중심형 관광자원의 보전가치와 그 영향인자",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8.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북한산국립공원 보전과 개발에 관한 갈등 해소방안", pp.4-5 , 1996. 

  9. 김재민, 관광자원개발론, 대왕사, pp.110-113, 2003. 

  10. 최용복, "국립공원의 관리제도에 대한 비교연구, 우리나라와 미국의 공원지구내 개발 및 재산권 분쟁을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자연과학연구논문집, 2001. 

  11. 조태동, "보존적 측면에서 바라본 한국과 일본의 국립공원제도,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3권 제10호, pp.871-882, 2004. 

  12. 국립관리공단, "국립공원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pp.212-232, 2007. 

  13. 중앙일보 記事, "케이블카 돈 되는데..." 미련많 은 지자체들, 2008년 10월17일자 

  14. 국립공원관리공단 기본통계자료, 2007. 

  15.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백서, 2003. 

  16. Dirk, H. and Spenneman R. "Extream Cultural Tourism From Antarctica to the mo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34: pp.898-918, 2007.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