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전도를 이용한 노인의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시하지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with Lower Extremity during Stairs and Ramp Climbing of Old Adults by EMG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1 no.1, 2009년, pp.35 - 40  

한진태 (선린대학 물리치료과) ,  공원태 (대구보건대학 물리치료과) ,  이윤섭 (경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 of muscle activities during level walking, stairs and ramp climbing in old adults. Methods: Twelve old adults were recruited and agreed this study.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by MP150 system (BIOPAC System Inc., Santa Barbara, USA). S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같은 기울기의 계단과 경사로 보행을 비교하여 근활성도를 연구한 자료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전도를 이용하여 평지 보행 그리고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동안 낙상의 위험이 큰 노인의 하지근육 근활성도가 얼마나 변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시 노인의 하지 근육 근활성도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노인은 평지 보행과 비교해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동안 대체적으로 하지 근육의 근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입각기 동안에는 경사로 오르기에서 근활성도가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대퇴직근, 대퇴이두근, 내측비복근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 본 연구는 평지 보행과 비교해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시 노인의 입각기와 유각기 동안 하지 근육들(대퇴직근, 대퇴이두근, 전경골근, 내측비복근)의 근활성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노인의 평지 보행과 비교해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시 입각기 동안 하지 근육의 근활성도는 모든 근육에서 증가하였으며, 계단보다 경사로 오르기에서 더 증가하였다.
  • 이 연구는 노인의 보행 조건(평지보행, 계단 오르기, 경사로 오르기)에 따른 입각기와 유각기 동안 하지 근육들의 적분근전도의 활성도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단보행과 평지보행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계단보행과 평지보행의 차이점은 각각의 보(step)가 발뒤꿈치보다 발가락과 발의 구(ball of foot)에서 시작되고 체중의 수직 이동이 올라갈 때는 외적인 힘이 더 요구되며 내려갈 때는 넘어짐을 예방하기 위한 조절이 필요하다.1 한편, 경사로는 계단을 대신할 수 있는 수직이동의 수단이며 특히 계단을 이용할 수 없는 장애인이나 노인, 임산부들을 위한 필수적인 시설이다.
노인의 낙상 사고는 어떤 손실을 초래하는가? 노화과정에 의한 균형의 감소, 신경계 기능의 퇴화, 보행능력의 감소 및, 근력 약화와 같은 신체적 변화로 인해 노인은 걸려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낙상 사고가 쉽게 발생하는데 이러한 낙상은 2005년 인구 10만 명당 49명으로 전체 사망원인 중 꾸준히 증가를 보이고 있다.10 낙상은 신체적 기능의 손상을 초래하여 노인의 일상 활동을 제한하며 독립성을 상실하게 하고 병원에 입원하게 하는 요인이 되며 이로 인한 노인의 의료비용을 증가시켜 경제적 부담을 가중 하게 한다.11 그리고 낙상의 후유증은 독립성 및 신체활동의 저하를 가져와 노인의 신체 기능을 감소시키고 낙상 공포로 인한 후유증을 남기기 때문에 노인은 자신의 활동을 제한하는 경향을 보이며,12 결과적으로 낙상으로 인해 노인은 사회적으로 위축되기 쉬운 상태에 놓이게 된다. 또한 Hong과 Kim13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시간적, 공간적 보행 변인들이 점차적으로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
계단 보행이 평지에서의 보행과 크게 다른 점은 무엇인가? 계단 보행의 특성에 관한 연구들은 일반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연구에 의하면, 계단 보행이 일반적인 평지에서의 수평 보행과 구분되는 큰 특징 중의 하나는 보가 진행되면서 수평이동(translation)과 동시에 신체의 들림(lifting)이 크게 나타난다는 사실이다.3 신체의 들림은 하지 관절에서 굴곡과 신전이 반복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신체의 상하 움직임은 상당한 수준의 근육 활동을 동반하게 되며, 근육 활동의 정도는 보행 속도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대개 같은 평지를 걷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약 10∼15배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Roy MS. Serious stair injuries can be prevented by improved stair design. Applied Ergonomics. 2001;32(2):135-9. 

  2. Ryu NH. Research : Walkability on Ramps by Gait Analysis. J of Korea Institute Landscape Architecture. 1995;23(2):2157-66. 

  3. McFadyen BJ, Winter DA. An integrated biomechanical analysis of normal stair ascent and descent. J of Biomechanics. 1988;21(9):733-44. 

  4. Paffenbarger RS, Blair SN, Lee IM et al. Measurement of physical activity of assess health effects in free-living populations. Medical Science Sports Exercise. 1993;25(1):60-70. 

  5. Lay AN, Hass CJ, Nichols TR et al. The effects of sloped surfaces on locomotion: an electromyographic analysis. J Biomechanics. 2007;40(6):1276-85. 

  6. Schmalz T, Blumentritt S, Marx B. Biomechanical analysis of stair ambulation in lower limb amputees. Gait and Posture. 2007;25(2):267-78. 

  7. Kim YS, Kim EJ, Seo CJ.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MG and Gait patterns of Lower extremities during going up stairs and down. J of Kore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2006;45(4):535-45. 

  8. Perry J.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NJ:SLACK. 1992:15-38. 

  9. Leroux A, Fung J, Barbeau H. Adaptation of the walking pattern to uphill walking in normal and spinal-cord injured subjects. Exp Brain Res. 1999;126(3):359-68. 

  10. Korea national statistics.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5. 

  11. Huang HC, Gau ML, Lin WC et al. Assessing risk of falling in older adults. Public Health Nursing. 2003;20(5):399-411. 

  12. Kannus P, Sievanen H, Palvanen M et al. Prevention of falls and consequent injuries in elderly people. Lancet. 2005;366(9500):1885-93. 

  13. Hong WS, Kim KW. Gait analysis of healthy elderly over 65 years of age. J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2;14(4):45-54. 

  14. Earhart GM, Bastian AJ. Form switching during human locomotion: traversing wedges in a single step. J of Neurophysiology. 2000;84(2):605-15. 

  15. Cram CR, Kasman GS, Holtz J.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An Aspen Pub. Gaithersburg. 1988:180-205. 

  16. Kim TW, Kim EH, Kwon MS. The Effect of Walking Speed on Joints of Lower Extremity in Obese Adult. Korea Institute Sports Science. 2007;18(3):18-26. 

  17. Eun SD, Lee KK. The effect of the stair heights on the gait pattern in stair-ascent activity of elderly persons. J of Kore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2004;43(6):575-84. 

  18. Han SW. The Effect of Forward Walking and Backward Walking on Quadriceps Muscles With Treadmill Inclination: Surface Electromyographic Analysis.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2005;12(1):63-7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