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케라틴이 첨가된 PLGA 필름에서 케라틴 함량별 SC세포의 증식 및 형태유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liferation and Phenotypical Stability of Schwann Cell on Keratin/PLGA Film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3 no.2, 2009년, pp.118 - 123  

오아영 (전북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 연구센터) ,  김순희 (전북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 연구센터) ,  김윤태 (전북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 연구센터) ,  전나리 (전북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 연구센터) ,  양재찬 (전북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 연구센터) ,  (웨이크 포레스트 의과대학 재생의학과) ,  (웨이크 포레스트 의과대학 재생의학과) ,  (웨이크 포레스트 의과대학 재생의학과) ,  신형식 (전북대학교 화학공학부) ,  이종문 (전북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 연구센터) ,  강길선 (전북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경손상 모델에서 신경재생을 유도하는 슈반세포(SC)의 배양에 케라틴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써, 친수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케라틴과 PLGA를 혼합하여 케라틴/PLGA 필름을 0, 10, 20, 그리고 50 wt%가 되도록 제조하여, 케라틴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단백질 및 신호전달물질이 슈반세포의 증식, 부착형태 그리고 표현형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세포의 배양 방법은 손쉽고 순수한 세포 분리가 가능한 Morrissey의 방법을 이용하였고 필름의 젖음성 확인을 위하여 접촉각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정해진 시간에 세포를 계수하여 케라틴 함량에 따른 세포 성장차이를 비교하였다. 케라틴/PLGA 필름에서의 세포의 부착 거동 및 세포 형태를 SEM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슈반세포의 표현형 유지를 확인하기 위해 RT-PCR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다른 함유량과 비교 시 케라틴 10 또는 20 wt%가 함유된 케라틴/PLGA 필름이 SC 성장 및 표현형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eratin contains regulatory molecules that can enhance neuronal cell activity. We fabricated keratin/ PLGA films using 0, 10, 20, and 50 wt% of keratin using solvent casting method. We measured the contact angle of each film and cell proliferation was assayed by counting the cells attached on the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의 이전 연구에서 케라틴 함량이 10, 20 wt%인 3차원 지지체에서 골수간엽줄기세포의 지속적 인 세포증식률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세포의 성장과 증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케라틴이 가지는 생체적합성과 친수성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케라틴의 뛰어나 생체적합성에 관한 결과와 더불어 케라틴이 희석된 배양액이 슈반세포의 복사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연구결과에 착안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신경손상 모델에서 신경재생을 유도하는 슈반세포의 배양^ 케라틴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써, 다양한 케라틴이 함유된 케라틴/PLGA 필름에 신경세포 중 하나인 슈반세포를 파종하고 이의 복사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최적의 케라틴 함량의 확인과 케라틴 함량에 따른 슈반 세포의 특성 분석을 시도하였다
  •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신경손상 모델에서 신경재생을 유도하는 슈반세포의 배양^ 케라틴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써, 다양한 케라틴이 함유된 케라틴/PLGA 필름에 신경세포 중 하나인 슈반세포를 파종하고 이의 복사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최적의 케라틴 함량의 확인과 케라틴 함량에 따른 슈반 세포의 특성 분석을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세포의 행동을 조절하는 미량의 분자와 세포의 이동부착, 그리고 자가집결을 조절하는 많은 양의 단백질 기질을 포함하는 케라틴을 함량별(0, 10, 20, 그리고 50 wt%) 로 함유하는 케라탄/ PLGA 필름을 제조하여 SC를 배양한 후 세포의 증식 거동 및 표현형 유지를 관찰하였으며 SC의 증식과 표현형 유지에 적합한 케라틴의 함유량을 찾고자 하였다. 접촉각 측정 결과 PLGA 필름과 비교하여 케라틴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접촉각을 보였으며 초기접촉각 측정에서 20과 50% 케라탄 LGA 필름이 다른 필름에 비하여 작은 접촉각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N. Zhang, H. Yan, and X. Wen, Brain Res. Rev., 49, 48 (2005) 

  2. J. Palace, J. Neurol. Sci., 265, 21 (2008) 

  3. R. Jandial, I. Singec, V. J. Duenas, A. L. Ho, M. L. Levy, and E. Y. Snyder, Inter. Congress Series, 1302, 154 (2007) 

  4. C. D. Mills, A. J. Allchorne, and R. S. Griffin, Mol. Cell. Neurosci., 36, 185 (2007) 

  5. M. Nissinen, H. Honkanen, O. Lahti, M. Kangas, J. Peltonen, and S. Peltonen, Mol. Cell. Neurosci., 37, 568 (2008) 

  6. T. Imaizumi, K. L. Lankford, and J. D. Kocsis, Brain Research, 854, 70(2000) 

  7. B. Movaghara, T. Tiraihia, and S. A. Mesbah-Naminb, Cell Biology International, 30, 569 (2006) 

  8. P. J. Kingham, D. F. Kalbermatten, D. Mahay, S. J. Armstrong, M. Wiberg, and G. Terenghi, Experimental Neurology, 207, 267 (2007) 

  9. C. Salis, C. P. Setton, E. F. Soto, and J. M. Pasquini, Experimental Neurology, 207, 85 (2007) 

  10. C. Miller, H. Shanks, A. Witt, G. Rutkowski, and S. Mallapragada, Biomaterials, 22, 1263 (2001) 

  11. Y. H. An, H. Wan, and Z. S. Zhang, Biomed. Environ. Sci., 16, 90 (2003) 

  12. M. C. Dodla and R. V. Bellamkonda, Biomaterials, 29, 33 (2008) 

  13. D.M Gilbert, Med. Sci. Monit., 10, 99 (2004) 

  14. M. Firouzi, P. Moshayedi, H. Saberi, H. Mobasheri, F. Abolhassani, I. Jahanzad, and M. Raza, Neuroscience Letters, 402, 66 (2006) 

  15. P. Sierpinskia, J. Garrettb, J. Mab, P. Apel, D. Klorig, T. Smith, L. A. Koman, A. Atala, and M. v. Dyke, Biomaterials, 29, 118 (2008) 

  16. K. S. Stenn, S. M. Prouty, and M. Seiberg, J. Dermatol. Sci., 7, 109 (1994) 

  17. A. Tachibana, Y. Furuta, and H. Takeshima, Biotechnology, 93, 165 (2002) 

  18. E. J. Kim, J. H. Song, M. S. Kim, J. M. Rhee, C. H. Han, G. Khang,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1, 41 (2004) 

  19. G. Khang, E. K. Jeon, and J. M. Rhee, Macromol. Res., 11, 334 (2003) 

  20. A. Y. Oh, S. H. Kim, M. S. Kim, S. J. Lee, J. J. Yoo, J. M. Rhee, and G. Khang, Polymer(Korea), 32, 403 (2008) 

  21. W. Y. Jang, S. H. Kim, I. W. Lee, M. S. Kim, J. M. Rhee, G. Khang,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2, 100 (2005) 

  22. Y. H. An, H. Wan, Z. S. Zhang, and L. H. ZHU, Biomed. Environ. Sci., 16, 90 (2003) 

  23. M. E. Pannunzio, I. M. Jou, A. Long, T. C. Wind, G. Beck, and G. Balian, J. Neurosci. Methods, 149, 74 (2005) 

  24. S. M. Kim, S. H. Kim, C. M. Kim, A. Y. Oh, M. S. Kim,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4, 179 (2007) 

  25. S. M. Kim, S. H. Kim, S. W. Park, A. Y. Oh, G. A. Kim, J. M. Rh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5, 11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