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교실과 포스트모더니즘
Mathematics Classroom and Postmodernis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48 no.2 = no.125, 2009년, pp.169 - 182  

김부윤 (부산대학교) ,  이지성 (온천중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als with the postmodern perspectives in mathematics classroom. Today,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can be explored through postmodernism because they have very different practices, pluralism, and anti-authoritarianism. Thus practices and researches of mathematics classroom are ...

주제어

참고문헌 (36)

  1. 강문봉 (1993). Lakatos의 수리철학과 교육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남균 (2001). 수학교실 문화에 관한 소고. 초등수학교육 5(2), pp.163-172. 서울: 한국수학교육학회. 

  3. 김부윤.이지성 (2008). Instrument로서의 테크놀로지와 수학 학습 패러다임의 변화. 수학교육 47(3), pp.261-271. 서울: 한국수학교육학회. 

  4. 김종명 (2001). 수리철학의 변화와 수학교육관. 한국수학사학회지 14(1), pp.83-100. 서울: 한국수학사학회. 

  5. 박창균 (1996). 20세기 수학의 패러다임. 한국수학사학회지 9(2), pp.22-29. 서울: 한국수학사학회. 

  6. 박창균 (2003). 수학에 있어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국수학사학회지 16(4), pp.45-52. 서울: 한국수학사학회. 

  7. 방정숙 (2001).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교실문화. 수학교육연구 11(2), pp.273-289. 서울: 대한수학교육학회. 

  8. 신승환 (2003).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하 성찰, 서울 : 살림. 

  9. 안광복 (2008). 처음 읽는 서양 철학사, 서울 : 웅진지식하우스. 

  10. 양운덕 (2007). 미셸 푸코, 서울 : 살림. 

  11. 우정호.정연준 (2001). 사회적 구성주의와 Wittgenstein 철학, 춘계수학교육학연구발표대회논문집, pp.569-582. 서울: 대한수학교육학회. 

  12. 유연주.임채훈 (1997) 급진적.사회적 구성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7(2), pp.359-380. 서울: 대한수학교육학회. 

  13. 정미라.강윤수 (2005). 영재교육원 수학교실문화 이해, 학술대회추계논문집, pp.95-119. 서울: 한국영재학회. 

  14. Barnard, A. (2000). History and Theory in Anthrop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김우영 역(2007). 인류학의 역사와 이론. 파주: 한길사. 

  15. Boaler, J. (2000). Introduction: Intricacies of Knowledge, Practice, and Theory, Multiple Perspectives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1-17. London : Ablex Publishing. 

  16. Brousseau, G. (1997). Theory of Didactical Situations in Mathematic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7. Brown, T., Jones, L., & Bibby, T. (2004). Identifying with Mathematics in Initial Teacher Training. In Margaret Walshaw(ed.), Mathematics Education within the Postmodern. pp.161-179. CT : Information Age Publishing. 

  18. Cobb, P., & Yackel, E. (1996). Constructivist, Emergen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 Research. Eduacational Psychologist 31(3/4). pp.175-190. 

  19. Davies, N. (2000). The School. Report. London : Rogers, Coleridge & White. 이병곤 역(2007). 위기의 학교-영국의 교육은 왜 실패했는가, 서울: 우리교육. 

  20. Ernest, P. (1991).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London: The Falmer Press. 

  21. Ernest, P. (1994). Mathematics, Education and Philosophy: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London : The Falmer Press. 

  22. Ernest, P. (1996). Constructing Mathematical Knowledge: Epistemology and Mathematics Education, London: The Falmer Press. 

  23. Even, R., & Tirosh, D. (2002). Teache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ematical Learning. In Lyn D. English(ed.),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219-240.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 Foucault, M. (1969). L’Archeologie du Savoir. Gallimard. 이정우 역 (2000). 지식의 고고학. 서울: 민음사. 

  25. Hardy, T. (2004). “There’s no Hiding Place”: Foucault’s Notion of Normalization at Work in a Mathematics Lesson, In Margaret Walshaw(ed.), Mathematics Education within the Postmodern. pp.103-119.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26. Hersh, R. (1999). What Is Mathematics, Really?, Oxford University Press. 허민 역 (2003). 도대체 수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경문사. 

  27. Lave, J. (1996). Teaching as Learning in Practice, Mind, Culture, and Activity 3(3). pp.149-164. 

  28.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Leader, D. (1995). Introducing Lacan. 이수명 역 (2007). 라캉. 서울 : 김영사. 

  30. Lerman, S. (2000). The Social Turn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In Jo Boaler(ed,), Multiple Perspectives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19-44. London: Ablex Publishing. 

  31. Maher, P. (1996). Potential Space and Mathematical Reality, In Paul Ernest(ed.), Constructing Mathematical Knowledge: Epistemology and Mathematics Education. pp.134-140. London: The Falmer Press. 

  32. Schoenfeld, A. H. (2002). Research Method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Lyn D. English, Maria Bartolini Bussi, Graham A. Jones, Richard A. Lesh, Dina Tirosh(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435-488.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3. Sfard, A. (1998). On Two Metaphors for Learning and the Dangers of Choosing Just One, Educational Researcher 27(2). pp.4-14. 

  34. Sierpinska, A., & Lerman, S. (1996). Epistemologies of Mathematics and of Mathematics Education, In Bishop, A.J. et al.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Mathematics Education. pp.827-876.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5. Walshaw, M. (2004a). Postmodernism Meets Mathematics Education, In Margaret Walshaw (ed.), Mathematics Education within the Postmodern. pp.1-11.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36. Walshaw, M. (2004b). The Pedagogical Relation in Postmodern Times: Learning with Lacan, In Margaret Walshaw (ed.), Mathematics Education within the Postmodern. pp.121-139.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