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기도 평택시 비전동 마을숲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llage Groves in Bijeon-dong, Pyeongtaek City, Gyeonggi-do Province,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8 no.5, 2009년, pp.527 - 538  

안영희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  박은진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  최창용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village grove is the one fostered and protected for a district's traditional life near the vicinity of a ruderal village. This research is done to grasp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to use a basis data needed for its management and preservation as well as restoration project by examining the ve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평택시는 급격한 산업화와 더불어 도심에 위치하는 전통적인 마을숲의 과다한 이용 및 환경악화 등의 요인에 의해 녹지유형의 기형적인 천이및 파괴가 문제시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평택시 비전동에 위치하는 덕동산 마을숲을 대상으로 현존식생 및 식물상을 과학적으로 조사하여 현지는 물론 인근지역 마을숲의 보전 및 복원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학범, 1991, 한국의 마을 원림에 관한연구, 박사학위논문, 임학과, 고려대학교, 서울 

  2. 최재웅, 김동엽, 2000, 마을숲 문화가 있는 농촌 마을숲의 구조 및 보전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18(3), 51-64 

  3. 남연화, 윤영활, 2002, 시대적 배경을 통해 본 마을숲의 변천과 보존, 한국정원학회지, 26(2), 133-142 

  4. 심우경, 1991, 한국 보호수의 상정적 가치와 보호대책, 한국정원학회지, 9, 91-104 

  5. 김덕현, 1986, 전통촌락의 洞數에 관한 연구 -안동 내앞마을의 開湖松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13, 29-45 

  6. 장동수, 감학범, 김정태, 1995, 전통 도시숲의 실용적 기능에 관한 연구(I),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0(4), 237-250 

  7. 최재웅, 김동엽, 2003 , 농촌 문화 경관으로서 강릉시 구정리 마을숲의 경관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 국토계획'. 38(4), 171-l8l 

  8. 강현경, 방광자, 이숭제, 김학범, 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 - 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22(2), 63-74 

  9. 남연화, 1994, 전통 마을숲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원주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조경학과, 강원대학교, 춘천 

  10. 박재철, 1998, 전북 농어촌 지역 마을숲과 해안숲의 비교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6(2), 133-142 

  11. 김학범, 장동수, 이승제, 2003, 한국 마을숲 관리 개선방안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1(4), 90-99 

  12. 박서호, 1994, 대전권 내 자연마을의 변화와 적응에 관한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5, 81 

  13. 박재철, 1997, 농촌정주생활권내의 마을 비보숲의 실태에 관한 연구 -전북진안군지역을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6(3), 152-161 

  14. 김종원, 엄정철, 2006, 전통 마을숲에 대한 식물사회학적고찰, 한국학논집, 33, 81-112 

  15. 박재철, 1999, 진안지역 마을숲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5(1), 56-65 

  16. Walter H., Harnickell E., Mueller-Dombois D., 1975, Climate diagram maps, Springer, New York, 36 

  17. http://www.kma.go.kr 

  18. 농촌진흥청, 2000, 토양화학분석법, 450 

  19.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20. 이영노, 2002, 원색한국식물도감, 서울, 교학사 

  21. 한국양치식물연구회, 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서울 지오북 

  22.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서울, 아카데미서적 

  23. 노재현, 1998, 공원녹지 내 귀화식물 출현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66-77 

  24. 안영희, 신경미, 2006, 제부도 갯벌식생과 소산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 52-69 

  25. Braun-Bla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de der Vegetation skunde, 3rd ed, Springer, New york, 85pp 

  26. 김정언, 1987, 분류법과 서열볍에 의한 내장산 삼림 식생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여천생태연구회, 1997, 생태학설험서,교문사‘ 35-37, 152-159 

  28. 沼田員, 1962, 植物生態野外觀察 の 方法, 葉地書館, 東京, 396pp 

  29. 김종원, 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 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서울 

  30.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불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 69-83 

  31. 정홍락, 이호준, 이재석, 2000, 대구 인접지역에 대한 삼림식생의 군락 분류, 한국생태학회지, 23, 407-421 

  32. 김원, 서정호, 이종운, 1983, 당지동 산화적지의 초기 식생천이, 한국생태학회지, 6, 237-242 

  33. 송호경, 1985, 계룡산 삼림군집형과 그의 구조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환경 연구보고, 3, 19-58 

  34. 이규송, 정연숙, 김석철, 신승숙, 노찬호, 박상덕,2004, 동해안 산불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 수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 한국생태학회지, 27, 99-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