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창의성 과제에 대한 고찰
A Study on Mathematical Creativity Task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48 no.4 = no.127, 2009년, pp.443 - 454  

김부윤 (부산대학교) ,  이지성 (온천중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ed the notion and strategies of mathematical creativity from two point of view, mathematics and creativity. By these reviews, the spectrum was presented as frame of mathematical creativity task. Creativity and mathematics were seen as polar opposites and mathematical creativity tas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주어진 패턴 이외의 다른 패턴을 찾고, 15의 다음에 오는 수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의 변경 또는 확장을 통해서 수 패턴에 대한 감각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독창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 여기에서는 수학적 창의성 과제의 틀에서 창의성으로부터 수학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스펙트럼을 따라 이전 연구에서의 과제를 살펴보고, 수학교실에서 생성 또는 개발 가능한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제시하였다. 이 스펙트럼을 따라 기존에 잘 알려진 수학적 창의성 과제들을 살펴보고, 수학교실에 통합하여 개발 가능한 새로운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창의성과 수학을 양 끝으로 하는 선형의 스펙트럼을 생각할 수 있으며, <그림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을 '수학과 창의성의 스펙트럼' 또는 '창의성과 수학의 스펙트럼'이라고 부르고, 수학적 창의성 과제의 틀로 제안하고자 한다. 창의성과 수학 사이에서 개념과 전략과 과제에 대한 관점이 일관되게 함께 나아가는 것이므로 이 스펙트럼 위에서 적절한 위치를 잡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이제 수학의 측면에 우위를 두는 수학적 창의성 과제에 대해 살펴보자. Krutetskii(1969)는 하나의 정신적 작용에서 다른 것으로 쉽고 자유롭게 변형하는 것으로 수학적 창의성을 설명하면서 정신적 사고 측면을 강조하였다.
  • 제IV장에서는 제in장의 스펙트럼을 따라 이전 연구자들의 과제들을 살펴보고, 개발 가능한 과제들을 제시한다. 제V장에서는 수학적 창의성 과제와 수학 교실과의 통합 가능성을 언급하고, 수학교실에서 수학적 창의성이 충분히 발현 가능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구하는 공식을 배운다. 앞에서 배운 이런 공식들을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사다리꼴의 넓이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해 보아라.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권오남. 김정효 (2000). 창의성 문제해결력 중심의 수학교육과정 적용 및 효과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39(2), pp.81-100. 

  2. 권오남. 박정숙. 조영미. 박지현. 김영실 (2002). 개방형 문제 중심의 수학적 창의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지원 교과교육공동연구. 

  3. 김부윤. 이지성 (2005). 수학적 창의성이 발현될 수 있는 과제 유형. 수학교육학논총 28, pp.95-108. 서울:대한수학교육학회. 

  4. 김홍원. 김명숙. 방승진. 황동주 (1997). 수학 영재 판별도구 개발 연구(II) - 검사 제작편.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 97-50. 한국교육개발원. 

  5. 도종훈 (2006). 중학교 기하 영역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이강섭. 황동주 (2003). 일반 창의성(도형)과 수학 창의성과의 관련 연구 : TTCT, Figural A와 MCPSAT; A를 바탕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42(1), pp.1-9. 

  8. 이대현. 박배훈 (1998).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소고,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8(2), pp.679-690. 

  9. 정예순 (2003). 중학생 성격유형과 수학적 창의성의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薺藤昇 (1998). 創造性創出過程のモデルの構築とその實踐. 日本敎科敎育學會誌 21(2), pp.19-27. 

  11. 薺藤昇. 秋田美代 (2000). 數學における創造性テストと創造性態度との關係. 全國數學敎育學會誌. 數學敎育學硏究 6, pp.35-48. 

  12. Balka, D. S. (1974).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Arithmetic Teacher 21, pp.633-636. 

  13. Becker, J. P., & Shimada, S. (Eds.) (1997). The Open-Ended Approach : A New Proposal for Teaching Mathematics,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4. Ervynck, G. (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D. Tall (Ed.), (pp.42-53).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Netherlands : Kluwer Academic Publishers. 

  15. Haylock, D. W. (1984). Aspects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Children Ages 11-12, Ph. D. Thesis in Univ. of London, UK. 

  16. Haylock, D. W. (1985). Conflicts in the assessment and encourage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and Technology 16(4), pp.547-553. 

  17. Haylock, D. W. (1987). A Framework for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8, pp.59-74. 

  18. Haylock, D. W.(1997). Recogni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Zentralblatt fur Didaktik der Mathematik 27(3), pp.68-74. 

  19. Jensen, L. R. (1973). The Relationships among Mathematical Creativity, Numerical Aptitude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Doctoral Dissertation, Univ. of Texas, Austin, TX. 

  20. Krulik, S., & Rudnick, J. A.(1999). Innovative Tasks to Improve Critical- and Creative-Thinking Skills, In Lee V. Stiff & Frances R. Curcio (Eds.),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s K-12, VA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p.138-145. 

  21. Krutetskii, V. A. (1969). Mathematical Aptitudes, In J. Kilpatrick and I. Wirszup (Eds.), Soviet Studies in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Volume II, Chicago : The Univ. of Chicago Press, pp.113-128. 

  22. Krutetskii, V. A.(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children, Chicago : The Univ. of Chicago Press. 

  23. Lee, K. S, Hwang, D. J., & Seo, J. J. (2003). A Development of the Test for Mathematica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D :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7(3), pp.163-189. 

  24. Meissner, E (2000). Creativity in Mathematics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web site of Mathematics Education Study Group (August 7-8, 2000 in Tokyo, Japan), http://www.nHthl.uni-muenster.de/didaktik/u/meissne/WWW/creativity.htm 

  25. Millington, J. (2003). Mathematical Snacks : A Collection of Interesting Ideas to Fill Those Spare Moments, Norfolk : Tarquin Publications. 

  26. Pehkonen, E. (1997). The State-of-Art in Mathematical Creativity, Zentralblatt fur Didaktik der Mathematik 29(3), pp.63-67. 

  27. Schoenfeld, A. H. (2002). Research Method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Lyn D. English, Maria Bartolini Bussi, Graham A. Jones, Richard A. Lesh, Dina Tirosh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435-488. 

  28. Sheffield, L J. (1999). When the Problem is Solved, the Creativity Has Just Begun, Paper presented at the web site of Creativity and Mathematics Education (July 15-19, 1999 in Muenster, Germany), http://wwwmathl.uni-muenster.de/didaktik/u/meissne/WWW/update.htm 

  29. Sheffield, L J. (2005). Using Creativity Techniques to Add Depth and Complexity to the Mathematics Curricula. Paper presented at the web site of EARCOME 3 Symposium 1 : Creativity(August 7-12, 2005 in Shanghai, China), http://euler.math.ecnu.edu.cn/earcome3/Symposiums.htm 

  30. Silver, E. A. (1997).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Zentralblatt fur Didaktik der Mathematik 29(3), pp.75-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