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 맥진기 시스템 개발을 위한 맥파분석 알고리즘과 디지털 필터 설계
Pulse Diagnosis Algorithm and Digital Filter Design for Development of Digital Biomedical Syste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1 no.11, 2010년, pp.4473 - 4482  

김상호 ((주)엠플롭) ,  임덕규 (강원대학교 전자정보통신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방의학에서 절진에 속하는 맥진은 28가지의 맥상 분석 방식을 기존의 아날로그 시스템에 적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아날로그 시스템은 ECG (Electrocardiogram)와 같은 특징점 추출방법을 이용해 맥파를 분석하는데 특징점 추출방법과 입력 신호의 과도한 증폭으로 맥파의 Clipping현상이 발생되어 맥파의 모양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아날로그 맥진기 시스템에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전자 맥진기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디지털 필터를 설계하기 위하여 신호의 특징점 추출을 위한 C-spline 보간법을 이용하고, signal modeling에 Prony's method로 디지털 필터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 하였다.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 시스템에 맥파 분석 방법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한 전자 맥진기 시스템을 구성하여 새로운 맥파 분석 알고리즘과 아날로그 시스템에서 분석이 어려웠던 맥파의 모양 분석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증폭 단 이후 제안된 필터 설계방법을 이용하여 구성된 전자 맥진기 시스템의 출력 값이 아날로그 맥진기의 출력 파형과 아주 유사하면서 파형이 깨끗한 신호를 얻을 수 있어 설계방법의 적합성을 확인 하였고, 제안된 알고리즘에 의한 맥파 분석 결과가 아날로그 시스템의 맥파 분석 보다 정확한 맥파를 분석할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amination of pulse, which is a typical palpation technique in the oriental medicine, has been used conventional analog system for discrimination of 28 pulses. However, the clipping phenomenon in the pulses, which used same feature extraction technique with ECG signals, has been occurred in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아날로그 맥진기 시스템에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전자 맥진기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디지털 필터를 설계하기 위하여 신호의 특징점 추출을 위한 C-spline 보간법을 이용하고[8], signal modeling에 Prony's method로 디지털 필터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아날로그 맥진기 시스템에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신호의 특징점 추출에서 C-spline 보간법과 에러율이 작은 Prony's method를 이용하여 디지털 필터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alvanometer란 무엇인가? Analog Board는 Op-Amp를 가지고 미분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출력 부분은 Galvanometer를 이용하였다. Galvanometer는 열전식 프린터를 말하는데, 히터 팬에 전기를 가하여 열을 발생하여 기록지에 맥파의 모양을 기록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아날로그 시스템은 맥파를 처리하는데 몇 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사진법의 한계는? 한의학의 진찰 방법에는 사진법(四診法)이 있는데 이것은 망진(望診),문진(聞診),문진(問診),절진(切診)이 있으며, 이중에서 맥진(脈診)은 절진에 속하는 진료방법으로서 환자의 손목에 흐르는 동맥에 진찰자의 시지(示指), 중지(中指), 약지(藥指)를 이용해 촌(寸), 관(關), 척(尺)의 3혈을 집어 압력을 손목에 가해 손 끝에 촉지되는 맥상을 인식하여 병의 증상을 진단하는 것이다[1] . 이러한 방법은 진찰자의 주관성과 주위의 환경조건에 의해서 맥상의 느낌이 달라질 수 있으며, 객관성이 부족하면 오진 할 수도 있으므로 진찰자가 객관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오랜 경험을 가진 진찰자와의 학습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맥상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검출하고 가시화 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또한 검출한 맥파로 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맥진을 객관화하여야 한다[2,3].
사진법이란? 한의학의 진찰 방법에는 사진법(四診法)이 있는데 이것은 망진(望診),문진(聞診),문진(問診),절진(切診)이 있으며, 이중에서 맥진(脈診)은 절진에 속하는 진료방법으로서 환자의 손목에 흐르는 동맥에 진찰자의 시지(示指), 중지(中指), 약지(藥指)를 이용해 촌(寸), 관(關), 척(尺)의 3혈을 집어 압력을 손목에 가해 손 끝에 촉지되는 맥상을 인식하여 병의 증상을 진단하는 것이다[1] . 이러한 방법은 진찰자의 주관성과 주위의 환경조건에 의해서 맥상의 느낌이 달라질 수 있으며, 객관성이 부족하면 오진 할 수도 있으므로 진찰자가 객관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오랜 경험을 가진 진찰자와의 학습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석하, 홍섭희, 정현정, 박원환, "電子脈診器의 과의諸脈體狀에 관한 연구(I)", 대한한의진단학회지, 제13권 제1호, pp. 36 - 44, 2009. 

  2. 박상희 저, "생체신호처리 및 응용", 에드텍, pp. 303-307, 1999. 

  3. 李炳國 著, "脈이나 알고 針筒을 흔드는가 (脈診篇)", 한국의 침구, pp. 37 - 56, 2001. 

  4. 이호재, 허 웅 외, "한방용 맥파 검출시스템", 대한 의용생체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제14권 제1호, pp. 66 - 69, 1991. 

  5. 이호재, 허 웅 외, "한방 맥진단에 관한 연구",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14권 제1호, pp. 71 - 74, 1992. 

  6. 황성철, 권혁제, 김태국, 이재준, 이명호, "변곡비에 의한 ECG 신호의 특성점 검출 및 QRS 패턴분류", 대한 전자공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14권 제1호, pp. 422 - 425, 1991. 

  7. 김규환, 박승환, 홍승홍, "맥파 신호의 특성점 검출 및 자동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전자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제15권 제2호, pp. 409 - 412, 1992. 

  8. 김상호, 임덕규, "Digital 맥진기 설계를 위한 Signal Modeling" 대한한의학회 맥진학회지, 통권 제6호, pp.168-182, 2001. 

  9. 이전, 우영재, 전영주, 이유정, 김종열, "맥진기를 위한 동잡음 검출 시스템", 대한전자공학회 논문지, 제45권 SC편 제5호, pp. 21 - 27, 2008. 

  10. 임덕규, "전자맥진기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필터 설계에 관한 연구" 삼척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원 논문집 제8권 제1호, pp. 1 - 10, 2003. 

  11. Monson H. Hayes, "Statistical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Modeling", John Wiley & Sons, 1996. 

  12. 한상모 외 집필, "東醫學 어떻게 배울것인가", 여강, pp. 209 - 223, 1993. 

  13. 백광철 著, "알기 쉬운 맥진학", 논장, pp. 17 - 24,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