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산국립공원 산림해충의 분포
Distribution of Forest Insect Pests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2 no.2, 2008년, pp.75 - 82  

이총규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조현서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류동표 (상지대학교 산림자원학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북한산 국립공원의 도봉산지역에서 채집된 산림해충은 5목 29과 76종이었다. 이들 중에 나비목은 9과 24종, 딱정벌레목 9과 23종, 매미목 4과 20종, 노린재목 5과 6종, 벌목은 2과 3종으로 확인되었다. 송추 골이 5목 28과 66종, 회룡 골이 5목 19과 41종이었다. 중점관리해충으로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암청색줄무니밤나방(Arcte coerulea), 참나무겨울가지나방(Erannis golda)이 확인되었고, 왕침노린재(Isyndus obscurus)이 포식성 천적으로 분류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forest insect pests of Dobongsan in Bukhansan Nation Park. A total of 76 species of forest insect pests belonging to 29 families under 5 orders were collected in these areas: 24 species 9 families in Lepidoptera; 23 species 9 familie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조사연구는 북한산 국립공원에서 생태계의 변화가 예상되는 도봉산 지 역에서 발생한 산림해충을 조사하여 그 분포를 파악함으로써 북한산 국립공원 생태계 보존대책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실시하였다.
  • 산림해충의 발생 분포 조사는 임목의 피해와 경제적 측면에서 방제수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조사방법은 수목의 수관부 조사, 수간 부조 사와 공간조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으며, 조사경로는 조사구에서 사행진법으로 실시하였고, 수목을 가해하여 수목의 해충으로 분류된 개체를 채집하였고, 계곡과 능선을 대상으로 주로 포충망, 흡충관을 사용하여 채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강전유(2001) 수목치료의술. 나무사랑, 서울, 665쪽 

  2. 김진일(1981) 경기도 남양주군 수동면 일대의 곤충 상에 관한 연구. 자연보호 연구보고서 3: 329-367 

  3. 남상호(1970) 천마산의 접류에 관한 조사. 동국대동국농림 8: 132-148 

  4. 남상호(1998) 한국곤충생태도감(I-V). 고대한국곤충연구소, 서울, 750쪽 

  5. 산림청임업연구원(1991) 수목병해충도감. 삼정인쇄공사, 서울, 424쪽 

  6. 이승모(1973) 한국산박각시과나방. 곤충자료집 2: 1-4 

  7. 최궤문(1995) 과수해충원색도감(발생생태와 방제관리). 농진회, 수원, 220쪽 

  8. 古川晴男(1967) 原色昆蟲百科圖鑑. 集英社, 東京, 798쪽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