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전도와 맥파 신호 검출을 위한 일체형 센서 시스템의 구현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Sensor System for Measuring Simultaneously ECG, PPG and PPW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0 no.5, 2009년, pp.992 - 999  

전계록 (부산대학교 의공학교실) ,  정동근 (동아대학교 의공학교실) ,  김기련 ((주)피지오랩) ,  신범주 (부산대학교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심전도와 맥파를 측정함으로써 구해질 수 있는 맥파전달시간은 심혈관계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의미 있는 지표가 된다. 그러나 맥파를 측정하는 동안 움직이거나, 측정 시에 가해지는 압력이 부정확할 경우, 잘못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심전도, 압력맥파 및 광전용적맥파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일체형 센서 시스템과 심전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금속 전극을 개발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일체형 센서시스템 및 금속 전극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lse transit time(PTT), which i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electrocardiogram(ECG) and pulse wave, gives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cardiovascular system. However, a little movement of body and/or inaccurate pressure applied to skin during the measurement of pulse wave leads to acqu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ECG 및 압력맥파와 마3G 신호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맥파전달시간 및 맥파전달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일체형 센서 시스템과 새로운 금속전극을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금속전극은 12x12 關의 면적으로도 심전도 측정이 가능함을 볼 수 있었고, 금속전극을 흉부, 팔 등 계측의 편이성에 따라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부착하더라도 PTT 연산을 위한 R 정점의 검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본 논문에서는 ECG, 압력맥파와 PPG 신호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맥파전달시간 및 맥파전달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일체형 센서 시스템과 일체형 센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금속전극에 대해 기술하고, 유용성을 검증한다.
  • PWV는 동맥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중요한 지표이다. 본 논문에서는 X. Teng과 Zhang이 제시한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정확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해서 ECG의 계측과 동일 부위에서 PPW, PPG오]■ PWV를 동시에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본 논문의 금속전극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형심전도 신호 증폭기를 이용하여 전극 크기 및 전극 부착위치에 따른 전극-피부간 접촉 임피던스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된 소형 심전도 신호 증폭기는 금속전극용 고입력 임피던스 차동 증폭기이며, 전원은 9 V 저전력, 동상제거비는 85 dB인 높은 CMRR, 신호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는 49.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소형 생체전위용 금속전극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금속전극의 외형은 그림 3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Hung, K.; Zhang, Y.T.; Tai, B., "Wearable medical devices for tele-home healthcar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vol. 2, pp.5384-5387, 2004. 

  2. John G.F. Cleland, Amala A. Louis, Alan S. Rigby, Uwe Janssens, Aggie H.M.M. Balk, "Noninvasive Home Telemonitoring for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t High Risk of Recurrent Admission and Death", J. Am Cardiol, vol. 45, pp.1654-1664, 2005. 

  3. S.Y., K., "Unconstrained and non-invasive measurement of heart-beat and respiration periods using a phonocardiographic sensor",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and Computing, vol. 40, no. 2, pp.246-252, 2006. 

  4. R. Gonzalez, O. Morales, J Delgado, JM Padilla, JM Ferrero, J, Saiz, "Automatic Brachial Ankle Pulse Wave Velocity Measurements for Vascular Damage Assessments", Computers in Cardiology pp173-176, 2008. 

  5. X. Teng and Zhang, "Continuous and noninvasive estimation of arterial blood pressure using phtoplethysmographic approach", Proceedings of the 25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MBS, 2003. 

  6. G. E. Bergey, R. D. Squires, and W. C. Sipple, "Electrocardiogram recording with pastless electrodes", IEEE Trans. Biomed. Eng., vol. BME-18, pp.206-211, 1970. 

  7. Y. Tardy, P. P. Vieyres and J. J. Meister, "Assessment of the true pulse-wave velocity over the physiological pressure range",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vol.12, no.4, pp. 1817-1818, 1990. 

  8. N. V. Thakor, J. G. Webster and W. J. Tompkins, "Optimal QRS detector",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vol. 21, no. 3, pp. 343-350,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