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마을숲의 식물상 및 식생
The Vegetation and Flora of Village Groves in Paengseong-eup, Pyongtaek City, Gyonggi-Do,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1 no.6, 2007년, pp.515 - 525  

안영희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  이성제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  신경미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  박은진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을 숲은 지역의 전통적인 공동체 삶을 위해 마을 주변에 조성되어 보호되고 유지되어온 숲이다. 본 연구는 미군부대 이전부지 내에 위치하는 마을 숲을 대상으로 식생 및 식물 상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는 현지는 물론 인근 지역의 마을 숲 보전 및 복원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다. 현지 소산 식물상은 양치식물 2과 2속 1종 1변종으로 총 2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나자식물은 2과 2속 3종의 3분류군, 피자식물단 자엽 식물이 5과 10속 11종으로 11분류군, 쌍자엽식물이 24과 39속 40종 3변종으로 43분류군로서 총 33과 53속 55종 4변종의 5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도시화 지수는 4.2%, 귀화율은 20.3%로 타 지역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마을 숲을 구성하는 식생단위는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소나무-졸참나무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졸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 community), 찔레군락(Rosa multiflora community)의 4개 군락 단위로 구분되었다. 졸참나무군락은 자연천이에 의해 도태된 소나무 대신 상대적으로 채광적응성이 뛰어난 졸참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유형으로 교목 층뿐만 아니라 아교목 층에 까지 졸참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산업화와 더불어 마을 주민들의 이탈과 가구 수의 축소, 도시화에 의해 마을 숲의 이용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이 지역의 잠재자연식생으로 추정될 수 있는 졸참나무군락으로 소나무-졸참나무군락을 거쳐 천이되는 유형을 보여주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village grove is the one fostered and protected for a district's traditional community life near the vicinity of a village. This study is done by surveying the vegetation and flora at the village grove situated at the former location for the US military camp. Through such data collected from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대추리의 마을숲을 대상으로 식생 및 식물상을 조사하여 현지는 물론 인근 지역의 마을숲 보전 및 복원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특히 합리적 인 녹지관리와 보전은 물론 복원에 반드시 필요한 식물군락 유형과 구성 식물상 등에 관한 보고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금후 미군부대 이전 사업과 더불어 사업부지 내에서 사라지게 될 평택시 팽성읍 대추리의 마을숲을 대상으로 식생 및 식물상을 조사하여 현지는 물론 인근 지역의 마을숲 보전 및 복원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현경, 방광자, 이승제, 김학범(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63-74 

  2. 국립환경과학원(2005) http://www.nier.go.kr 

  3. 기상청(2004) http://www.kma.go.kr/ 

  4. 김덕현(1986) 전통촌락의 洞藪에 관한 연구-안동내앞마을의 開湖松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13, pp.29-45 

  5. 김종원, 임정철(2006) 전통 마을숲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고찰. 한국학논집 33: 81-112 

  6. 김학범(1991) 한국의 마을원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7. 김학범, 장동수, 이승제(2003) 한국마을숲 관리 개선방안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1(4): 90-99 

  8. 남연화, 윤영활(1999) 전통 마을 숲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원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7(1): 17-27 

  9. 노재현(1998) 공원녹지내 귀화식물 출현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66-77 

  10. 박수현(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11. 박수현(200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서울 

  12. 박재철(1999) 농촌정주생활권내의 마을 비보숲과 마을 쉼터숲의 비교고찰-진안군지역을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7(3): 32-38 

  13. 박재철, 정경숙, 장혜화(2003) 진안 하초 마을숲의 온도 조절 기능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4): 35-41 

  14. 배춘화(1997) 금정산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안영희, 양영철(2001) 자원식물 활용을 위한 서운산 식물상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4(3): 259-276 

  16. 안영희, 양영철, 최광율(2001) 평택호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유전공학연구논집 13(1): 61-72 

  17. 여천생태연구회(1997) 생태학실험서. 교문사, 서울 

  18. 이영노(1996)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19. 이우철(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 서울 

  20. 이원열 등(1992) 전통생활환경보전림의 실태 및 보존대책. 임업연구원보고서 pp. 25-33 

  21. 이창복(1982)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22.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 69-83 

  23. 최재웅 김동엽(2000) 마을숲문화가 있는 농촌 마을숲의 구조 및 보전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3): 51-64 

  24. 최재웅, 김동엽(2003) 농촌문화경관으로서 강릉시구정리 마을숲의 경관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8(4): 171-181 

  25. Ahn,Y.H., K. H. Chung and H. S. Park(2003) Vegetation and Flora of Hibiscus hamabo inhabited naturally in Soan island. Kor. J. Env. Sci. 11: 1181-1187 

  26. Barbour, M.G., J.K. Burk, and W.D. Pitts(1980), Terrestrial plant ecology, The Benjamin Publishing company, pp. 54-59 

  27. Braun- Bla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d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New york, pp. 85 

  28. Bray, J. R. and J. T. Curtis(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y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349 

  29.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b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Eugen Ulmer. Stuttgart. pp. 136 

  30. Ecology research group(1967) Manual of Ecological Tesearch. Askura publishing Co., Tokyo, pp. 238-246 

  31. Song, J. S. and Y. H. Ahn(2002) Phytosociological study on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habitat of Ussurian pear and Chinese pear, Korean wild species. Kor. J. Env, Eco. 16: 160-1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